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기업분석] 중소형 철강주 총정리 TOP15

by 머니투어 2025. 3. 20.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미국이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며 국내 철강업체에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부과되기 때문에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는 측면도 있습니다. 철강주에 투자하실 땐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세아제강지주와 같은 대형주들은 시총이 커서 상승폭이 적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강주가 상승세를 띄면 시총이 작은 중소형 철강업체에 투자해 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되실 겁니다. 오늘은 시총이 작은 철강 중소형주 15 종목을 정리해 보았으니 투자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1. 철강산업에 대하여

1) 철강산업 개요

 철강은 산업의 '쌀'로 불리며 자동차와 건축, 가전 등 다양한 산업에 중간재로 활용됩니다.
 철강 제조방식은 크게 고로와 전기로 나뉩니다. 고로는 용광로에서 철광석을 녹여 철을 만드는 방법인데, 대용량 설비로 생산하므로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판재류를 주로 생산하며 자동차, 조선, 가전 등에 사용됩니다. 전기로와 비교하면 마진이 높으나, 높은 건설비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많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POSCO와 현대제철이 고로로 철강을 생산합니다.
 전기로는 전기로 열을 발생시켜 쇠를 녹이는 가열로를 뜻합니다. 주로 스테인리스강, 도구강 등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철강 생산방식입니다. 고로 방식 대비 비교적 적은 투자비(약 5000억~1조원)와 공간이 사용되며 공정시간이 짧아 생산대응에 유리합니다. 다만 상대적으로 고부가가치 강종 생산이 어렵고, 전기료가 많이 들어간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국내에서 현대제철, 동국제강, 한국철강 등이 주로 전기로 사용합니다.
 주요 국가에서는 전기로 전환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산업고도화에 따른 효율성 때문입니다. 전방산업의 성 장이 둔화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가운데 전기로는 투자규모가 작고 생산 대응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기로의 원재료는 재활용된 철스크랩(고철)으로 오염물질 배출이 적어 친환경적입니다. Mysteel에 따르면 전기로가 고로보다 많게는 이산화황가스(SO2) 배출량이 98% 적게 배출됩니다.

2) 철강산업 현황 및 전망

 2025년 3월 12일부터 대미 수출용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가 적용됩니다. 미국내 수입업자들은 관세 25%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수입 감소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그러나 트럼프 1기 때 무역규제 실시 첫해에는 미국 내 철강 가동률이 70% 중반을 유지해 미국 내수가격이 단기간에 두 배 급등한 바 있습니다. 현재도 미국 철강 가동률은 70% 중반 수준으로 추후 가동률 상승과 내수가격의 동반 상승이 전망됨에 따라 하반기 미국 내수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 가격 상승이 일어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일각에서는 대미 철강 수출 1·2위인 캐나다와 멕시코와 비교해 한국산 철강이 미국 시장에서 비교우위를 누릴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존재합니다. 캐나다·멕시코의 경우 그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USMCA) 체결국으로서 쿼터 없이 무관세의 지위를 누려왔는데, 이들 국가에도 25%의 관세가 일률적으로 부과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향후 관세 강도가 심해진다면 국내 철강업체들은 직접 진출까지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국내 철강업종의 주가는 중국 철강가격과 동행하기도 합니다. 실적이 중국 철강가격에 후행하기 때문입니다. 조강의 50% 이상을 중국이 만들어내기 때문에 중국이 열연 가격을 인상하면 국내 철강사도 후행적으로 인상하는 구조입니다.
 세계철강협회는 올해 전세계 철강 수요를 전년 대비 1.2% 늘어난 17억 7150만 톤으로 전망합니다. 민간 소비 및 사업 투자의 증가, 탈탄소화,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 투자 등을 수요 증가 배경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올해도 철강재 소비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중국의 철강수요는 부동산 부문 침체가 지속됨에 따라 2025년 전년비 1.0% 추가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단,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은 변수가 될 수도 있다고 분석됩니다. 중국 야금공업계획연구원도 올해 중국의 철강재 소비량이 전년 대비 1.5% 추가로 감소한 8억 5000만 톤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2. 국내 중소형 철강 관련주 수혜주 테마주 대장주 TOP15

1) 대호특수강

  • 기업소개 : 대호특수강은 1988년 냉간압조용 강선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2년 동방금속공업을 흡수합병하였습니다. C.H.Q WIRE 및 CD-BAR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선재와 마봉강, 스테인레스 선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3D Digital Asset Library 및 생성형 AI서비스(이미지, 영상, 3D) 사업 전개를 위하여 2024년 04월 24일 주식회사 이오이스 주식을 취득하였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감소, 영업이익은 80.2% 증가, 당기순손실은 39.3% 감소하였습니다. 운송 비용, 수출 단가 상승과 양산공장 매각에 따른 일회성 수수료 발생에도 원가율 절감과 경영 효율화로 수익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생산 효율화를 위해 지난해 기존 3공장 체제에서 양산 공장을 폐쇄하고 충주와 포항 공장 중심의 2공장 체제로 재편해 경영 효율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총 197억원의 소형 철강주로 볼트, 너트, 베아링볼 등 철강부품류의 소재인 냉간압조용선(CHQ Wire)과 스테인리스 선재 등 생산하고 있습니다.
  • 대호특수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동일스틸럭스

  • 기업소개 : 동일스틸럭스는 1967년 설립되어 199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원재료인 빌렛을 열간ㆍ압연 후 봉강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부문으로 봉강사업부와 형강사업부가 있습니다. 봉강사업부의 주요 수요 산업은 자동차 및 기계장치 산업업입니다. 자율차 등에 사용될 고급강의 수요 증가가 기대됩니다. 동사의 생산 제품은 마봉강, 마사각강, 마육각강, 마직사각강, 봉강, 사각강 등이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4% 감소, 영업손실은 49.6% 감소, 당기순손실은 84.6% 감소했습니다. 매출액은 감소하였으나 원가와 판관비 등의 비용 절감으로 영업손실은 49%감소하였습니다. 특수 분야 로봇 사업에 참여하여 전체 하드웨어를 통합 제작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자회사와 협업할 예정입니다. 더 나아가 미래 로봇 관련 기어류 등 초정밀 기계가공품과 감속기 등 제작 생산하는 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264억의 소형주로 원재료인 빌렛을 열간 압연하여 자동차에 사용되는 봉강과 건설에 필요한 형강을 생산·공급하고 있습니다.
  • 동일스틸럭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동일제강

  • 기업소개 : 삼아알미늄은 알루미늄박 국산화 실현이라는 가치를 걸고 1969년 설립한 이래 알루미늄박과 각종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의약품, 산업용 등의 가공용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2차 전지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당사가 선도적으로 개발해 온 LIB 양극집전체 판매 확대가 회사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압연, 가공, 전자부품판매 사업부문의 총 3개 사업부 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7%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전방 산업인 전기차 수요 감소로 인해 매출이 부진한 가운데, 압연 관련 설비 투자 지속으로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규모가 급감하였으며, 재고자산도 증가하며 비용 부담 확대되었습니다. 압연부문 주요 매출처로는 LG에너지솔루션, SK온, 율촌화학이 있으며, 가공부문 주요 매출처는 오뚜기, 케이티앤지 가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249억의 소형주로 선재(PC강선, 강연선)와 마봉(SUS 마봉) 등을 가공·판매하고 있습니다.
  • 동일제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원일특강

  • 기업개요 : 원일특강은 철강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영업목적으로 2001년 설립된 비엠스틸을 주요 종속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법인인 WONILSTEEL VINA(베트남)와 선박엔진, 산업 기자재, 건설 기자재 등 자유단조사업을 영위하는 해원단조 등으로 구성된 특수강 전문회사입니다. 프라스틱제품금형, 각종 하우징, 블로우 금형, 고무금형, 다이캐스팅 금형, 압출 다이스, 햄머다이스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3% 감소, 영업이익은 17.4% 감소, 당기순이익은 23.9% 감소했습니다. 특수강사업부와 단조사업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소폭 감소함에 따라 전체 매출 역시 2.3% 감소하였습니다. 매출원가는 1.6% 내리는 데 그쳐 영업이익 역시 17.4% 축소되었습니다. 최신식 설비 투자를 통하여 원가 경쟁력 확보와 후판 사업 등 품목 다변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창출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317억의 소형주로 선세아창원특수강, 세아베스틸, 한국철강의 대리점을 획득하여 특수강 재가공·판매하고 있습니다.
  • 원일특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율촌

  • 기업개요 : 율촌은 철강 제품 중 ERW강관의 조관 및 정밀 인발가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로 완성차 업체에 납품되는 완충용장치(부싱류), 현가장치(실린더류), 조향장치 등 자동차 부품 제조에 필요한 부품 소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 외에도 광산채굴용, 중장비, 산업용 기계, 가구, 보일러, 오토바이 등의 부품에 투입되는 파이프류 소재 제품을 제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 증가, 영업이익은 18.3% 증가, 당기순이익은 110.7% 증가했습니다. 유럽지역으로의 수출 확대를 위하여 현재 폴란드에도 현지 생산공장 구축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성장 추세를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사는 해외 기업에 대한 매출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수출 주도형 기업으로, 미국, 멕시코 등 전 세계 15개국 40여 개의 업체에 정밀 인발강관을 수출하였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322억의 소형주로 철강 제품 중 ERW강관의 조관 및 정밀 인발가공 사업을 영위하며 자동차 부품이 대부분의 매출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율촌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영흥

  • 기업개요 : 영흥은 와이어로프, 와이어, PC강연선등과 같은 선재 2차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철강사업부문과 자동차용 스프링 등을 제조, 판매하는 자동차부품사업부문이 있습니다. 운송 및 하역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사업부문, 철강등 금속물의 방청 방습 포장재를 제조하는 포장재사업부문, 냉간압조용선재(CHQ Wire) 및 STEEL BAR를 제조, 판매하는 냉간선재사업부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 중국에 철강선을 유통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8% 감소, 영업이익은 164.1% 증가, 당기순손실은 86.3% 감소했습니다. 국내 선재업계의 수익률이 악화되는 등 한국내 철강사업 매출액이 감소되었습니다. 러ㆍ우 전쟁 장기화 및 중동발 전쟁에 따른 고금리와 높은 인플레이션, 금융 불안과 경기 부진으로 미국 관련 매출액도 감소하였지만, 철강사업에 쓰이는 WIRE ROD 등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영업이익은 증가하였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406억의 소형주로 와이어로프, 와이어, PC강연선등과 같은 선재 2차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주식회사 영흥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부국철강

  • 기업개요 : 부국철강은 1976년 8월 법인을 설립하여 철강제품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열연 및 냉연코일을 강판, 강관 및 성형제품으로 가공하여 자동차, 가전 및 건설사 등에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설비로는 열연 및 냉연 절단설비 및 강관제조 및 성형제품 제로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매출로 자동차 관련업체, 가전업체에 열연, 냉연판재를 판매하고 있으며, 철강유통업체에 강관 및 성형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8.2% 감소, 영업이익은 49.6% 감소, 당기순이익은 24.7% 감소했습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철강재 공급과잉현상의 지속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철강산업의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철강은 대표적인 장치산업으로서 내수경기 회복 및 수출산업의 성장, 중국경제 성장 등에 따른 지속적인 수요가 예상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501억의 소형주로 포스코 열연제품을 매입해여 가공한 후 자동차, 가전 및 건설사 등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 부국철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한일철강

  • 기업개요 : 한일철강은 철강제품 제조 및 판매업을 주된 사업을 목적으로 1957년 12월 설립되었습니다. 취급품목은 철판류, 형강류, 기타(Coil절단가공, SHOT BLAST)로 구성됩니다. 2003년 1월 1일을 기준일로 강관류 사업 부분을 인적분할하여 2003년 1월 3일 자로 존속회사인 당사와 신설회사인 (주)하이스틸로 분할등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해상화물 운송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2008년 2월 11일 한일해운주식회사를 설립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 9.5% 감소, 영억이익은 89.9%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철강 가격하락 및 원가상승으로 인한 매출이 감소하며,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습니다. 2022년 경기침체 요인들로 철강가격 하락 및 원가상승으로 부진한 사업이 하반기에 금리 인하로 인한 물가안정 및 전쟁종결 가능성을 기대하였지만, 불확실한 경제상황이 지속하고 있으므로 리스크 요인은 여전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502억의 소형주로 철판류, 형강류 등의 철강제품을 가공·판매. 주로 자동차, 선박기계에 사용되는 열연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 한일철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DSR제강

  • 기업개요 : DSR제강은 와이어로프 및 경강선 제조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1년 9월 1일 설립되었으며, 2003년 1월 2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동사가 영위하는 선재산업은 타 품목과 달리 전량 선재가공 업체에 가공되어 2차 가공 공정을 거친 다음 강선, 스프링, 와이어로프 등의 최종제품으로 생산되었습니다. 동사 제품인 와이어로프는 주로 건설용, 수사업용, 유전시추용, 광업용도이며 경강선은 각종 스프링용, 압연용, 벌목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3% 증가, 영업이익은 23.1%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국내 건설경기가 부진하며 철강 수요에도 영향을 미쳐 동사의 매출 및 수익성은 부진한 상황입니다. 동남아시아에서 고속 성장 중인 베트남 시장은 자동차, 건설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철강 수요가 증가 중입니다. 이에 베트남 현지 법인에 출자해 신규 시장 진출을 모색 중에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506억의 소형주로 자동차·전기·건설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및 경강선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 DSR제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유에스티

  • 기업개요 : 유에스티는 2009년 4월 2일에 미주제강으로부터 물적분할되어, 미주에스티에스라는 상호로 설립된 동사는 2017년 5월 31일자로 상호를 유에스티로 변경하였습니다. 동사는 스테인리스 강관을 제작 및 판매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크린 파이프 및 튜브는 국내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업체 등에 공급되고 있고, 미국, 유럽, 일본 및 동남아시아 등 수출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5.1% 감소, 영업이익은 51.1% 감소, 당기순이익은 45.8% 감소되었습니다. 강관 팡매 부진으로 매출이 하락하고 인건비가 증가하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절반가량 축소되었습니다. 기존 대비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차세대  EP 제품을 개발 중에 있으며, 항공우주 산업에 필요한 고열, 고내식성 EP 제품 개발, 고생산성 EP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514억의 소형주로 자동차·전기·건설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및 경강선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 UST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1) 문배철강

 

  • 기업개요 : 문배철강은 공정상 기준으로 제2차 가공업체로 분류되며, 기타 제강업체는 철광석과 석회석 및 유연탄을 원료로 하는 전로업체와 고철을 원료로 하는 전기로 업체로 구분됩니다. 주요 구매처인 포스코의 원재료수급 정책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제품 및 서비스는 일반구조용, 조선용, LNG강관용, 보일러용 외 제품 및 상품, 임가공, 임대 매출로 구분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6.2% 감소, 영업손실은 29.9% 증가, 당기순이익은 56.9% 감소되었습니다. 임대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소폭 증가하였지만 이외 철강 및 임가공 매출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매출액 또한 감소하였고 매출원가 및 판관비용 절감 노력에도 손실폭이 증가하였습니다.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확충 및 품목의 다양화와 대량화 등의 전략으로 실적 회복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538억의 소형주로 포스코의 지정 판매점으로 스켈프, 강판, 형강, 후판, 코일, 박판 등 1차 형태의 철강재 및 표면처리강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문배철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2) 삼현철강

  • 기업개요 : 삼현철강은 코일 전.절단 가공업 및 판매업, 철판류 가공업 및 판매업, 형강류 가공업 및 판매업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제품은 철구조물 제작, PIPE PILE, GUARDRAIL, 컨테이너 제작, 미끄럼 방지용으로 구조물의 계단, 시설물의 점검 통로 및 주차장 바닥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 교량, 건설중장비, 해양구조물, 기타 구조물, 건설, 조선 등 일반철구조물 제작용으로 사용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7.8% 감소, 영업이익은 88.2% 감소, 당기순이익은 69% 감소했습니다. 철구조물 제작, 자동차 내장재 등에 쓰이는 제품의 매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고 상품 및 임가공 매출도 감소하였습니다. 수요가가 원하는 가격의 철강재 (열연강판 등)를 포스코, 현대제철등으로 부터 신속하게 매입하여 판매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683억의 소형주로 포스코의 열연제품과 후판 등을 매입하여 가공 및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현대제철 형강지정 판매점으로 현대제철에서 생산되는 형강제품 유통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삼현철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3) 금강철강

  • 기업개요 : 금강철강은 철강재 판매업, 자동차 및 전자부품 제조 및 판매업 등의 목적으로 1977년 설립되었으며, 2002년 코스닥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했습니다. 자동차, 가전, 건설, 산업용기 등의 산업원자재인 코일을 자동화 기계설비를 갖추고 수요자가 원하는 규격으로 전·절단 가공하여 공급하는 것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3일에 씨엘피라이트닝사모투자합자회사가 종속회사로 편입되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 감소, 영업이익은 46.9% 감소, 당기순이익은 42.5% 감소했습니다. 세계 철강 시황은 연초 중국의 리오프닝 이후에도 제조업의 부진과 건설경기 침체로 철강수요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이었습니다. 하반기 중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에도 큰폭의 수요개선이 이뤄지지 않았으면서 철강가격 약세기조가 이어지는 '상저하저'의 흐름을 보였고, 동사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함께 감소하였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775억의 소형주로 포스코 판매점으로서 전량 포스코로부터 원재료(코일)을 공급받아 냉연강판 및 아연도금강판을 가공하여 판매합니다. 주요 고객사는 한국지엠과 기아자동차로 알려져 있습니다.
  • 삼보산업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4) NI스틸

  • 기업개요 : NI스틸의 강건재 합성보와 합성기둥 사업에서는 주력제품인 강건재 합성보와 합성기둥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장점을 극대화해 성능을 향상한 구조 시스템이 있습니다. 강재리스 산업에서는  가설재 강재리스 산업에 있어서는 기존의 U형 Sheet Pile과 더불어 H빔과 N.I-Strut, 시스템비계&서포트 제품군을 추가하였습니다. 층간 바닥면인 Deck Plate와 외벽을 이루는 Steel Curtain Wall 등 일관된 사업형태를 갖추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0.5% 감소, 영업이익은 48.4% 감소, 당기순이익은 49% 감소했습니다. 신규 합성보 및 기둥부재와 여러 기능을 가진 Deck Plate, 건물외벽인 커튼월의 개발을 완료하여 신규생산 Line 투자를 끝냈으며 다양한 건축자재를 제품화하여 이로 인한 매출증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금년 4월, 7월에 광양공장 확대 및 충주공장 취득과 투자 등, 대형화하여 영업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994억의 소형주로 1차금속 부문의 강건재 철강성형제품 제조하고 있습니다.
  • 엔아이스틸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5) 경남스틸

  • 기업개요 : 경남스틸은 코일 전단, 절단 및 가공업, 코일, 철판류 판매,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0년 11월 삼현강업 주식회사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주력 상품으로는 자동차용품에 주로 사용되는 산세코일과 가정용품에 주로 사용되는 냉연강판이 있습니다. 동사는 포스코 가공센터로 포스코에서 생산한 냉연 및 열연 철강재를 공급받아 고객사들이 주문하는 규격으로 전단, 절단 가공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0.9% 감소, 영업이익은 50.6% 감소, 당기순이익은 53.1% 감소했습니다. 2024년은 글로벌 철강 시황 부진과 이에 따른 제품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익성 하락 및 경쟁심화로 인한 힘든 철강 시황을 겪고 있습니다. 불황이 장기화하고 단기적인 회복이 어려운 실정에 중국산 저가 철강재 시장 유입, 환율 상승 등은 원가 부담으로 작용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시가총액 1,242억의 소형주로 포스코에서 생산한 냉연 및 열연 철강재를 공급받아 자동차에 주로 사용되는 신세코일(PO)과 가정용품에 주로 활용되는 냉연강판(CR) 등을 가공·판매하고 있습니다.
  • 경남스틸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총평

 위의 15종목은 철강종목 중에 시총이 작고 테마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목을 선정한 것이고, 아래는 그 외에 중소형 철강섹터 중 시가총액이 5,000억 미만의 종목들을 정리하였으니 투자에 참고 바랍니다.

순번 종목명 시가총액  설명
16 SHD 182억 각종 CAN의 원료로 사용되는 석도강판 등을 가공·판매
17 화인베스틸 317억 조선용 형강인 인버티드 앵글(길이와 두께가 다른 앵글)을 주력으로 생산
18 대동스틸 512억 포스코의 지정판매점으로, 토목, 건설, 자동차, 조선 등에 사용되는 열연제품·후판을 가공·판매. 서울을 비롯한 중부권, 영남권, 충청권이 주요 사업영역
19 대양금속 584억 스테인리스 Hot 코일을 외부 조달하여 자체 냉간 압연 공정을 거쳐 스테인리스 냉연강판 생산. 주로 가전업체, 자동차 부품 업체 등에 납품
20 하이스틸 849억 자동차, 선박기계, 건설, 배관, 보일러 및 구조물 등에 사용되는 강관을 주요제품으로 생산하는 강관 전문 제조업체
21 한국선재 852억 포스코, 중국 등에서 원재료인 연·경강 선재를 공급받아 선재류(아연도금철선, 스테인리스강선) 가공·판매
22 황금에스티 879억 각종 CAN의 원료로 사용되는 석도강판 등을 가공·판매
23 동일산업 976억 봉강(환봉, 마환봉 및 특수강 등),합금철(합금철 등), 주조(주강 및 특수강 등) 등 생산. 네옴, 포스코, 현대제철, 두산인프라코어 등이 주요 고객사
24 코메론 1,004억 압연사업(특수강, 스텐레스강) 등을 영위함. 두께 0.08~4.0mm, 폭 4~400mm까지의 협폭 냉간압연을 생산하여 일부는 당사의 줄자 원재료로 공급하고 있으며, 자동차, 가전 등의 수요처로 내수판매중
25 신스틸 1,043억 가전제품의 외장재, 건축자재로 주로 사용되는 컬러강판 등을 가공·판매
26 한국특강 1,061억 건축·조선·자동차 기자재로 사용되는 형강, 봉강 등 제조·판매
27 만호제강 1,067억 조선, 건설 업종에 주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섬유로프 등 생산
28 세아특수강 1,135억 자동차, 기계부품, 건설자재 등에 사용되는 냉간압조용 선재와 봉강 등 생산
29 금강공업 1,175억 강관 및 건설용 가설자재 전문 생산 업체로 일반배관용, 구조용 등의 강관(흑관, 백관, CGI, OCTG 등)을 생한 및 판매함
30 제이스코홀딩스 1,248억 건축자재용 연강선재, BIC이형철근, 보통철선 제조
31 디씨엠 1,329억 표면처리강판인 LAMINATED 칼라강판, 산업용 FILM 생산
32 한국주철관 1,434억 상하수도용 주철관 및 강관 제조업체. 상하수도용 덕타일주철관과 일반사업에 필요한 부품 또는 소재관련 주물제품 등을 생산. 주요 수요처는 조달청 및 각급 지자체, 수자원공사 등
33 아주스틸 1,626억 컬러강판 전문 제조업체로 주로 세계적인 가전회사 LG전자, 삼성전자의 프리미엄급 제품 외관 소재로 사용됨.
34 동양철관 1,894억 가스관에 주로 사용되는 배관용 강관 및 수도관 제조
35 현대비앤지스틸 1,950억 국내외(중국·일본 등) 원재사에서 철강을 매입해 가전제품, 자동차, 의료기기용 등 스테인리스 강판 생산
36 동국씨엠 2,123억 기존 동국제강에서 냉연사업 부문이 인적 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37 동국산업 2,235억 자동차, 산업기계에 사용되는 냉연강판 등을 가공·판매
38 동국홀딩스 2,452억 판재류(후판)과 봉형강류(철근, 형강) 등을 생산하는 철강 제조 전문업체
39 SIMPAC 2,614억 양질의 철강을 생산하기 위한 필수 원료인 합금철 생산
40 포스코스틸리온 2,850억 포스코 계열의 표면처리강판 제조전문 업체. 
41 대한제강 3,753억 철스크랩을 원재료로 하여 빌릿을 생산하는 제강사업과 반제품인 빌릿을 원재료로 하여 철근을 생산하는 압연사업 등을 영위함
42 고려제강 4,806억 와이어로프, 경강선, PC 강선 및 강연선, 비드와이어 등 각종 선재 제조 및 판매. 내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출비중
43 동국제강 4,837억 기존 동국제강에서 열연사업 부문이 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건축용, 구조용, 조선, 건축구조용 열연 제품(철근, 후판 등)을 생산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