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기업분석] IT 사이버 정보 보안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5

by 머니투어 2025. 4.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SKT의 유심 해킹 사태를 비롯해 보안이 철저하다는 금융권에서도 해킹 사건이 꽤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습니다. 해킹 수법이 날로 고도화되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 보안에 대한 중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IT 사이버보안 관련주, 테마주들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

 

1. IT 사이버 정보 보안 관련주 수혜주 테마주 TOP15

1) 샌즈랩

  • 기업개요 : 샌즈랩은 2004년 세인트시큐리티로 설립되어 2021년 샌즈랩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23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전문기업으로서 AI와 빅데이터 기반 자체 분석 기술로 악성코드 등의 사이버 위협 정보를 자동 분석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루 평균 200만개의 악성코드를 실시간 분석하여 약 300억개의 사이버 위협 분석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9.2% 감소, 영업손실은 319.6%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사업이 매출의 66.3%를 차지하나, 전년 대비 매출 감소와 영업손실 확대로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AI 역기능 억제용 사이버 보안 RAG 기반 sLLM 모델 개발과 BAS 핵심 기술 및 제품 출시로 시장 경쟁력 강화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샌즈랩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malwares.com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를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에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샌즈랩은 DPI 기반 IT/OT 트래픽을 분석하고 APT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NDR 솔루션인 'MNX'와 머신러닝 기반 APT 공격 대응 및 문서형 악성코드 탑지 솔루션인 'MDX', 국내 최초 머신러닝 기반 의 차세대 안티 바이러스 'MAX'를 제품으로 갖추고 있습니다. 샌즈랩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차세대 인공지능(AI) 기반의 사이버 보안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며 국내 사이버 보안 테마의 대장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샌즈랩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지니언스

  • 기업개요 : 지니언스는 2005년 정보보안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설립되어 2017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NAC, EDR, GPI 등 정보보안 제품 판매와 솔루션 유지관리 및 기술지원을 제공하며, 전 세계 36개국에 63개 파트너사와 27개국 143개 고객을 확보했습니다.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받은 NAC 솔루션으로 미국, 중동 등 시장 확대를 추진 중이며, 38억원 규모의 사이버 보안 국제협력 과제 주관기관 선정으로 EMEA 시장 진출을 확대하였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7% 증가, 영업이익은 52.2% 증가, 당기순이익은 74.7% 증가했습니다. NAC 사업은 공공 시장 강세 유지와 대기업 등 민간 부문 수요가 확대되었고, EDR 사업은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으로 확대되며 산업별 대표 레퍼런스를 확보했습니다. 최근 사이버 보안의 영역이 점점 넓어지고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는 가운데, 정부의 사이버 보안 정책 수립, 예산 증대 등 우호적으로 변화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지니언스는 기업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NAC(Network Access Control), 사용자의 행위 및 PC 내부를 모니터링해 알려지지 않은 위협을 탐지하는 EDR(Endpoint Detection & Response) 등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어 사이이버 보안 테마주에 속해 있습니다.  지니언스의 NAC, EDR 시장 점유율은 각각 75%, 49%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모건스탠리 자회사 '모건스탠리앤씨오인터내셔널PLC'(모건스탠리 & Co, 인터내셔널 PLC)는 장내 매수를 통해 지니언스의 지분을 5.04% 보유하며 급등한 바 있습니다.
  • 지니언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케이사인

  • 기업개요 : 케이사인은 1999년 주식회사 케이사인으로 설립되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중소기업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시스템 보안, 컨텐츠/정보유출 방지, 암호/인증, 보안관리 등 정보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 보안위협 방지,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시티 융합보안관리, 차세대 인증 솔루션 등 신규 사업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1% 증가, 영업이익은 69.4% 감소, 당기순이익은 63.4% 감소했습니다. DB암호화 제품은 삼성 표준화 제품 선정 이후 금융권 대형 프로젝트 수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며 안정적 매출을 달성하였으나 종속법인 (주)샌즈랩의 신제품 출시를 위한 비용의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 감소하였습니다. AI 기술을 활용한 보안 솔루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케이사인은 DB암호화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2010년 삼성 표준화 제품으로 선정된 이후 지속적인 납품과 유지보수로 안정적인 매출을 일으키며 사이버보안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국내 사이버 정보보안 대장주인 샌즈랩을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샌즈랩, 한전 KDN과 함께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 전환 지원' 사업을 수주하기도 했습니다.
  • 케이사인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모니터랩

  • 기업개요 : 모니터랩은 2005년 설립, 2023년 코스닥 상장된 B2B向 애플리케이션 보안 제품과 서비스 공급 기업입니다. AIWAF, AISWG, AISVA 등의 제품과 유지보수, 매니지드서비스, SaaS형 클라우드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체 개발 AIOS와 고성능 Proxy엔진으로 보안 솔루션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로트러스트액세스와 SASE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보안서비스를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 추진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1%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되었습니다. 클라우드 보안서비스와 제품 매출이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유지보수 서비스와 매니지드서비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나 비용 증가로 수익성은 제한적입니다. 클라우드 보안 시장의 성장과 함께 Secure CDN 서비스와 ZTNA 서비스 등 신규 사업 확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모니터랩은 웹방화벽과 보안웹게이트웨이 서비스 분야에서 국내 시장을 리딩하고 있어 사이버 보안 수혜주로 인식됩니다. 모니터랩은 SECaas를 아이온클라우드라는 플랫폼 및 Appliance 개발 및 공급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모니터랩의 주요 매출처는 웹방화벽(AIWAF)입니다. 모니터랩의 웹방화벽(AIWAF, Application Insight Web Application Firewall)은 웹 애플리케 이션과 API 보안에 최적화된 하드웨어형 웹방화벽입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프록시 엔진을 기 반으로 웹 서버로 유입되는 모든 트래픽을 검사하여 OWASP TOP 10, L7 DoS 공격, 악성 봇과 같은 웹 기반 공격으로부터 고객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 모니터랩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파수

  • 기업개요 : 파수는 2000년 설립되어 데이터보안, 애플리케이션보안, 정보보호컨설팅 사업을 영위하며, 2024년 파로스네트웍스의 OT·ICS 보안 사업부문을 인수했습니다. 콘텐츠/정보유출방지보안 분야의 데이터보안, 소프트웨어 품질·보안 테스트, 기업의 정보보안 취약점 및 보안체계 컨설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였습니다. AI 기반 보안 솔루션과 Private LLM 개발 등 신규 사업 확장을 통해 생산기술 고도화와 제품 부가가치 증대를 추진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1% 증가, 영업이익은 2.2% 증가, 당기순이익은 2.1% 증가했습니다. 데이터보안 사업 매출 증가와 AI 기술 활용 보안 솔루션 개발, 기업형 Private LLM 모델 출시로 사업 경쟁력 강화중입니다. 클라우드 보안 이슈 증가와 생성형 AI 기술의 부상으로 데이터 중심 보안 솔루션 중요성 확대되어 시장 성장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파수는 데이터보안사업, 애플리케이션보안 분야 사업, 정보보호컨설팅 사업, 엔터프라이즈 문서 플랫폼 사업과 외부 협업 플랫폼, 개인정보 비식별화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IT 보안 테마주에 속해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보안 분야는 사업경쟁력 강화 및 사업 역량 집중을 위해서 2018년 물적분할을 통해 (주)스패로우를 설립하여 사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 FASOO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아톤

  • 기업개요 : 아톤은 1999년 설립되어 핀테크 인증/보안 솔루션과 간편인증 서비스를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신한, NH농협, KB국민 등 대형 은행과 신한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등 주요 증권사에 안전하고 간편한 보안 인증 솔루션을 제공하며, 2019년 통신3사와 PASS인증서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미국 NIST 인증을 받은 양자내성암호화 표준을 적용한 차세대 인증서 솔루션으로 보안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9% 증가, 영업이익은 26.5% 증가, 당기순이익은 14.8% 증가했습니다. 핀테크 보안 솔루션 부문 매출 증가로 실적이 개선되고 있으며, 금융권 클라우드 전환에 맞춘 솔루션 공급 준비와 기업용 사설인증서 시장 확대로 성장세 지속하고 있습니다.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과 클라우드 확산으로 보안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보안인증 기술 수요가 지속 성장할 전망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아톤은 핀테크 보안 솔루션 및 인증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보안/인증 솔루션 기업으로 국내 IT 보안 관련주에 속해 있습니다. 국내 최초 MTS 서비스, 안드로이드 모바일 뱅킹 개발, 세계 최초 보안매체 금융 솔루션 출시 등 다양한 이력을 기반으로 성장하였습니다. ATON MOTP, mPKI, mSafeBox, wSafeBox 솔루션을 금융권 등에 공급하며 기술 혁신과 금융 IT 서비스 경험 을 통해 보안인증 분야를 리딩하고 있습니다.
  • 아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이글루

  • 기업개요 : 이글루는 1999년 통합보안관리솔루션과 보안관제서비스를 주사업으로 설립되어 2010년 코스닥 상장했습니다. AI, SOAR, OT 보안, CTI 및 전문 보안 서비스를 전개하며, 국내 SIEM 시장점유율 1위를 20년 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오픈 XDR 전략과 차세대 보안관제 플랫폼 공급 확대에 주력하며, 이글루 얼라이언스를 통해 보안 기능과 인텔리전스를 지속 확장할 방침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 증가, 영업이익은 19.5% 감소, 당기순이익은 25.1% 감소했습니다. 통합보안관제 서비스와 통합보안관리 솔루션을 주력으로 공공기관, 금융, 통신, 기업, 교육 분야 등 500여 개의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정보보호산업 육성으로 2027년까지 시장 규모 30조 전망되며, 제로트러스트·통합보안 등 보안 패러다임 전환으로 시장 확대가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이글루는 통합보안관리솔루션(ESM) 및 보안관제서비스(MSS)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있어 IT 보안 수혜주로 분류됩니다. 통합보안관리(SIEM)라는 영역을 개척한 후 국내 시장을 주도해 온 결과 통합보안관리 분야의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AI가 핵심 성장 동력이며, AI보안관리솔루션을 국내 최초로 출시하였습니다. 보안 오케스트레이션·자동화·대응(SOAR)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이글루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디지캡

  • 기업개요 : 디지캡은 2000년 설립, 2018년 코스닥 상장된 디지털콘텐츠 전문기술기업이빈다. 영상보안/보안 SW·솔루션, AI 기술 활용 영상 콘텐츠 최적화, 메타버스, 디지털트윈, 콘텐츠, 디지털방송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AI 기술을 접목하여 디지털콘텐츠 영역의 혁신을 이루며, 데이터 분석, 예측 모델링, 자동화 및 콘텐츠 생성 등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14.3%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되었습니다. 24년 방송·미디어를 넘어 게임, 영화·애니메이션, OTT 콘텐츠, 건축·디자인 등으로 고객층을 확대해 3,000개 이상의 고객군 대상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지털콘텐츠 시장은 24년 2,399억 달러에서 32년 5,814억 달러로 연평균 11.7% 성장이 전망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디지캡은 보호솔루션, 방송서비스 솔루션, N-스크린 솔루션 등의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디지캡은 디지털방송 보호를 위해 방송의 수신을 제어하는 CAS 솔루션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관리·보호하는 DRM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어 정보보안 테마주로 분류되고 있다
  • 디지캡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모코엠시스

  • 기업개요 : 모코엠시스는 2007년 설립되어 2022년 신한제6호기업인수목적과 합병 후 코스닥 상장된 중소·벤처기업임. 제조, 금융, 서비스, 공공 등 전 분야 기업 고객 대상으로 연계솔루션, 보안솔루션, 클라우드솔루션을 개발·판매·구축하는 사업을 영위합니다. AI플랫폼 '모아이'를 개발해 Chatbot 등 앱과 서비스에 적용하고, 문서 기반 AI 서비스를 추진하며 디지털 혁신 선도 기업으로 성장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3.7% 증가, 영업이익은 187.7% 증가, 당기순이익은 118.3% 증가했습니다. 연계솔루션, APM솔루션, 보안솔루션의 성장으로 매출 증가했으며, 클라우드와 AI 기술 확대로 실적 개선되었습니다. 클라우드, AI, 빅데이터 시장의 성장과 디지털 전환으로 연계기술 수요 증가, AI 플랫폼 모아이 및 문서 기반 AI 서비스 확대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모코엠시스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연계솔루션, 보안솔루션, APM솔루션을 개발, 판매 사업을 영
    하고 있어 정보보안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모코엠시스는 현재 제조, 금융, 서비스, 공공 등 전 분야의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연계솔루션, 보안 솔루션, APM솔루션을 개발, 판매, 구축, 유지보수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모코엠시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신시웨이

  • 기업개요 : 신시웨이는 2005년 데이터베이스 보안 제품 개발 전문기업으로 설립되어 2023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DB접근제어, DB암호화, 비정형 파일 암호화 등 데이터 보안 제품을 개발하여 공공기관 및 기업의 정보보호와 시스템 운영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기업부설연구소와 제주 R&D센터를 통해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GS인증과 국내 최초 DB암호화 CC인증 취득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3.1% 증가, 영업이익은 55.2% 증가,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되었습니다. 데이터 보안 시장의 성장과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전환 가속화에 따른 보안 수요 증가로 매출이 확대되며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 보안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국제 특허 출원 등 해외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신시웨이는 데이터베이스 보안 제품을 주력으로 개발, 공급하는 데이터 보안 전문 기업으로 정보보안 수혜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신시웨이의 주요 제품으로는 DB접근제어를 담당하는 페트라 및, 페트라 사인과 암호화 솔루션 부문의 페트라 사이퍼, 페트라 파일 사이퍼 등이 있습니다. 신시웨이의 DB접근제어와 암호화 제품은 GS 인증을 취득하였고 국내 최초로 DB 암호화 제품이 CC인증을 취득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아 사이버보안 관련주로 부각된 전력이 있습니다. 또한, 신시웨이는 모회사인 엑셈을 통해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등 ARM 솔루션과 DB 모니터링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신시웨이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1) 플랜티넷

  • 기업개요 : 플랜티넷은 2000년 설립, 2005년 코스닥 상장된 네트워크 차단방식의 인터넷 유해콘텐츠차단서비스 기업입니다. 국내 3대 ISP사업자와 MSO사업자, 케이블인터넷 사업자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외에서는 대만 중화전신, 베트남 VNPT 등 주요 통신사가 고객사입니다. 유해 영상 스트리밍 차단기술과 인텔리전트 트래픽 솔루션 개발 등 신규서비스 및 매출포트폴리오 다양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9% 증가, 영업이익은 68.4% 증가, 당기순이익은 0.7% 감소했습니다. 재택근무 확대로 기업의 비업무사이트 차단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SSL 암호화 트래픽 사이버 공격 증가로 보안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높아져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 청소년층 중심 증가로 유해컨텐츠 차단서비스의 사회적 필요성이 높아져 지속 성장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플랜티넷은 국내 최초 인터넷 망을 통한 유해 사이트 필터링 서비스를 상용화한 기업으로 네트워크 차단방식의 인터넷 유해 콘텐츠 차단 서비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어 해킹 보안 관련주에 속합니다. 플랜티넷은 국내 3대 ISP사업자(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뿐 아니라 MSO사업자, 케이블인 터넷 사업자를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해외법인 고객으로는 대만의 중화전신, 베트남의 VNPT 등 굴지의 통신사를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 플랜티넷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2) 휴네시온

  • 기업개요 : 휴네시온은 2003년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2018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현재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으로 분류됩니다. 정보보호 분야를 주력으로 하며 망연계 솔루션 시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정보보호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보안 솔루션을 선도하는 기업을 목표로 하며, 네트워크 보안 관련 17개의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증가, 영업이익은 32.4% 감소, 당기순이익은 40.9% 감소했습니다. 네트워크 보안솔루션 제품과 용역 서비스를 주력으로 하는 가운데 매출은 소폭 증가했으나, 영업비용의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하였습니다. 가상화 기반 다중망 연계, 네트워크 접근 제어, 악성코드 탐지 등 다양한 보안 기술 특허를 확보하며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정보보안 솔루션 전문 업체로 네트워크 보안 분야 망간자료전송(i-oneNet V4.0)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어 해킹보안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암호/인증 분야 통합계정관리(NGS V6.0) 사업과 시스템(단말) 보안 분야 모바일보안/출입관리(MoBiCa V2.0, ViSiCa V3. 0) 사업도 영위하고 한국전력공사,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등 제품의 보안표준 및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주요 기관에 대한 레퍼런스도 확보했습니다. 2020년 기준 국내 망간자료전송 시장의 42%를 점유하며 업계 1위 자리를 차지하고 통합관리계정 시장에서는 점유율 17%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휴네시온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3) 한싹

  • 기업개요 : 한싹은 1992년 설립되어 2000년 법인사업자로 전환하였으며, 202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정보보호 전문기업입니다. 망간자료전송솔루션, 패스워드관리솔루션, 보안전자팩스솔루션, 스마트빌링솔루션, 통합관제시스템 등을 주력으로 하는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개발 및 AI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신제품 출시와 제품경쟁력 강화를 통해 IT보안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96.1% 감소했습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정보보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경쟁 심화와 시장 환경 변화로 실적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망연계솔루션 시장 뿐만 아니라 신규사업과 더 좋은 제품으로 지속적인 매출과 수익 창출을 통해 출시하는 모든 소프트웨어와 상품 그리고 용역 부분에 있어서까지 MS 1위가 목표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싹은 정보보안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망간자료전송솔루션(SecureGate), 패스워드관리솔루션(PassGuard), 보안전자팩스솔루션(Office Gate), 스마트빌링솔루션(UNIBILL), 통합관제시스템(UNIBILL IBMS) 등이 있습니다. 주요고객은 공공기관 및 금융사이며, 정부지침에 따라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수요증가가 예상되어 시장 대응을 위해 클라우드전용 망간자료 전송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 한싹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4) 한국정보인증

  • 기업개요 : 한국정보인증은 국내 최초의 인증기관으로 설립되어 인증서, PKI 솔루션, OTP, SSL, 전자문서, 전자서명서비스 등을 영위하는 통합보안인증 기업입니다. 공동인증서 발급, PKI 솔루션 개발 및 판매, SSL 판매, OTP 제품, 전자서명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며, 2024년 디지털존과의 합병으로 전자문서 사업이 추가되었습니다. 핵심사업 입지 강화와 신기술 개발 및 미래전략 사업추진을 통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신뢰세상을 만들기 위한 성장을 도모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2.2% 증가, 영업이익은 35% 증가, 당기순이익은 20.5% 증가했습니다. 인증서 사업과 인증보안 사업을 중심으로 한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신규 사업 확대로 매출이 크게 증가하며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양자컴퓨터 시대 도래에 따른 보안 위협에 대비하여 양자내성암호 기술 연구를 진행하며, 인증과 증명의 융합을 통한 신규 서비스 확대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국내 최초의 인증기관으로서 인증서의 발급, PKI 솔루션 개발 및 판매, SSL(웹보안서버) 판매, 바이오인증서비스 등을 영위하고 있어 사이버 보안 테마주에 포함되었습니다. OTP(일회용 비밀번호)제품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주)미래테크놀로지와 '21.09.15일부로 합병을 완료했습니다. RTB(페이스북, 구글 등) 매체를 기반으로 광고를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와 인터넷 증명 발급 시스템을 주사업 으로 영위하는 업체 두 곳을 신규 취득했습니다.
  • 한국정보인증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5) 오픈베이스

  • 기업개요 : 오픈베이스는 1992년 컴퓨터 및 통신장비 제조, 소프트웨어 개발 목적으로 설립, 2001년 코스닥 상장했습니다.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네트워크 보안, ADC, 네트워크 인프라, ITO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진단/컨설팅부터 구축, 기술지원까지 서비스 제공했습니다. 2024년 보안관제센터 개소로 AI/빅데이터 기반 침해 위협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AWS, MS Azure 등과 파트너십으로 클라우드 토탈 서비스를 확대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9% 증가, 영업이익은 0.9% 증가, 당기순이익은 45.7% 증가했습니다.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원격·재택근무 확산으로 기업과 기관의 보안 투자가 확대되었으며, AI 보안 기술과 클라우드 보안 강화가 성장 동력이 되었습니다. 2025년 보안관제센터의 원격 서비스 고도화와 AI·빅데이터 기반 보안 분석 및 대응 체계 강화로 선제적 대응 역량을 향상할 계획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오픈베이스는 네트워크 및 보안솔루션 전문기업으로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킹 솔루션사업, 보안솔루션사업, 스토리지솔루션사업, 서버솔루 션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어 사이버 보안 관련주라 볼 수 있습니다. 14년7월 HP 코리아와 HP 보안솔루션에 대한 총판계약 체결. 2015년 Rapid7과 Vectra와 파트 너쉽을 체결, 18년 2월 수산아이앤티와 보안솔루션 총판계약 체결하였으며 주력 사업부문은 스위치 제품군을 생산하는 네트워킹 솔루션, 스토리지 솔루션 사업 등이 있습니다.
  • 오픈베이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기타 IT 사이버 보안 관련주 / 테마주 총정리 (TOP 40)

위의 15종목은 국내에서 사이버 보안 이슈가 생겼을 때 가장 강하게 상승하는 15종목을 정리한 것이고, 그 외에 사이버 보안 섹터에 속한 종목들은 아래에 정리했으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순번 종목명 설명
16 안랩 V3, IPS 등의 보안 솔루션 사업을 영위
17 다우데이타 컴퓨터 및 패키지 소프트웨어 도매업체로, MS, ADOBE, 오토데스크, 시만텍 등의 국내 총판 사업을 영위
18 가비아 방화벽 디도스 방어 서비스 제공 기업.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비즈니스 인프라 사업을 영위
19 이스트소프트 1993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PC 사용자에게 혁신적 효용을 제공하는 인터넷 소프트웨어와 인터넷 게임을 제공중. 알약 등 인터넷 보안 사업.
20 엑스게이트 VPN, FW, UTM 등 정보보안 필수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회사로, HW/SW 제품 판매와 임대/보안관제 서비스를 영위함.
21 이니텍 정보보안 사업으로 PKI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공급
22 드림시큐리티 통신보안 전문기업, PKI인증, 생체인증, DB보안, 스마트 인증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중이며 최근 아마존과 안면인증 플랫폼 협의 소식에 강세를 보임
23 헥토이노베이션 개인정보 보안관련 서비스 제공 (휴대폰번호 도용방지 서비스, 로그인프러스 등)
24 윈스테크넷 2011년 설립되어 1개의 종속회사와 네트워크보안 제품 제조 및 보안서비스 제공 등의 네트워크 부문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25 수산아이앤티 트래픽 분석 기술로 미승인 IP 공유기 검출, 연결단말 인증 기술 개발, 주요 통신사에 접속관리서비스 제공 중. 핵심 트래픽 분석 및 Filtering 기술로 보안솔루션 강화, Mobile Security, 가상화 기반 Data 보안 솔루션 개발 R&D 투자를 확대중.
26 에스넷 시스템·네트워크 통합 구축, HW/SW 유지보수 및 운영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ICT인프라, 데이터센터, 클라우드의 구축과 운영서비스를 제공함. 25년간의 프로젝트 구축 경험과 기술력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 MSP 운영사업과 AI 사업 확대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27 한컴위드 PKI 및 암호기술 기반의 보안 솔루션 및 서비스 제공하는 보안 소프트웨어 업체.
28 티사이언티픽 모바일 쿠폰, 정보보호/보안, ITO 및 클라우드 사업을 영위하며, 500여개 기업고객 대상 B2B와 오픈마켓 기반 B2C 사업을 병행함. AI 기반 개인정보보호 강화기술 연구개발을 진행하며 클라우드 보안, 인공지능 보안 및 OT 보안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 중.
29 나노실리칸첨단소재 위조방지 보안사업, 핵산추출 바이오 사업, 기능성 디스플레이 사업을 영위하며 세계 최초로 광결정 기반 색가변 소재 양산에 성공함. 국내외 특허권 173건, 상표권 44건, 디자인권 4건을 보유하며 지속적 기술혁신을 추진 중.
30 파이오링크 네트워크제품 제조·판매와 보안서비스를 주된 사업으로 하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최적화 제품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기업 정보자산 보호 서비스를 제공함. 데이터센터의 주요 솔루션을 연구 개발하며, 대용량 네트워크 처리와 고가용성, 보안성을 제공하는 솔루션 개발에 주력.
31 소프트캠프 문서보안에 특화된 정보보안솔루션 전문기업으로 Document Life Cycle 변화에 대응하는 Document Security 솔루션과 Zero Trust Security 솔루션을 주력으로 하며, 국내 주요 대기업금융 그룹을 중심으로 영업을 전개하고 있음
32 SGA솔루션즈 통합보안 솔루션 기업으로서 서버보안, 클라우드보안, 차세대보안, 엔드포인트보안, 시스템보안게이트웨이, 응용보안, 보안시각화 및 제로 트러스트 보안 솔루션을 제공.
33 시큐센  IT보안, 핀테크 보안, 생체인증 솔루션을 공급함. 디지털금융서비스, 보안 솔루션 및 컨설팅, 생체인증·전자서명 솔루션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며, AI 및 양자내성 암호기술 기반의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는 통합 보안 플랫폼 기업임. 국내 유일 금융서버방식 생체서비스 구축 최다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AI기반 생체인증과 블록체인 전자서명 보안기능 강화를 추진하고 있음.
34 라닉스 자동차와 IoT의 핵심기술인 무선통신, 보안 및 인증 관련 시스템반도체, S/W, H/W 솔루션을 개발하는 토털 솔루션 업체
35 지란지교시큐리티 메일보안, 문서보안, 모바일보안을 주력으로 하며, 스팸스나이퍼, 다큐원, 모바일키퍼 등 각 분야 점유율 1위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함.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 접목한 보안 시스템을 내재화하고, 블록체인과 메타버스 등 웹3.0 시장의 보안 분야 신성장동력 확보에 주력 중.
36 나노씨엠에스 나노 기반 화학구조 설계를 통한 빛 제어 소재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폐, 여권, 운전면허증, 주민등록증 등의 보안인쇄용 위조방지 기능성 보안 소재와 IT 분야 특수소재를 개발하고 있음.
37 벨로크 네트워크, 운영관리 솔루션, 정보보안 서비스를 아우르는 통합 정보보안 전문기업으로서 보안 솔루션 공급과 구축, 유지보수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 독자적 연구개발로 포트스캔, 규정관리, 지능형 영상감시, 방화벽 정책 통합관리 솔루션을 개발 중이며, 안티드론 솔루션도 추진함.
38 에스에스알 정보보호제품 판매와 솔루션 유지보수 및 기술지원을 제공하며, 취약점 분석 시스템과 진단 및 모의해킹 서비스를 주력으로 영위함. 생산기술 고도화와 제품 부가가치 증대를 위한 기술개발에 주력하며, 임직원 80% 이상이 보안 전문인력인 기술연구소로 경쟁력 강화 중.
39 라온시큐어 생체인증 기반 다요소 인증, 통합 모바일 관리 스마트워크, 통합계정 권한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며 제로 트러스트 구현에 앞장섬. 양자내성암호와 생성형 AI 보안, 딥페이크 탐지 분야의 기술 개발 및 연구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 중.
40 싸이버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보안관제 전문기업으로서 보안관제, 컨설팅, 스마트시스템, 보안솔루션 사업을 수행하며, 자체 통합보안관제시스템으로 다양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함.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