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피부미용에 대한 전연령층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톡스의 판매량 또한 늘고 있습니다. 오늘은 보톡스가 무엇인지, 그리고 국내 보톡스 관련주, 테마주는 어떤 종목들이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보톡스 내용 정리
1) 보톡스 개요
보톡스는 주름 개선용 주사제입니다.
원래 보톡스는 미국 제약사 엘러간이 제조한 근육수축 주사제의 명칭인데, 주름 개선용 주사제에 활용되며 주름개선 치료제 고유명사가 되었습니다. 보톡 스는 초기 투자규모가 작고, 보툴리눔 독소가 스스로 성장하는 미생물이기 때문에 제품 개발에 성공하면 고정적으로 일정한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미 용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 증가와 원가 대비 수익률이 높아 해당 산업으로 진입을 위한 인수합병이 활발합니다.
▣ 보톡스 관련주 투자 KEY POINT
보톡스 산업은 투입 원가 대비 수익이 높으며, 시장진입을 위해 인수합병이 활발합니다. 관련 기업들은 보툴리눔톡신을 연구하여 자체 보톡스를 개발하거나 해외 제약사의 보톡스를 국내에 유통하는 판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 보톡스 주요 제조사
국가 | 제조사 |
대한민국 | 메디톡스, 휴젤, 대웅제약, 휴온스, 파마리서치바이오, 제테마, 이니바이오, 한국비엠아이, 한국비엔씨 |
미국 | 앨러간, Solstice Neurosciences |
독일 | Merz |
프랑스 | Ipsen |
3) 보톡스 소개영상
4) 보톡스 가격정보
보톡스에 대한 가격정보는 아래 링크를 통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톡스 가격정보 (2025) | 모두닥
병원들이 직접 제출한 가격을 통해 보톡스 가격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www.modoodoc.com
2. 국내 보톡스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1) 메디톡스
- 기업소개 : 메디톡스는 2000년 의약품 제조와 보툴리눔 독소단백질 치료제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습니다. 보툴리눔 A형 독소 및 독소 이용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제조판매가 주력이며, 세계 4번째로 독자 원천기술로 메디톡신을 개발해 국내외 공급하고 있습니다. 오송에 EU-GMP·FDA cGMP 기준 적합한 제3공장을 건설하고, UAE 두바이에 할랄 인증 생산라인 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17.5% 증가, 당기순이익은 73.8% 증가했습니다. 메디톡신 등 주요 제품의 안정적인 판매와 신제품 출시로 인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로 매출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차세대 제품 뉴럭스의 식약처 품목허가 획득과 지방분해주사제 뉴브이의 허가 신청 등 신제품 개발을 통한 제품 다변화를 추진하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보툴리눔 A형 독소(Clostridium botulinum Toxin Type A) 및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바이오의약품의 연구ᆞ개발 및 제조ᆞ판매를 주력하고, 세계 4번째로 독자 원천기술로 메디톡신을 개발하여 국내 보톡스 대장주로 인식됩니다. 메디톡스가 허가받지 않은 원액로 보톡스 제제 '메디톡신'을 제조했다는 이유로 품목허가 취소 및 제조/판매 중지 명령을 받았으나, 식약처를 상대로 제기한 행정소송에서 최종 승소했습니다.
- 메디톡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휴젤
- 기업소개 : 휴젤은 2001년 생물의학관련 제품의 개발, 제조, 판매 및 수출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15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습니다.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으로서 보툴리눔 톡신, HA필러, 화장품, 스킨부스터, 리프팅 실 등의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 확대를 위해 고기능성 특허 성분 기반의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와 토탈 에스테틱 솔루션 제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7% 증가, 영업이익은 41.1% 증가, 당기순이익은 45.9% 증가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 및 필러 제품의 안정적인 판매와 화장품 사업의 성장으로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리도카인 함유 액상 보툴리눔 톡신 제품 개발과 국소지방분해제제 신약 개발을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으며, 스킨부스터 시장 진출로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으로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휴젤은 보툴리눔톡신 제제 '보툴렉스'(미국명 : 레티보)를 개발하여 국내 기업 최초로 해외 3대 시장인 미국과 중국, 유럽에 모두 진출하여 보톡스 테마주에 포함되었습니다.
- 휴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휴메딕스

- 기업소개 : 휴메딕스는 2003년 한약마을로 설립되어 2010년 휴메딕스로 상호를 변경했습니다. 히알루론산과 PDRN을 연구개발하여 필러, 관절염 치료제, 점안제 등 의약품 및 의료기기를 생산해 국내외 헬스케어 시장에 공급하며, 원천기술 기반 의약품, 의료기기,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에이치엘비제약, 제넨바이오, 지투지바이오와 협업으로 비만치료제, 이종피부용 바이오 드레싱, 장기 약효 지속형 주사제 등 R&D 파이프라인 확대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3% 증가, 영업이익은 15.6% 증가, 당기순이익은 58.2% 증가했습니다. 제품 매출 증가로 실적이 개선되었으며, 히알루론산 필러의 중국 NMPA 승인과 러시아 연방보건서비스관리감독청 허가로 글로벌 시장 확대가 기대됩니다. 헤파린나트륨 국내 최초 국산화로 원료의약품 독점 공급 예정이며, PDRN 원료 활용 필러 제품의 글로벌 진출 추진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휴온스그룹 계열사인 휴메디스는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 '리즈톡스(LIZTOX, 수출명 : 휴톡스)'를 2019년 6월에 국내시장에 출시하여 보톡스 관련주에 편입되었습니다. 지주회사인 휴온스글로벌, 관계사인 휴온스도 같은 보톡스 테마에 속해 있습니다.
- 휴메딕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대웅제약
- 기업소개 : 대웅제약은 2002년 주식회사 대웅의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습니다. 화성시 향남공단과 청주시 오송생명과학단지에 KGMP 기준의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보타, 우루사, 펙수클루, 엔블로 등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AI 기술 발전과 고령화에 대응하여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선도 및 혁신 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20.7% 증가, 당기순이익은 79.7% 감소했습니다. 펙수클루, 엔블로, 나보타 3대 혁신신약이 성장을 주도하며 우루사 등 전통 품목도 고르게 성장하여 전례없는 실적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투자를 지속하며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항암제, 간 섬유증 신약 등 혁신 신약 개발을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대웅제약은 자체 개발한 보툴리눔 톡신인 '나보타'를 현재 68개국에 품목 허가를 획득하며 해외 시장에서 꾸준히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어 보톡스 수혜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나보타를 이을 후속제품으로 미국에서 신규 홀A 하이퍼 보툴리눔 균주를 반입하여 DWP712에 대한 임상 3상시험 계획 승인을 완료했습니다. DWP712가 임상을 통과할 경우, 보툴리툼 톡신 강자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대웅제약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한국비엔씨
- 기업개요 : 한국비엔씨는 2007년 설립 후 2019년 코스닥 상장하였으며, 더말필러 등 미용성형용 의료기기와 안티에이징 미용기기, 창상피복재 등 수술용 의료기기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히알루론산과 콜라겐을 가공한 의료기기, 의약품, 코스메슈티컬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생명공학 연구용 시약과 키트의 바이오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생산기술 고도화와 제품 부가가치 증대를 위해 다양한 선행기술 개발과 신규 의약품 생산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 증가, 영업이익은 77.1% 증가, 당기순이익은 48.2% 감소했습니다. 안면미용성형 수요 증가와 고령화 인구의 비수술적 노화 개선 수요로 미용성형 시장이 성장하며 실적 개선. 세종시 의약품 GMP 생산시설 구축으로 보툴리눔톡신, 당뇨·비만치료제 등 신규 의약품 시장 진출 준비 중이며 의료기기 사업과 시너지가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국비엔씨는 식약처로부터 자체 개발한 보톡스(보툴리눔톡신) '비에녹스주'의 수출허가를 20년 1월에 획득했고, 24년 3월에 국내 제조판매 품목허가를 획득하여 보톡스 테마주에 포함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성형, 미용분야의 제품 판매와 마케팅에 강점이 있는 동국제약을 국내 판매 파트너로 선택하여 국내 판매 확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 한국BNC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파마리서치바이오 (구. 바이오씨앤디)
- 기업개요 : 파마리서치바이오는 2009년 바이오씨앤디로 설립되어 2018년 파마리서치바이오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보툴리눔 톡신제제 전문의약품을 연구하는 전문 제약회사입니다. 2017년 보툴리눔 톡신 전용공장을 준공하여 해외 수출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24년 2월 리엔톡주 식약처 품목허가를 취득하였습니다. 생물안전 3등급 기준의 보툴리눔 독소 전용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모기업인 파마리서치의 아시아 지역 파트너십을 활용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0.3% 증가, 영업이익은 39.3% 증가, 당기순이익은 340.4%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항노화 시장 성장으로 보툴리눔 톡신 시장이 확대되며, 미용 목적 외 다양한 치료 적응증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고령화와 중산층 부상으로 건강·미용 수요가 증가하고, 편리성과 안정성 중시 패러다임으로 보툴리눔 독소 시장의 지속 성장이 전망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파마리서치바이오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A형 독소를 이용한 '리엔톡스주'를 개발 및 판매하고 있어 보톡스 관련주로 볼 수 있습니다.
- 파마리서치바이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제테마
- 기업개요 : 제테마는 2009년 키토산 응용 DDS 개발 바이오 연구기업으로 출발해 2014년 휴먼메디칼 합병, 2015년 용인에 히알루론산 필러 전용 공장을 준공했습니다. 안면미용 목적의 히알루론산 필러, 보툴리눔 독소 활용 바이오 의약품, 조직 봉합 및 안면 고정 리프팅실 등을 연구개발·제조하였습니다. 2020년 브라질, 2022년 중국과 6천억원대 라이선스 아웃 계약, 2024년 태국과 400억원 규모 톡신 수출계약을 체결하며 해외시장 확대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7% 증가, 영업이익은 56.1% 증가, 당기순이익이 적자전환되었습니다. 히알루론산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 제품의 매출 증가로 실적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국내외 인허가 진행과 함께 미용·성형 및 치료용 시장으로 사업영역 확장 중입니다. 글로벌 히알루론산 필러 시장은 2022년 38억 달러에서 2029년 9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전망되며, 신흥국 시장 확대로 지속 성장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제테마는 미국법인 제테마USA를 설립하여 보툴리눔톡신 'JTM201'의 미국 상업화를 위해 2상 임상을 진행하고 있어 보톡스 수혜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 캘리포티아에 필러 공장 설립도 추진하여 북미와 남미시장 진출까지 노리고 있습니다.
- 제테마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디에스케이
- 기업개요 : 디에스케이는 1995년 디스플레이 장비 및 메카트로닉스 관련 정밀 시스템 제조를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9년 코스닥 상장된 중소기업입니다. 이차전지장비, 카메라모듈장비, FPD용 Bonding System, 메카트로닉스를 주력사업으로 하며, 바이오 및 신재생 에너지 신규 사업 추진 중입니다. 차별화된 메카트로닉스 정밀 시스템 장비 제조 역량으로 FA사업 다각화를 진행하며 모바일 카메라 모듈 등 첨단사업 관련 자동화 장비를 개발 및 제작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3% 감소, 영업손실은 102.9%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이차전지 생산라인이 소형에서 전기차·ESS용 중대형배터리로 진화하는 시장 변화에 대응하며 자동화공정시스템 수요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과 재생에너지 확대로 이차전지 장비 산업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이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과 제조 공정 혁신으로 새로운 기회가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디에스케이는 보툴리눔 독소 단백질 치료제를 제조/판매하는 '프로톡스'를 주요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어 보톡스 테마에 속한 종목입니다. 자회사인 프로톡스가 개발중인 보톡스 '프로톡신주'가 임상 3상에 대한 IRB(임상연구심의위원회) 승인을 받는데 성공했습니다.
- 디에스케이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알에프텍
- 기업개요 : 알에프텍은 1995년 무선통신 응용장치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02년 코스닥 상장되었습니다. IT사업에서 모바일기기 부가장치와 기지국 장비를 ODM방식으로 공급하며, 바이오사업에서 의료기기·화장품을 제조·판매하고, 장비사업에서 디스플레이·반도체장비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와의 전략적 협업 및 해외 현지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며, 보툴리눔톡신과 이차전지 물류자동화시스템 등 신규사업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 증가, 영업이익은 64%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모바일 부가기기와 기지국 장비 등 IT사업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성장했으나, 원가 부담 증가로 수익성은 제한적입니다. 신흥시장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와 폴더블폰 등장으로 교체 수요 확대 전망되며, AI·IoT·자율주행차량 등 신기술로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자회사인 알에프바이오가 세계 최초로 벌꿀에서 보툴리눔균 분리 공정에 성공하여 보톡스 섹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알에프바이오는 원주 신공장을 설립하여 필러 및 화장품 전용공장(A동)과 보툴리눔톡신 전용 공장(B동)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원주 신공장에선 최대 100만 바이알의 톡신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본격적으로 보톡스 제품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알에프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바이오비쥬
- 기업개요 : 바이오비쥬는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에서 히알루론산 및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스킨부스터 및 필러 제품을 전문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제조·판매합니다. 사업 분야는 화장품, 의료기기, 의약품으로 구성됨. 화장품 품목은 스킨부스터에 해당되며, MTS 등을 활용하여 피부에 공급하는 제품입니다. 의료기기 품목은 HA필러, 의약품에 해당하는 품목은 보툴리눔톡신 등 코슈메디컬 시술의 종류에 따라 쓰이는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엑소코바이오와 엑소좀 제품인 ASCE+를 총판계약을 체결하고 중국시장을 대상으로 독점적으로 판매하며 우수한 효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마케팅 및 유통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HA필러의 국내 식약처 인허가와 CE인증을 취득하기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신규사업으로 확대할 전망입니다. 2026년 CE인증(유럽)을 통해 규제시장에 진출하고 K-Beauty에 대한 관심과 신뢰를 기반으로 Local 판매 Top10 목표로 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바이오비쥬는 최근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으로 필러 및 톡신 기반 에스테틱 전문기업이고, 히알루론산(HA)필러와 보톡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보톡스 테마주에 속합니다. 이로 인해 모회사인 청담글로벌도 같은 보톡스 섹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바이오비쥬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국내 그래픽처리장치 GPU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12) | 2025.06.05 |
---|---|
[기업분석] 국내 웹툰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5 (10) | 2025.06.03 |
[기업분석] 국내 알콜 주류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2 (5) | 2025.05.24 |
[기업분석] 칼부림 흉기난동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24) | 2025.05.23 |
[기업분석] 양계 닭고기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5)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