본문 바로가기
이슈 관련주

[이슈 관련주] 구글 스마트안경 스마트글래스 국내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by 머니투어 2025. 5.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구글은 20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I/O 2025'에서 삼성전자, 젠틀몬스터, 워비 파커가 참여한 안드로이드 XR 기반 스마트안경을 연말에 선보일 것이라고 선언하였습니다. 오늘은 구글 스마트글래스 관련 국내 주식은 어떤 종목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구글 AI글래스 내용정리

1) 구글 스마트안경 개요

 이 프로젝트는 삼성의 하드웨어 기술력, 젠틀몬스터의 감각적인 아이웨어 디자인, 그리고 구글의 AI 플랫폼(Gemini)이 결합된 글로벌 협업입니다. 특히 한국 아이웨어 브랜드 젠틀몬스터가 참여함으로써, 기존의 투박한 스마트 글래스 디자인과는 다른 일상적인 착용이 가능한 세련된 스타일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2) 구글 스마트안경 주요 기능 (예상)

항목 내용
디스플레이 우측 렌즈에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옵션 적용)
AI Google Gemini 기반 AI 어시스턴트 탑재
카메라 프레임에 소형 고화질 카메라 내장
조작 안경다리 터치패드 + 음성 제어
번역 기능 실시간 다국어 음성/텍스트 번역 지원
내비게이션 Google Maps 연동 AR 길안내

3) 구글 스마트안경 착용후기 및 출시일정

3-1) 구글 스마트안경 착용후기

 미국 IT 전문 매체 Android Central은 구글 글라스를 직접 체험한 후 "착용감이 매우 자연스럽고, AI 반응 속도와 정확도가 인상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구글 맵 길찾기 기능은 렌즈에 표시되는 방향 정보를 통해 걷거나 자전거를 탈 때 매우 유용하다고 밝혔습니다.

3-2) 구글 스마트안경 출시일정

 현재는 프로토타입 상태이며, 일반 소비자 대상 출시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삼성과 구글은 Android XR 생태계를 기반으로 본격적인 AI 웨어러블 시장 진출을 예고한 만큼, 2026년 전후로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입니다.

4) 구글 스마트안경 소개영상

 

2. 구글 스마트안경 국내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1) 삼성전자

  • 기업소개 :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되어 DX부문과 DS부문 및 SDC, Harman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입니다. DX부문은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과 스마트폰을 생산하며, DS부문은 DRAM, NAND Flash 등 메모리 반도체와 모바일AP를 생산합니다. 업계 최고 수준의 R&D 역량으로 지속적 기술 혁신과 미래 준비를 통해 친환경 기술 혁신을 이어가며 시장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2% 증가, 영업이익은 398.3% 증가, 당기순이익은 132.3% 증가했습니다. AI향 메모리 제품 수요 강세와 고객들의 재고 확보로 DRAM과 NAND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어 실적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AI 시장의 성장으로 고성능 메모리 수요가 급증하며, 서버향 DDR5와 고용량 QLC SSD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전환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삼성전자는 구글, 젠틀몬스터와 함께 안드로이드 XR기반의 스마트안경 개발에 착수했기 때문에 가장 직접적인 관련주로 구글 스마트안경 대장주라 볼 수 있습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AI제미나이 등 소프트웨어를, 삼성전자는 하드웨어를, 젠틀몬스터는 안경 디자인을 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삼성전자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케이쓰리아이

  • 기업소개 : 케이쓰리아이는 2000년 설립된 AR, VR, MR 및 실감형 인터렉티브 콘텐츠 제작을 위한 XR 설루션 보유 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증강현실 엔진과 저작도구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XR 미들웨어 설루션을 통해 다양 분야의 XR 서비스를 개발·공급하며, 디지털트윈 기술로 3D 실감 도시모델 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실감형 콘텐츠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에 추가 전시관을 운영해 사업영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연결기준 매출액은 139억, 영업손실은 37억, 당기순손실은 30억입니다. XR 미들웨어 기술로 공공·민간 분야의 XR 서비스 구축 및 실감 콘텐츠 제작을 수행하며, XR Meta City 기술 기반 3D 공간정보 산업으로 실세계 메타버스 서비스 확대 중입니다. AI, IoT 등 신기술 발달과 글로벌 기업의 XR기기·콘텐츠 출시로 XR 시장의 지속 성장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케이쓰리아이는 국내 XR 전문 기업으로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등 실감형 플랫폼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어 구글 스마트안경 관련주에 속해 있습니다. 케이쓰리아이는 유니티,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주요 플랫폼의 XR 콘텐츠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미들웨어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XR 기기와의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미들웨어는 다양한 XR 기기에서 콘텐츠가 작동하도록 도와주는 플랫폼 연결 기술입니다. 구글과 삼성전자의 스마트안경 상용화가 본격화되면 케이쓰리아이의 XR 미들웨어 설루션이 해당 기기들의 콘텐츠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어 XR 생태계 확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됩니다.
  • 케이쓰리아이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라온텍

  • 기업소개 : 라온텍은 2009년 시스템반도체 기술을 토대로 설립되어 XR용 스마트안경, 차량용 HUD, 빔프로젝트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및 SoC 반도체 설계/제조 전문기업입니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와 모바일TV SoC 사업을 영위하며, 반도체 기판 위 초소형 디스플레이 제작 및 관련 반도체 칩과 소프트웨어를 솔루션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5년 이상의 시스템반도체 기술로 국내 최초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이룬 기업입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7.1% 감소, 영업손실은 224.6% 증가, 당기순손실은 8.5% 감소했습니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사업 부문 매출 감소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글로벌 광학엔진·디바이스 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신제품 개발로 경쟁력 강화 중입니다. XR 기기 시장은 2025년부터 본격화되며, AI 탑재 스마트 안경 등 다양한 제품 출시와 2026년 양산 체제 진입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라온텍은 AR 스마트글래스의 핵심 부품인 마이크로디스플레이(Micro OLED) 기술을 보유하여 구글 스마트안경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라온텍의 마이크로디스플레이는 장치의 입력을 배가시켜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기술 특허를 보유했는데, 영상 스케일링 기술을 화소 자체에 적용해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의 전력 및 사양을 줄이고, 화소의 공간 해상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킵니다. 이 특허 기술은 확장현실(XR) 기기의 주요 요구 사양인 UHD급 이상의 높은 해상도와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요구 사양인 저전력 및 소형화를 충족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라온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버넥트

  • 기업소개 : 버넥트는 2016년 컴퓨터 비전 기반 AR 기술로 XR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는 테크 기업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자체 개발한 XR 엔진 기반으로 원격 협업, XR 콘텐츠 저작, 3차원 디지털화 설루션을 제조·플랜트·문화·교육 분야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허 117건과 GS인증 1등급 6건을 보유하며, 산업현장의 업무 효율성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최고의 산업용 XR 솔루션을 개발 중입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3% 감소, 영업손실은 12.3% 증가, 당기순손실은 22.1% 증가했습니다. 일회성 대형 수주가 발생했던 전년도 대비 보수적인 프로젝트 진행 및 수주 시점 지연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되었습니다. 제조업, 교육산업, 디지털전시 등 B2B 중심의 AR 콘텐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AR이 전체 시장의 74.6% 차지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버넥트는 산업용 XR(확장 현실) 솔루션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국내 선도 기업으로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구글 스마트안경 수혜주라 할 수 있습니다. 버넥트는 산업용 AR 제작 솔루션 'VIRNECT Make'와 XR 솔루션 '버넥트 리모트(VIRNECT Remote)' 등 자체 개발한 설루션과 117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버넥트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넵튠

  • 기업개요 : 넵튠은 2012년 설립되어 2016년 대신밸런스제1호기업인수목적과 합병 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모바일 게임 자체 개발과 외부 개발사 투자 및 퍼블리싱을 진행하며, ADTech부문에서는 광고 수익화 플랫폼 'AD(X)'와 'AdPie', ChatAPI 'KLAT', 뉴스 큐레이션 'NewsPub' 를 운영합니다. 다양한 모바일 앱 및 게임 부문에서 외연을 확대하며, 광고 체인의 통합 및 시너지 확대와 경쟁력 있는 게임 출시에 주력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9% 증가, 영업이익은 345.5%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되었습니다. 캐주얼게임 '고양이 나무꾼'과 '고양이 오피스'가 각각 200만, 1,200만 이상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PC MOBA '이터널리턴'의 실적 개선으로 수익성이 향상되었습니다.. 하이퍼캐주얼, 퍼즐, 액션 등 다양한 신규 게임 출시와 기존 게임 업데이트를 진행하며, 개발사 투자와 퍼블리싱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넵튠은 소셜 VR 메타버스와 VR 콘텐츠를 개발하는 게임사로 구글 스마트글래스가 상용화될 경우, 관련 콘텐츠 개발이 예상되어 구글 스마트글라스 관련주에 속합니다.
  • 넵튠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뉴프렉스

  • 기업개요 : 뉴프렉스는 1992년 데보라전자로 설립되어 2000년 법인회사로 전환하였으며, 2006년 코스닥 상장기업이 되었습니다.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국내 본사와 베트남 현지법인 2곳을 통해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화 트렌드에 맞춘 주문형 전자부품을 생산하며, 자동차 전장 및 전기차 배터리용 제품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감소, 영업이익은 41.8% 증가, 당기순이익은 137.1% 증가했습니다. 스마트폰, OLED 등 전자제품 세트업체 수요와 환율, 원자재 가격 등 해외 경기변동으로 매출은 감소했으나,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스마트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보급과 전장 디스플레이, 전기차 시장 성장으로 FPCB 수요가 지속 증가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뉴프렉스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생산하는 업체로 카메라 모듈과 무선충전용 FPCB를 주력으로 생산하는데, XR 기기 시장 내 78%의 점유율을 자랑하는 메타(META)의 메타 퀘스트에 들어가는 카메라 모듈용 FPCB를 단독공급하고 있어 구글 스마트글래스 테마주입니다.
  • 뉴프렉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위세아이텍

  • 기업개요 : 위세아이텍은 1990년 설립되어 AI와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기반의 디지털 혁신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I 개발 플랫폼 '와이즈프로핏'과 빅데이터 분야의 데이터 품질 관리, 분석 설루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시스템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STO, 바이오, 무역, 제조 등 다양한 산업 플랫폼 기업들과 협력하며 글로벌 SaaS 구독 판매와 플랫폼 기술 소싱 수익 모델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8%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87.6% 감소했습니다. 2023년 영업손실 이후 원가 절감 및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영업이익 흑자로 돌아서며 실적을 회복하였습니다.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동사가 보유한 다양한 빅데이터 통합 및 관리 노하우와 AI 연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 기조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위세아이텍은 AI, 빅데이터, 메타버스 신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 현재 구글, 퀄컴, 삼성전자와 함께 XR 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어 구글 스마트글래스 수혜주에 포함됩니다. 과거 삼성물산이 전락적 지분 투자에 참여했고, 최근 삼성SDI와 4개 기술 부문(△데이터 아키텍처 △빅데이터 분석 △BI △AI)에서 협업하는 등 삼성과 지속적인 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위세아이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선익시스템

  • 기업개요 : 선익시스템은 2017년 코스닥 상장된 OLED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 기업입니다.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세계 점유율 1위이며,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용 OLEDoS 증착기 시장에서 300mm 웨이퍼 양산장비를 생산한 유일 업체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기술 개발로 8.6세대 증착기 상용화에 성공해 연구개발용 소형장비, 양산용 대형 장비, 양산용 올레도스 장비까지 증착장비 풀 라인업을 구축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0.9%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204.1% 증가했습니다. 중소형 증착기 시장 80% 이상의 점유율 확보와 2024년 중국 고객사와 8세대 양산용 대형 증착기 공급 계약 체결로 시장 확대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OLED 시장이 모바일, TV에서 태블릿, 차량용까지 확대되며 2024년 OLED 비중 36.6% 전망, AR/VR, 폴더블 등 신규 분야 성장 가속화가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선익시스템이 유리기판에서 고해상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비(얼라이너)를 개발했습니다. 기존 대비 최대 4배 이상 향상된 해상도의 OLED를 제조할 수 있는 장비로, 가상현실·확장현실(VR·XR) 기기용 OLED 생산성과 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구글 AI글래스 관련주에 속합니다.
  • 선익시스템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이랜텍

  • 기업개요 : 이랜텍은 1982년 설립되어 2002년 코스닥 상장, 2024년 이랜텍, 라이페코리아와 합병을 진행했습니다. 휴대폰 부품인 배터리팩, Case, 충전기를 글로벌 업체에 공급하며, 전동공구, 노트북, 청소기용 배터리팩과 TV, 전자레인지 등 가전제품 부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궐련형 전자담배 생산과 함께 ESS, 로봇용, E-모빌리티용 중대형 배터리팩 사업을 확대 중이며, E/V 배터리팩 공급을 준비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6% 감소, 영업이익은 47.1% 감소, 당기순이익은 97.9% 감소했습니다. 휴대폰 시장 성장세 둔화와 교체수요 감소로 실적이 하락세이나, 신흥시장 공략을 통한 시장 지배력 확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배터리팩 제조 사업을 해외법인과 연계해 소형배터리 매출 확대 및 청소기, 전동공구, ESS, E-모빌리티, E/V 등 중대형시장 진입으로 글로벌 도약을 준비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이랜텍은 증강현실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을 구현한 스마트안경 단말을 개발한 이력이 있어 구글 AI글라스 수혜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삼성전자와 증강현실(AR) 안경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나선 바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 이랜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에스코넥

  • 기업개요 : 에스코넥은 2000년 1월 주식회사 에스코넥으로 설립되어 2007년 1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스마트폰 금속 부품, 1차 전지, 2차 전지 금속 부품, 친환경 수소 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외 생산기지를 통해 글로벌 제조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의 거래관계를 기반으로 연구개발과 생산 기술력을 인정받아 품질최우수상, 고객사 모델화 사업장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 증가, 영업이익은 48.7% 감소, 당기순손실은 2378% 증가했습니다. 폴더블폰과 같은 혁신적 제품의 등장으로 고급 금속 부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소재 활용이 부각되는 추세입니다. 전기차 시장 확대로 2차 전지 부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밀 금형 설계 및 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고객사 점유율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에스코넥은 스마트폰 금속 부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회사로 삼성전자와 오랜 협력을 이어가고 있어 구글 안경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삼성전자가 구글 스마트안경 개발을 할 경우, 관련 금속 부품을 제조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에스코넥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