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기업분석] 국내 화장품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총정리 (TOP15+α)

by 머니투어 2025. 6.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중국 경기부양책의 효과로 중국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중국 단체관광객 비자 면제까지 추진되며 화장품 관련주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의 화장품 퀄리티가 많이 좋아지고 예전에 비해 한국 화장품의 점유율이 낮아지긴 했지만, 한국 화장품은 여전히 프리미엄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코스피, 코스닥에 상장된 화장품 관련주, 테마주를 총정리 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화장품 섹터 내용정리

 화장품은 피부나 모발의 상태를 개선하거나 유지하고, 체취를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화장품, 피부 보호를 위한 기초 화장품, 염모제(염색약), 향수, 그리고 목욕용품 등 다양한 제품군이 포함됩니다.

 화장품 산업은 크게 두 가지 축으로 구분됩니다. 하나는 브랜드를 개발하고 마케팅에 주력하는 브랜드 중심 업체이고, 다른 하나는 실제 제품의 생산을 담당하는 제조 중심 업체입니다. 시장이 성장하거나 수혜를 받을 경우, 일반적으로 브랜드 업체가 먼저 주목을 받고, 이후에 제조업체로 그 영향이 확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은 경기 변동에 민감한 소비재로, 계절에 따라 수요가 뚜렷하게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건조한 겨울철에는 보습을 위한 제품 사용이 증가하는 반면, 여름철에는 상대적으로 수요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국내 화장품 산업은 해외 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특히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의 수요가 큽니다. 이로 인해 국제 정세나 외교 관계, 환율 등의 외부 요인에도 매출이 영향을 받는 구조입니다.

▣ 화장품 테마 투자 KEY POINT

 화장품은 계절, 국제 정세, 경기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테마입니다. 해당 관련주들은 화장품을 직접 판매해 브랜드를 유지하는 사업이나 화장품 원자재를 제공해 화장품을 제조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국내 화장품 관련주 수혜주 테마주 대장주 TOP15

1) 아모레퍼시픽

  • 기업소개 : 아모레퍼시픽은 2006년 아모레퍼시픽그룹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된 화장품 제조 및 판매 기업으로 30개의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사업부문은 설화수, 헤라, 라네즈, 아이오페 등의 럭셔리·프리미엄 브랜드를, DB사업부문은 려, 미쟝센, 해피바스, 일리윤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제품에 환경·사회 친화적 속성을 구현하고 고객의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에 기여하는 브랜드 활동을 전개하며,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1% 증가, 영업이익은 62.0% 증가, 당기순이익은 41.0% 증가했습니다. 설화수의 글로벌 앰배서더 선정과 윤조에센스 마케팅, 헤라의 쿠션·립 제품 다변화, 아이오페의 고기능성 제품으로 브랜드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미주, EMEA 중심의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추진과 코스알엑스 인수로 해외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 라네즈, 마몽드, 이니스프리, 에뛰드하우스 등의 브랜드를 중심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화장품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에서 압도적인 실적을 내고 있고, LG생활건강에 이어 화장품 회사 중 매출액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LG생활건강은 생필품 제품군까지 합친 수치라 화장품 매출로만 봤을 때는 아모레퍼시픽이 화장품 대장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주사인 아모레퍼시픽홀딩스도 같은 화장품 섹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LG생활건강

  • 기업소개 : LG생활건강은 2001년 LG화학에서 분할 신설되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으며, Beauty(화장품), HDB(생활용품), Refreshment(음료)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사업은 더후, 숨37˚ 등 럭셔리 브랜드와 빌리프, CNP 등 프리미엄 브랜드로 선도하고 있습니다. 매출 비중은 Beauty 42%, HDB 31%, Refreshment 27%로 구성되고, 탄소중립을 위한 감축 과제를 도입하여 환경적,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 감소, 영업이익은 5.7% 감소, 당기순이익은 7.8% 감소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해외 관광객 급감과 내수 소비 위축, 러우전쟁 장기화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로 화장품 시장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중화권과 아시아 지역에서 더후, 빌리프, CNP, 더페이스샵 등의 브랜드로 더마/클린뷰티 시장 성장 기회를 모색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LG생활건강은 오휘, 후, 이자녹스, 숨, 수려한 등의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고, 2009년에 순한 화장품, 자연 성분 화장품 브랜드인 더페이스샵을 인수하여 화장품 테마주를 대표하는 종목 중 하나입니다.
  • LG생활건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한국콜마

  • 기업소개 : 한국콜마는 2012년 舊 한국콜마로부터 분할 설립되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화장품 ODM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며, 자회사 에이치케이이노엔을 통해 전문의약품 및 H&B 사업, 연우를 통해 화장품용기제조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R&D 및 품질관리 능력과 생산대응능력으로 안정적 사업 경쟁력을 유지하며, 매출의 95% 이상이 자체 연구개발한 ODM 방식으로 거래처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6% 증가, 영업이익은 84.8% 증가, 당기순이익은 109.3% 증가했습니다. 화장품 산업은 비건/더마 화장품 강세와 온라인/비대면 채널이 확대되는 추세이며, 인디브랜드들이 국내외로 영업기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제품 개발과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재생플라스틱 용기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화장품 튜브 용기의 50% 이상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할 계획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국콜마는 화장품 및 의약외품 ODM(제조자개발생산)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 화장품 업계 최초로 국내에 ODM 방식을 정착시킨 기업으로 화장품 관련주에 속한 종목입니다. 각종 중소 화장품 브랜드들부터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700여개의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는 등 상당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주사인 콜마홀딩스도 같은 화장품 테마에 속해 있습니다.
  • 한국콜마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코스맥스

  • 기업개요 : 코스맥스는 2014년 코스맥스비티아이에서 인적분할하여 설립된 글로벌 화장품 ODM 전문기업으로, 국내외 31개 종속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체 매출의 90% 이상을 ODM 형태로 공급하며,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마스크시트 등을 3,300여개 기업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업계 최고 수준의 R&D 능력과 글로벌 생산 인프라로 중국, 미국,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 생산공장을 운영하며 100여개국에 화장품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7% 증가, 영업이익은 13.0% 증가, 당기순이익은 57.7% 감소했습니다. 화장품 ODM 시장에서 고객 니즈 다변화와 온라인 채널 확대로 인디브랜드 시장이 증가하며, 신속한 제품 개발이 가능한 대형 ODM 기업 선호도가 상승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도입과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 추진, EcoVadis Gold 등급 획득 등 ESG 경영 강화로 지속가능한 기업가치 제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코스맥스는 화장품 연구 개발 생산 전문기업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화장품 ODM(제조자개발생산) 전문 기업이자, 화장품 ODM 매출 기준으로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으로 화장품 수혜주입니다. 2004년에는 프랑스 로레알 그룹에 제품을 공급하기 시작했고, 2007년 일진제약과 2008년 쓰리에이팜을 인수했으며 2014년 지주회사체제로 전환했습니다.
  • COSMAX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한국화장품

  • 기업개요 : 한국화장품은 2010년 5월 (주)한국화장품제조에서 화장품판매 및 부동산임대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기업입니다.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을 비롯 700여 종류의 화장품판매를 영위하는 종합화장품회사로서, 시판사업부와 H&B사업부 등 다양한 유통경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Brand Manager체제를 통한 브랜드 파워 강화와 차별화된 신제품 개발 육성을 통한 리딩품목 육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 증가, 영업이익은 29.0% 감소, 당기순이익은 23.3% 감소했습니다. 화장품 시장은 ODM/OEM 발달과 온라인, 멀티브랜드숍의 확대로 다양한 중소형 브랜드들의 시장 진입이 활발해지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클린뷰티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K-beauty의 글로벌 확산과 함께 K-makeup 트렌드로 색조 제품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국화장품은 기초 및 색조화장품 700여 종류의 화장품 판매를 영위하는 종합 화장품 회사로 주요 브랜드로는 산심, 잼미라클 등을 보유한 화장품 테마주입니다. 계열사인 로드샵 브랜드 '더 샘' 제품의 제조사가 한국화장품이고 여기서 만든 제품을 유통하는 회사는 자회사인 '더샘 인터내셔날'입니다. 모회사이자 한국화장품 제품의 제조를 전담하고 있는 상장사 '한국화장품제조'도 같은 화장품 섹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한국화장품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 한국화장품제조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코리아나

  • 기업개요 : 코리아나는 1988년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으로 설립되어 1999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송파기술연구소의 개발 성과로 라비다, 자인, 녹두, 세니떼, 비취가인, 앰플엔, 프리엔제, 엔시아, 텐세컨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2016년 중국 천진시 신공장으로 현지 생산시설을 확보했습니다. 4대 영업전략을 바탕으로 직판과 시판 유통을 이원화하고 온라인, 해외시장, 세니떼뷰티샵으로 매출경로를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1583.3% 증가했습니다. 화장품 산업의 선진화와 글로벌화로 해외 수출이 활발하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 전년 대비 최대 수출액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화장품이 필수 소비재로 인식되어 경기 비탄력적 산업으로 변화 중이며, 글로벌 시장의 GDP 증가로 수요 상승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코리아나 화장품은 라비다, 자인, 녹두, 세니떼, 비취가인, 엔시아, 텐세컨즈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로 화장품 테마주에 포함됩니다. 기초화장품 및 색조화장품 등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에스테틱 피부관리샵인 '세레니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코리아나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엔에프씨

  • 기업개요 : 엔에프씨는 2012년 화장품 소재 제조 및 완제품 위탁생산을 주요사업으로 설립되어 인천 연수구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화장품 베이스 소재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 생산과 ODM/OEM 사업을 영위하며, 2024년 기준 소재 64%, ODM/OEM 36%의 매출 비중을 보이고 있습니다. MLV 안정화기술, 나노리포좀 기술, 바이오 컨버전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동남아 중심으로 세계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했습니다. 프레스티지 화장품에 적합한 소재 포트폴리오와 특수 제형, 스틱 타입 제품의 기술력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산업의 밸류체인 전문화와 온라인 유통채널 확대로 인디 브랜드가 성장하며, K-인디뷰티는 민첩성과 우수한 품질로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엔에프씨는 화장품 소재를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부수적으로 고객사의 요구대로 화장품을 생산하는 OEM, ODM 사업도 하고 있어 화장품 테마로 분류되는 종목입니다. 주로 보습제, 유화제, 선크림, 클랜징 제품의 소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제품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MLV 기술을 독자적인 기술로 보유하고 있는데, 물이나 오일에 잘 녹지않는 유용한 물질을 안정화시켜 섞이게 하는 기술로 화장품 유효한 성분 함유량을 늘리는 기술입니다.
  • 엔에프씨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클리오

  • 기업개요 : 클리오는 1997년 설립되어 화장품 및 화장도구 수입, 수출, 판매 및 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색조 메이크업 '클리오', MZ세대 감성 '페리페라', 자연주의 '구달', 민감피부용 '더마토리', 헤어케어 '힐링버드', 라이프스타일 '타입넘버' 등 다양한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습니다. 제품 생산은 코스맥스, 씨앤씨인터내셔널, 한국콜마 등 OEM/ODM 업체를 활용하며, 중국, 일본, 북미, 동남아, 유럽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4% 감소, 영업이익은 86.5% 감소, 당기순이익은 73.1% 감소했습니다. 스킨케어 26%, 립 메이크업 20%, 아이 메이크업 27%, 베이스 메이크업 25% 제품을 H&B, 온라인, 면세점 통해 내수 61%, 수출 39%의 매출 구조를 보입니다. 일본 27%, 북미 16%, 중국 14%, 동남아 23% 등 글로벌 시장 맞춤형 제품과 마케팅으로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클리오는 색조화장품 전문업체로 공효진 화장품으로 '틴티드 타투 킬브로우' 등 히트상품이 속한 클리오를 메인 브랜드로 보유하고 있어 화장품 관련주에 속합니다. 아울로 영타겟을 위한 메이크업 브랜드 '페리페라' 및 스킨케어 브랜드 '구달'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클리오 코스메틱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토니모리

  • 기업개요 : 토니모리는 2006년 설립되어 'Be uncommon'을 아이덴티티로 화장품을 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토니모리와 9개 연결회사를 통해 화장품과 반려동물 간식을 제조·판매하고, 신기술사업금융업도 영위하며 '토니모리'와 '튠나인'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및 동물보호를 고려한 제품 확장과 업계 최초 100% 재활용 용기, 비건 인증 제품을 출시하며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1% 증가, 영업이익은 58.6% 증가, 당기순이익은 33.9% 증가했습니다. 온라인 및 모바일 쇼핑 중심의 유통 전략 강화와 라이브 커머스, 소셜 미디어 마케팅 확대, 다이소 등 생활 밀착형 채널로 유통망을 다각화하였습니다. 2024년 화장품 수출액은 102억 달러로 역대 최대를 달성했으며, 미국 수출 57% 증가 및 일본 시장 10억 달러 돌파로 수출 시장이 다변화되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토니모리는 한국의 화장품 회사로 중저가 시장을 노린 로드샵 브랜드입니다. 주요 제품으로 스킨케어 베이직, 포인트 메이크업, 스킨케어 스페셜, 베이스 메이크업 등이 있습니다. 주로 국내 3대 화장품 외주 생산업체인 한국콜마, 코스맥스, 코스메카코리아에서 생산하였으나, 17년 5월부터 경기도 화성 바이오밸리에 제품 생산을 위한 공장을 준공하고 ODM/OEM 사업을 본격화 하고 있습니다.
  • TONYMOLY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에이블씨엔씨

  • 기업개요 : 에이블씨엔씨는 2000년 설립하여 화장품과 생활용품 제조, 유통 판매, 인터넷상거래업을 하고 있으며 2011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습니다. 미샤, 어퓨, 초공진, 스틸라, 셀라피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한 글로벌 뷰티 기업으로 45개국에 약 5만여 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ESG 기준을 최상위로 두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성장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8% 감소, 영업이익은 2.6% 증가, 당기순이익은 12.6% 증가했습니다. 색조 시장이 2023년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보이며 립·아이·베이스 메이크업 전반에서 신제품 출시와 마케팅 경쟁이 활발하나, 중국 시장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온라인 중심 유통 구조로 전환 가속화되며 O2O, 라이브커머스, D2C 모델 등 고객 접점 다각화가 핵심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에이블씨앤씨는 대표 브랜드로 '미샤'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동남아 등 47개국에서 약 5만 여개의 판매처를 통해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어 화장품 수혜주로 볼 수 있습니다. 미샤, 어퓨, 초공진, 스틸라, 미팩토리, 바디홀릭, 생활도감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ABLE C&C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1) 리더스코스메틱

  • 기업개요 : 리더스코스메틱은 1986년 설립되어 화장품과 골판지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사업부는 마스크팩과 기초화장품을 주력으로 리더스 인솔루션, 리더스 메디유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골판지 사업부는 골판지 원단 및 상자를 전문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중국, 미국 등 해외 법인을 통해 화장품 판매를 확대하고 2022년 산성피앤씨와의 소규모 합병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 증가, 영업손실은 453.5% 증가, 당기순손실은 281.4% 증가했습니다. 화장품 산업은 GDP 성장과 유사한 트렌드로 성장했으나, 낮은 진입장벽으로 신규 업체와 브랜드의 지속 진입으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소비자 구매 패턴 변화 대응과 유통채널 확장으로 화장품 시장의 안정적 성장이 예상되며, 골판지는 전자상거래 증가와 친환경성으로 수요가 증가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리더스코스메틱은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체로 주요 제품으로는 마스크 팩, 기초화장품, 혼압액 등을 판매하고 있어 화장품 관련주에 포함됩니다. 주요 브랜드로는 인솔루션, 메디유 등이 있으며, 코스닥 상장사인 줄기세포 배양액 화장품 판매 및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개발회사 '프로스테믹스'의 최대주주입니다.
  • 리더스코스메틱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2) 애경산업

  • 기업개요 : 애경산업은 1985년 설립되어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는 중견기업입니다. AGE20'S, 루나, 포인트앤 등의 화장품 브랜드와 스파크, 리큐, 울샴푸, 2080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를 보유하며, 자체 연구소와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건강과 환경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내추럴 컨셉의 제품 개발과 전성분 공개를 통한 소비자 신뢰 강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7% 감소, 영업이익은 63.3% 감소, 당기순이익은 62.5% 감소했습니다. 생활용품 시장의 성숙화와 경쟁 심화로 실적이 하락세를 보이며, 유통채널이 대형마트에서 H&B스토어 및 온라인으로 변화함에 따라 채널 특화 제품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K-beauty는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해 2024년 화장품 수출 102억 달러로 전년비 20.6% 증가한 최대 실적 달성을 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애경산업은 뷰티사업부에서 기초 및 색조화장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AGE20'S, LUNA, twoedit 등 6개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어 화장품 수혜주에 편입되었습니다. 2017년 12월에는 중국 내 화장품 판매액 1,000억 원을 달성하기도 했습니다.
  • 애경산업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3) 잇츠한불

  • 기업개요 : 잇츠한불은 1989년 한불화장품으로 설립되어 2006년 잇츠스킨을 설립하였고, 2017년 합병을 통해 현재의 잇츠한불이 되었습니다. 화장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며 잇츠스킨, 프레스티지, 파워10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종속회사 네오팜은 아토팜, 리얼베리어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유통채널 다각화와 더마, 비건, 클린뷰티 등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응하며 지속적인 제품 개발과 마케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증가, 영업이익은 20.9% 감소, 당기순이익은 74.3% 감소했습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온라인 유통 성장과 중소형 브랜드 진입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원브랜드숍 시장 점유율 10.31% 기록했으나 중국 로컬 화장품 급증과 규제 강화로 영향받고 있습니다. 잇츠스킨 신제품 출시와 체이싱래빗 브랜드의 대중화를 위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잇츠한불은 달팽이크림으로 알려진 화장품 회사로 06년 2월 국내 최초 코스메슈디컬 컨셉의 브랜드 샵으로 런칭하여 화장품 섹터에 편입되었습니다. 한불화장품과의 흡수합병을 통해 생산부터 R&D, 마케팅, 유통까지 아우르는 종합 화장품 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 잇츠한불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4) 마녀공장

  • 기업개요 : 마녀공장은 2012년 자연 유래 발효 추출물의 미백 케어 기능성 제품으로 시작해 천연 유래 성분의 자연주의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을 판매하는 화장품 브랜드사입니다. 클렌징, 앰플, 에센스 및 비건 화장품을 주력으로 하며, 대표 브랜드 '마녀공장'을 중심으로 '아워비건', '바닐라부티크', '노머시'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OEM/ODM사와의 파트너십으로 다양한 성분과 기능의 제품을 신속하고 유연하게 출시하며 소비자 니즈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4% 감소, 영업이익은 65.1% 감소, 당기순이익은 5.9% 감소했습니다. 까다로운 성분 원칙 적용과 20가지 화장품 주의 성분 무첨가 원칙으로 피부 부담을 줄이고, 온라인 채널 중심 운영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하였습니다. 고령화로 인한 스킨케어 수요 증가와 클린뷰티 트렌드 확대로 친환경 화장품 소비자 요구가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마녀공장은 천연 유래 성분의 자연주의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을 판매하는 화장품 브랜드사로서 클렌징, 앰플, 에센스 및 기타 비건 화장품 등을 주요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어 화장품 테마주에 포함됩니다. '마녀공장', '아워비건'과 같은 기초화장품 브랜드와 향 특화 브랜드인 '바닐라부티크', 색조화장품 브랜드 '노머시'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마녀공장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5) 본느

 

  • 기업개요 : 본느는 2009년 설립되어 2018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화장품 제조 전문기업입니다. 화장품 ODM 사업과 자체 브랜드 사업을 영위하며, 연구개발력을 바탕으로 제품을 자체 개발 및 디자인하여 처방을 제조회사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스킨케어, 바디케어, 메이크업 및 색조 등 다양한 화장품군을 커버하고 있으며, 혁신적이고 감각적인 제품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5년 1분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0%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색조화장품 시장의 상대적 강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매크로 환경 악화로 인한 소비 위축으로 실적이 악화되었습니다. 국내 브랜드의 합리적 가격과 다양한 제형, 제품 차별화를 강점으로 국내외 고객을 공략하고 있으며, 빠른 트렌드 파악과 신속한 제품 출시로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본느는 화장품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기초화장품부터 색조화장품까지 약 60여종의 상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화장품 관련주로 볼 수 있습니다. 제품브랜드 스킨에이지를 통해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으며, 식물성 화장품류와 기능성 화장품 류 등 다양한 아이템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Touch in SOL(터치인솔)', 'FORESTHEAL(포레스트힐)', 'STAGE Q(스테이지큐)' 와 같은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본느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총평 (국내 화장품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60)

 위의 15종목은 화장품 테마에서 호재가 있을 때 가장 강하게 상승하는 종목들을 정리했고, 아래는 그 외에 화장품 섹터에 포함된 다른 종목들을 정리했으니 투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순번 종목명 설명
16 오가닉티코스메틱 중국 내 실질 영업 자회사인 해천약업이 유아용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17 YG PLUS 화장품 브랜드 '문샷' 등을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업체인 코드코스메인터내셔널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18 신세계인터내셔날 코스메틱 브랜드 DIPTYQUE, LA PERVA, VIDIVICI 등을 보유함.
19 청담글로벌 국내 중소 화장품 브랜드를 발굴, 육성하여 중국, 동남아, 미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이커머스 플랫폼(징동닷컴, 티몰, 틱톡, 샤오홍슈 등)을 통해 유통. B2C 뷰티 판매 플랫폼 '바이슈코(BYSUCO)'를 자회사로 보유함.
20 씨큐브 화장품에 사용되는 진주광택 안료 전문 생산업체
21 코스메카코리아 화장품 연구 개발 및 생산 전문업체. BB크림과 톤업 크림의 명가로 알려져 있음.
22 네이처셀 토너, 에멀전, 아이크림, R부스터,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 등을 제조 및 판매
23 잉글우드랩 미국 내에서 화장품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기초 화장품의 ODM 제조 및 OEM 제조를 주된 영업활동으로 하고 있음.
24 코디 색조화장품을 ODM, OEM 방식으로 제조하는 코스메틱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5 세화피앤씨 화장품 관련 ODM사업과 moremo(모레모), EARTH NOTE(얼스노트) 등 브랜드를 보유함.
26 엘앤씨바이오 인체조직이식재, 인체조직기반 의료기기 등 조직공학 치료재료와 피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코스메슈디컬 등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 '바이더닥터' 브랜드 보유.
27 씨티케이 뷰티 크리에이션 플랫폼 CTK CLIP을 통해 뷰티에 관한 모든 서비스를 Turn-key로 제공하는 화장품 플랫폼 기업
28 넥스트아이 네일 아트제품 및 화장품 유통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중국 내 화장품 프랜차이즈 '유미애'를 운영하고 있음.
29 씨앤씨인터내셔널 포인트 메이크업 색조화장품 개발 및 제조 업체
30 실리콘투 K-Beauty 브랜드를 자사 플랫폼을 통해 전세계 약 100여개의 국가에 E-Commerce 역직구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으며 해외진출을 원하는 중소기업, 영세 브랜드를 위한 지분 투자로 해외판로 개척, 영업대행, SNS 기반의 해외 마케팅 지원과 같은 다양한 솔루션 제공
31 내츄럴엔도텍 화장품 브랜드 'NEEDLY(니들리)'를 보유
32 승일 화장품 액화가스 용기에 사용되는 에어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 에어졸 시장점유율 1위 업체.
33 브이티 화장품 제조 판매업, 화장품 유통업 및 전자상거래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일본 시장에서 높은 매출을 기록함.
34 대봉엘에스 아미노산 관련 원료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생산, 판매업체
35 아우딘퓨쳐스 화장품 ODM 및 자사 브랜드 'NEOGEN DERMALOGY', 'NEOGEN Code9' 등을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제조업체.
36 제이준코스메틱 국내외에서 화장품 제조 및 판매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기업으로 마스크팩 및 기초화장품을 주요 제품으로 판매함.
37 파마리서치 연어 생식세포에서 DNA를 추출해 정제한 PDRN, PN 성분의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을 개발. 리쥬란 힐러로 유명함.
38 네오팜 화장품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아토팜', '리얼베리어' 등의 브랜드를 보유함.
39 제로투세븐 유아 스킨케어 전문 브랜드인 궁중비책 등의 브랜드를 보유함.
40 국제약품 화장품 및 원료의약품 제조 및 수출입업 영위 기업인 국제피앤비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41 아이패밀리에스씨 색조화장품 브랜드 롬앤과 웨딩 서비스 브랜드 아이웨딩을 중심으로 한 뷰티/생활 분야 브랜드 운용 업체
42 디와이디 화장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화장품 브랜드 '릴리바이레드'를 보유하고 있음.
43 오상자이엘 10년간 R&D에 투자한 끝에 개발한 의약 화장품용 신물질 '자이엘라이트'(미국 FDA에 등재된 기능성 안전물질)를 기반으로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Jaiel'을 운영 중.
44 한국주철관 화장품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하는 엔프라니를 종속회사로 보유함.
45 아이큐어 경피약물전달시스템(TDDS)을 기반으로 화장품 ODM, OBM 사업 등을 영위
46 에코글로우 화장품 OEM, ODM을 전문으로 하는 자회사 스킨앤스킨과 합병을 추진하여 화장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변경함.
47 동구바이오제약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 성분 화장품 'Cell Bloo'을 런칭하여 코스메슈티컬 시장에 진출
48 휴엠앤씨 메이크업 소품을 직접 생산, 제조, 수출하는 화장품 부자재 전문업체
49 바이오스마트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한생화장품, 라미화장품을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50 강스템바이오텍 줄기세포 배양액이 첨가된 화장품 브랜드 'GD11'을 판매하는 회사
51 미원상사 화장품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생산 업체
52 제닉 글로벌 특허인 하이드로겔 특허를 기반으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연구 개발/제조/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영위
53 슈피겐코리아 자회사 슈피겐뷰티가 보유하고 있는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글램 업'이 아마존 출시 후 순위 2위를 기록한 바 있음
54 파미셀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 브랜드 '바이 파미셀 랩(By Pharmicell Lab)' 운영
55 글로본 'B JEWEL(비주얼)', 'RUE' 의 브랜드를 중심으로 중국, 미국, 동남아 지역에서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56 CSA코스믹 화장품 제조 및 판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화장품 브랜드 '16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음.
57 펌텍코리아 화장품 용기를 주력 제품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펌프류, 튜브류, 콤팩트류 등이 매출의 80%를 차지함.
58 선진뷰티사이언스 화장품 소재, 계면활성제, 자사브랜드, ODM/OEM을 생산하는 화장품 소재 제조 전문 기업.
59 에이에스텍 선크림 등의 자외선 차단 원료를 생산하는 기업. 자외선 차단제 원료 UviMax® DHHB와 BEMT를 주력으로 생산함.
60 HLB글로벌 메인브랜드 '엘리샤코이'를 중심으로 기초스킨케어, 선케어, 색조, 헤어까지 다양한 제품라인을 보유한 HLB생활건강을 자회사로 보유.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