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관련주

[이슈 관련주] 갤럭시S25 출시와 국내 관련주 TOP10

by 머니투어 2025. 1.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갤럭시S25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현재 사전 예약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갤럭시S25 출시에 대한 정보와 관련 주식들이 어떤 종목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갤럭시S25 출시 정보

1) 갤럭시S25 키 포인트

 한국시각 1월 23일 새벽 3시 갤럭시 언팩 행사를 통해 새로운 뉴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 S25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시리즈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갤럭시 S25 Key Point

  • 전작과 동결된 가격
  • 3종 모두 스냅드래곤8 엘리트 탑재
  • S25U 1TB 제트블랙 컬러만 램 16GB
  • S펜 블루투스 기능 제거
  • 업그레이드 된 갤럭시 AI기능
  • S25U 초광각 해상도 업그레이드
  • 기본  모델 램 12GB
  • 갤럭시 S25 엣지 등장

2) 갤럭시S25 디자인과 무게

2-1) 갤럭시S25 디자인

 이번 S25 시리즈도 기본, 플러스, 울트라 3가지 모델로 출시하며 기존 슬림으로 예상했던 새로운 라인업 모델이 엣지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고 한정 4월 정도 출시합니다. 일반과 플러스 모델을 보면 베젤 두께나 프레임 모양 등 달라진 건 없지만, 디스플레이 크기가 0.1인치씩 커져 기본은 6.2인치, 플러스는 6.7인치로 커졌습니다. 게다가 기존에도 얇았는데 베젤이 더 얇아졌으며 화면 크기는 6.9인치로 0.1인치 커졌습니다. 전 시리즈 두께는 0.4mm 줄어들었습니다.

2-2) 갤럭시S25 무게

모델 무게 (전작 대비)
S25 162g (-6g)
S25+ 190g (-7g)
S25U 218g (-15g)

2-2) 갤럭시S25 색상

 갤럭시 S25 색상은 실버 쉐도우, 네이비, 아이스 블루, 민트 총 4가지로 출시하며 울트라 색상은 티타늄 그레이, 티타늄 화이트실버, 티타늄 블랙, 티타늄 실버블루로 이번 출시하는 컬러를 보면 기존과 다르게 산뜻한 느낌보다는 다소 칙칙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3) 갤럭시S25 스펙

3-1) 갤럭시S25 기본 스펙

  일반 플러스 울트라
해상도 FHD+ QHD+ QHD+
RAM 12GB 12GB 12GB
충전속도 25W 45W 45W
배터리 4,000mAh 4,900mAh 5,000mAh

3-2) 갤럭시S25 핵심 스펙

 한 때 지역별, 모델별 스마트폰의 심장 프로세서가 다르게 탑재될 거라는 얘기가 있었지만 다행히 전 모델 스냅드래곤 8 엘리트 for 갤럭시가 탑재되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엘리트는 지금까지 탑재된 8 Gen 시리즈의 상위 라인업 버전으로 CPU, GPU, NPU 등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부품 가격도 더 비싸졌습니다.

 동결된 가격에 애플 A18 Pro와 비교해도 오히려 더 성능이 잘 나오는 최고급 AP가 탑재되었다는 것에 실사용 체감이 어떨지 궁금해지는 부분입니다. 엘리트 칩셋은 발열 문제가 있다는 얘기도 있지만 이번에 S25 울트라의 경우 방열판인 베이퍼 챔버가 전작보다 40% 커졌고 (나머지 모델 도 15%) 맞춤형 TIM도 개선하여 발열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 보입니다.

3-3) 갤럭시S25 카메라 스펙

 일반과 플러스 모델 카메라 스펙은 전작과 같으며 울트라 역시 센서 크기는 동일하지만, 초광각 렌즈의 해상도가 12MP에서 50MP로 업그레이드 되었습니다. 다만, 확실히 알고 넘어가야 할 것은 센서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화질이나 노이즈 등 큰 차이는 없으며 50MP로 설정하고 촬영할 시 더 많은 픽셀로 인해 확대하여 크롭했을 때 좀 더 선명한 사진을 뽑아낼 수 있습니다.

 이번 S25부터 가상 조리개 기능이 추가되어 Expert Raw에 들어가 조리개를 제어할 수 있어 좀 더 전문가스럽게 심도 표현도 가능합니다. 추가로 일반 동영상 촬영 시 삼성 log 촬영 및 LUT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영상 촬영 후 소리를 분리시켜 원하는 소리만 강조하고 삭제할 수 있는 오디오 지우개 기능도 지원합니다.

4) 갤럭시S25 사전예약 정보

4-1) 갤럭시S25 출시일 정보

 다른것보다 언제 출시하는지가 궁금할 것입니다. 갤럭시 S25 사전예약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월 24일(금) 0시 ~ 2월 3일(월) 23:59

 위 사전예약 기간에 구매를 한 사람은 순차적으로 제품을 받을 수 있으며 갤럭시 S25 출시일은 2월 7일(금)입니다. 따라서 다른 사람보다 더 빨리 제품을 받고싶다면 사전예약 기간에 구매를 하길 바라며 이번에도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사전예약 혜택으로 더블 스토리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256GB → 512GB
  • 512GB → 1TB

4-2) 갤럭시S25 가격 정보

모델 256GB 
S25 1,155,000 원
S25 플러스 1,353,000 원
S25 울트라 1,698,400 원

 

4-3) 갤럭시S25 사전 예약 사이트

 최근 몇 차례 갤럭시 S시리즈를 구매하며 느낀점은 더블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경우 사전예약 기간에 구매하는 것이 젤 저렴했으며 통신사를 통해 구매할 예정이라면 휴대폰 성지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국대폰 카페를 이용해 보길 바랍니다. 보통 출시와 동시에 저렴하게 구매하긴 어렵지만 국대폰에서는 제조사와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은 물론 최대 50만원 할인 또는 사은품 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으니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최신폰 사전예약|갤럭시S25 ★기기값할인 or 워치, 태블릿, 닌텐도 제공★

 

cafe.naver.com

 

2. 갤럭시S25 국내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1) 삼성전기

  • 기업소개 : 삼성전기는 수동소자(MLCC, 칩인덕터, 칩저항)를 생산하는 컴포넌트 사업부문, 카메라모듈/통신모듈을 생산하는 광학통신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 기판을 생산하는 패키지솔루션 사업부문으로 구성됩니다. 국내에 총 3개의 생산기지(수원, 세종, 부산)와 해외 총 6개의 생산기지, 인도 R&D 법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안전장치 및 연비 개선을 위한 각종 전자기기 사용 확대로 자동차용 수요가 급증하여 수동소자 사업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입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3% 증가, 영업이익은 13.5% 증가, 당기순이익은 24% 증가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PC,스마트TV,게임기AR/VR 등 고기능화 추세로 관련 부품의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초소형 고용량 재료기술 및 성형, 인쇄, 적층, 소성 등 핵심공정 기술의 고도화와 개발스피드, 제조경쟁력 강화를 통해 시장내 경쟁우위를 선점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삼성전기는 갤럭시 S25 용도로 카메라 모듈과 패키지용 기판,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등을 납품하여 갤럭시S25 부품 대장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카메라 모듈은 고부가 제품인 울트라 모델의 2억 화소용으로 공급됐고, 패키지 기판은 AP용 플립칩칩스케일패키지(FCCSP)를 공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차세대 제품으로 꼽혔던 실리콘 커패시터는 엑시노스 2500 공급 지연에 따라 무산된 것으로 관측됩니다.
  • 삼성전기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삼성SDI

  • 기업소개 : 삼성SDI는 중ㆍ대형전지, 소형전지 등의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중형전지는 고효율, 고용량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고 이를 자동차 완성업체에 공급합니다. 소형전지는 원형, 파우치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Note PC, 전동공구 등의  휴대 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용 전지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0.6% 감소, 영업이익은 55.6% 감소, 당기순이익은 45.4% 감소했습니다. 유럽과 동남아시아 향 매출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전반적인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인해 주력 사업인 에너지솔루션의 생산 가동률은 68%에 그쳤습니다. 9월10일 전자재료 부문의 편광필름 사업을 우시헝신광전재료유한공사에 양도하기로 결의하고 관련 손익은 중단영업으로 분류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삼성SDI는 갤럭시S25 시리즈 배터리 공급사에 속해 있고, S25용 발광층 재료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갤럭시S25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갤럭시 S24 시리즈의 배터리 공급사는 중국의 ATL, 인도의 나비타시스(Navitasys), 인도의 엘렌텍, 삼성SDI 베트남 4곳이었는데, 갤럭시 S25 시리즈도 이 4개사가 배터리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갤럭시 S25 OLED의 발광층 재료 중 그린 계열을 독일 머크사와 함께 맡고 있습니다.
  • 삼성SDI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덕산네오룩스

  • 기업소개 : 덕산네오룩스는 OLED의 핵심 구성요소인 유기재료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덕산하이메탈로부터 인적분할 방식으로 신설되었습니다. 덕산하이메탈에서 화학소재사업부문을 덕산네오룩스로 인적분할하였고 2015년 2월 6일 코스닥시장에 재상장되었습니다. 동사는 OLED의 발광 소재 중 HTL과 Red Host, R Prime, G Prime을 주력으로 양산 납품 중이고, 기타 B Prime 등도 양산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4% 증가, 영업이익은 54.9% 증가, 당기순이익은 10.3% 증가했습니다. 주요 고객사의 Rigid OLED 채용 확대와 스마트폰 시장의 견조한 수요, IT OLED 본격 출하로 매출액은 대폭 증가했습니다. 연구개발비 증가로 매출 증가 대비 이익 증가는 제한적입니다. 하반기 북미향 Flexible OLED 패널 양산 본격화, IT OLED용 소재 양산 추진을 통한 외형 성장 지속 추진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덕산네오룩스는 갤럭시 S25 시리즈의 OLED 발광 소재 중 HTL(Hole Transportation Layer, 정공수송층)와 레드 프라임을 공급하고 있어 갤럭시S25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HTL은 정공주입층에서 들어온 정공을 EML로 전송하기 위한 재료로 높은 정공 이동 특성을 갖는 재료이고, 프라임(Prime)은 발광층에 도달한 전자를 발광층에 가두고, HTL에서 전달되는 정공을 발광층에 효과적으로 주입하는 재료입니다.
  • 덕산네오룩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LG화학

  • 기업소개 : LG화학은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2020년 12월 1일 전지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하여 (주)LG에너지솔루션 및 그 종속기업을 설립하였습니다. 동사는 양극재, 엔지니어링 소재, IT소재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 전환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3분기 석유화학 부문은 원료 가격과 운임 비용의 일시적 증가와 원·달러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적자로 돌아섰습니다. 생명과학부문도  당뇨, 백신 등 주요 제품의 출하 호조에도 연구개발비 증가에 소폭 적자로 전환되었습니다. 양극재 등 첨단소재 부문은 이차전지 재료의 출하량 감소 및 판매가격 하락, 환율변동 등의 영향으로 기대 이하의 실적을 나타냈습니다. 양극재 공급사 다변화를 통해 자회사의 의존도를 낮추고 북미 시장을 위한 공장 가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LG화학은 갤럭시S25 시리즈의 OLED 발광층 재료 중 청색 소자 밝기 효율을 높여주는 a-ETL을 공급하고 있어 갤럭시S25 수혜주로 꼽히고 있습니다. a-ETL은 정공방어층으로 정공이 넘어가는 것을 막어 B(청색) 소재의 발광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존에는 솔루스첨단소재가 삼성디스플레이에 해당 소재를 납품하여 갤럭시 시리즈에 적용되었으나, 갤럭시S24 시리즈, 애플 아이폰 16시리즈부터는 LG화학의 a-ETL이 적용되어 납품중입니다.
  • LG화학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파트론

  • 기업개요 : 파트론은 2003년 설립되어 삼성전기로부터 유전체 사업부문을, 삼화전기로부터 수정진동자 사업부문을 인수받아 전기, 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와 그 종속회사의 사업부문은 광메카사업, 센서&패키지사업, 전자통신사업 부문의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자통신사업의 주요품목으로는 RF부품(안테나, 아이솔레이터, 유전체필터), 전자기기(전자담배, 웨어러블기기, 응원봉 등)등이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4% 증가, 영업이익은 34.3% 증가, 당기순이익은 54.5% 증가했습니다. 주요 매출 품목은 모바일 관련 카메라 모듈 및 센서로, 60%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시장 성장 및 ADAS 보급 확대로 차랑용 카메라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매출이 급격히 증가하며 인상적인 매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파트론은 갤럭시S25 카메라 모듈 공급망에 포함되어 있어 갤럭시S25 테마에 속해 있는 종목입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25 시리즈부터 카메라 모듈 공급망을 재편했는데, 파트론이 신규 공급 협력사로 가세하게 되었습니다. 파트론은 메인 공급업체인 중국 써니와 함께 갤럭시S25 울트라 모델 초광각 카메라 모듈을 삼성전자에 납품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리고 갤럭시 S25 기본형과 플러스 모델의 후면 메인 카메라, 울트라 망원 3배줌 카메라도 공급할 예정입니다. 
  • partron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엠씨넥스

  • 기업개요 : 엠씨넥스는 2004년 12월 22일 CCM기술을 기반으로 설립한 영상전문기업으로써 휴대폰용 카메라모듈과 자동차용 카메라모듈을 주력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초소형 카메라모듈 분야에 대한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자동차용 카메라모듈, 휴대폰용 엑츄에이터 사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CM 기술은 현재 자동차형 카메라, USB 카메라, 로봇용 카메라, 홈 DVR, CCTV, 의료용 카메라 등의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6% 증가, 영업이익은 137.9% 증가, 당기순이익은 70.7% 증가했습니다. 동사의 자동차 카메라모듈 매출은 AVM카메라(4대 카메라/1대 차량) 적용과 옵션 장착율 증가에 따라 더욱 신장 확장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카메라 모듈 시장은 기술적 요구에 따라 탑재 개수 및 기술 고도화가 진행 중에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엠씨넥스는 과거 일본에 수입 의존하던 카메라 모듈을 국산화하고 2007년부터 삼성전자의 1차 공급사로 등록되어 있어 갤럭시S25 관련주로 분류되는 종목입니다. 이번 갤럭시S25 시리즈에도 엠씨넥스가 주요 모델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할 것으로 보이며, 초고화소 카메라,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 AI 촬영 기술 등이 강조되며 엠씨넥스의 수혜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엠씨넥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파워로직스

  • 기업개요 : 파워로직스는 1997년 9월 3일 설립되어1999년 9월에 파워로직스로 상호변경하였으며, 2003년 7월 25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동사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SM(Smart Modul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CM(Camera Module) 등을 생산 및 판매함. 삼성SDI, 삼성전자, LG화학 등을 주요 거래처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동사의 3분기 누적 매출액 중 카메라모듈 부문이 74%, 이차전지 보호회로 및 배터리팩 부문이 23%를 차지하며, 수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의 7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안전성 제고 및 지능형 자동차 시장이 본격화되면서 동사는 전장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자동차용 카메라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파워로직스의 카메라 모듈 사업은 삼성전자의 1차 협력사로 등록되어 있고, 갤럭시S25 시리즈에도 파워로직스의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져 갤럭시S25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갤럭시 S25 시리즈의 고부가 제품인 울트라 모델 2억 화소 카메라는 삼성전기와 삼성전자(내작)가 맡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외 모델은 협력사가 고르게 맡는 것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파워로직스도 대표적인 카메로 모듈 공급사 중 하나입니다.
  • 파워로직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동운아나텍

  • 기업개요 : 동운아나텍은 2006년에 동운인터내셔널로부터 반도체 제조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아날로그 반도체 하드웨어 소자의 설계와 완성된 제품의판매만을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업체입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칩을 자체 설계 후, 다수의 외주처를 통한 공정을 거쳐 최종 아날로그 반도체를 고객사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 외 신규사업으로는 신형 AF 및 OIS Driver IC, HD Haptic IC, 및 디지털 헬스케어 신규사업 등이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5.6% 증가, 영업이익은 12% 감소, 당기순이익은 27.3% 감소했습니다. 국내외 반도체 전문 패키징, 테스트 업체를 외주 가공처로 두고 있으며 안정된 공정의 경우 해외 업체를 활용하여 원가 절감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AF, OIS 제품군에서 전년동기 대비 큰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의 신제품 출시 등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동운아나텍은 갤럭시S25 슬림 모델에 eOIS 기술을 단독 공급하여 갤럭시 S25 수혜주로 분류됩니다. 갤럭시S25 슬림모델에는 기존과 다른 ALoP 방식(All Lenses on Prism의 약자로 접이식 망원 카메라 모듈의 렌즈 구조를 재배치하여 스마트폰의 두께를 줄이는 동시에 카메라 성능을 높이는 방법)의 카메라모듈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카메라 범프의 높이와 폭을 대폭 줄여 스마트폰 후면의 카메라 모듈 돌출 문제를 해결, 초슬림 스마트폰 구현에 기여합니다. ALoP 기술은 기존 잠망경 방식에서 사용되던 OIS(손떨림 보정)가 아닌 eOIS 기술을 활용하는데, eOIS 기술력을 보유한 동운이나텍이 이번 슬림모델은 단독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동운아나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자화전자

  • 기업개요 : 자화전자는 1981년에 Bonded Magnet 및 관련부품을 전문 생산하는 개인사업체로 출발하여, 세라믹 반도체의 연구에 몰두하여 전량 일본에서 수입하던 PTC Thermistor를 자체기술로 국산화하였습니다. 본사인 자화전자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통신기기용 부품 및 기타부품을생산, 판매하는 동종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입니다. 고사양의 스마트폰 카메라 및 중저가형 스마트폰에도 동사의 IS일체형 AFA가 채택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1%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했습니다.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의 주요제품이 5,000만화소 이상의 카메라폰 뿐만 아니라 중저가형 휴대폰에도 동사의 OIS일체형 AFA가 채택되어 수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5G폰과 폴더블폰 쪽이 화두인 만큼 이부분에 특화된 업체들에게는 성장의 기회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되나 시장선점을 위한 제조사간 경쟁은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자화전자는 갤럭시S25 시리즈에 카메라 모듈 엑츄레이터(Actuator)를 공급하고 있어 갤럭시S25 부품 테마주에 속해 있습니다. 액츄레이터의 핵심은 AF(Auto Focus)와 OIS(Optical Image Stabilizing)으로 자동초점과 손떨림방지에 기여하는 기술입니다. 다만 자화전자는 22년부터 애플 공급망에 진입하여 LG이노텍을 통해 애플 아이폰에 납품하고 있어 향후 삼성전자와의 거래 비중은 점차 줄어들 전망입니다.
  • 자화전자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성일하이텍

  • 기업개요 : 성일하이텍은 2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 업체로 코발트, 리튬 등의 핵심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셀업체 및 글로벌 완성차 OEM업체 중심으로 안정적 수급망 및 거점을 구축 하였으며, 기존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스크랩뿐 아니라 사용 후 전기차, ESG배터리도 원재료로 확보했습니다. 전처리 공정을 담당하는 리사이클링 파크와 제련 및 제품화를 진행하는 하이드로 센터를 통해 2차전지 리사이클링 관련 일괄 공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니켈 판매가격·물량의 판매가 소폭 반등하면서 매출 성장에 기여했으나 코발트 가격 하락과 판매 하락으로 효과가 감소 및 자회사들의 매출도 시세 하락, 기타 판매 제품 판매가 감소 유럽연합 등 배터리 재활용 원료 사용 의무화 추진에 따라 폐배터리 시장의 성장 및 수혜가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삼성은 갤럭시 S25의 배터리에 사용되는 코발트의 50%를 재활용 코발트로 대체하여 자원 순환을 실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성일하이텍은 2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 기업으로 코발트의 핵심 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삼성전자가 발표한 갤럭시 S25 시리즈에 재활용 코발트를 적용하는 순환 배터리 공급망에 수혜를 입을 전망입니다. 갤럭시 시리즈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는 삼성SDI는 이미 성일하이텍 지분의 약 8.81%를 보유하여 파트너사로 두고 있습니다.
  • 성일하이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