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몇일은 조금 꺾이긴 했지만 금 가격이 사상 최대치를 달성하며 급등했었습니다. 이에 주얼리 업계와 명품 브랜드들도 가격 인상을 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금 가격 상승에 대한 내용 정리와 금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표 10 종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금값(금시세) 상승 내용 정리
1) 최근 금시세 동향 정리
국제 금값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와 달러 가치 및 미국 국채 수익률 하락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월요일 금값은 1% 이상 상승하며 강세를 나타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이 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간의 갈등이 지정학적 위기감을 높이며 금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이에 따라 국제 금값(XAU/USD)은 온스당 2,89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아울러,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 20% 추가 관세를 시행할 예정인 점도 금값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금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년 3월 5일 0시기준, 한국표준거래소에 따르면 순금시세 살때는 593,000원이며 팔때는 521,000원입니다. 18K 금시세는 팔때 382,900원입니다. 14K 금시세는 296,900원입니다. 백금시세는 살때 196,000원이며 팔때 148,000원입니다. 은시세는 살때 6,470원이며 팔때 4,730원입니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24K(3.75g) 순금 살때 594,000원이며 팔때는 520,000원입니다.
2) 금값 상승 주요 원인
2-1) 신흥시장 경제 성장
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중국과 인도 등 신흥시장 국가들의 경제 성장입니다. 이들 지역의 중 산층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귀금속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금을 선호하는 이들 국가의 중산층은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서 금을 안전한 자산으로 여겨 적극적으로 매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결혼이나 중요한 행사에서 금이 상징적 의미를 가지는 문화적 배경도 금 수요를 증가시키는 중요 한 요소입니다. 이러한 수요 증가는 금값 상승을 부추기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2) 미국 금리 인하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 제도(Fed)의 금리 인하는 금값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미국이 금리를 1%포인트 인하할 경 우, 금값이 약 31%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투자자들은 금과 같은 안전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미국 내 경제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정책이지만, 반대로 금값에는 상승 압 력을 주는 결과를 낳습니다. 연준의 금리 정책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금리 변동은 향후 금값의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2-3) 공급 감소 : 남아프리카공화국 금 생산량 하락
금 공급 측면에서도 금값 상승의 요인이 존재합니다. 세계 최대 금 생산지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금 생산량이 1931년 이후 최저치로 감소하면서, 공급이 줄어든 상황입니다. 공급이 감소하면 수요가 증가할 때 가격은 자연스럽게 오르게 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오랜 기간 동안 세계 금 생산의 중심지였지만, 최근 채굴 환경의 어려움과 비용 상승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금 가격을 상승시키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금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TOP10
1) 엘컴텍

- 기업개요 : 엘컴텍는 전자부품 제품 제조 및 판매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1년 09월 13일에 설립되었고, 2000년 08월 22일 코스닥에 등록하였습니다. 주요 사업은 현재 핸드폰용 카메라 모듈용 렌즈, LED조명 및 EMS(전자제품 생산을 전문) 사업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핸드폰부품 중 카메라 렌즈는 소형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A'SSY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모바일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이익은 8.8% 증가, 당기순이익은 8.2% 증가했습니다. 카메라 렌즈산업은 초기설비투자가 대규모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장진입이 어렵고, 고급기술력의 확보, 원재료업체 개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동사는 국내에서 선두업체로서의 지위와 우수한 기술력과 영업망, 해외인지도, 공정의자동화등 상대적으로 비교우위에 있으며, 경쟁사로는 디오스텍,디지탈옵틱,세코닉스등이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엘컴텍은 몽골 현지에서 금과 구리 광산 채굴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금 테마에 속해 있으며 금값 상승 시, 가장 강하게 반응하여 금 대장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엘컴텍은 몽골 우문고비 서북지역 금·구리 광산 개발사업에 총 178억 124만 4000원을 투자했고, 몽골 현지에 설립된 'AGM MINING CO., LTD'를 통해 3개의 탐사권을 확보한 바 있습니다. 그 3개의 광구는 △Toromkhon(14917A 내 위치, 금·구리 프로젝트) △Alag Shand(14917A·17452A 내 위치, 금 프로젝트) △Tamgat(17452A·020529A 내 위치, 구리·아연 프로젝트)입니다.
- 엘컴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TKG애강 (구 정산애강)

- 기업개요 : TKG애강은 1990년1월 22일에 설립되었으며, 2022년 3월 상호의 명칭을 정산애강에서 "티케이지애강"으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PB(급수탕용. 난방)배관재, CPVC(소방)배관재, 스프링클러 헤드&밸브를제조.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C-PVC 배관재는 기존 소방배관의 금속관을 대체하여 성장하는 추세이며, 금속관에 비해 가볍고 시공방식이 용이하여 매년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0.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91.7% 감소했습니다. 현재 업계 전반적으로 매출, 수익성 감소 등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으며, 동사의 매출도 감소하여 영업이익이 115%감소 하며 적자전환하였습니다. 내년 건설 경기 상황이 전환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한 만큼 현시기를 내실을 다질 기회로 보고, 동남아 기반 해외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TKG애강은 폐 가전제품에서 금 등 귀금속을 추출해 재활용 하는 사업을 영위한 바가 있어 금 테마주로 분류되는 종목입니다. 보통 금시세가 상승할 때, 엘컴텍 다음 후발주자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TKG애강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엠케이전자

- 기업개요 : 엠케이전자는 1982년 12월에 주식회사 "미경사"로 설립되었으며 1997년 8월 엠케이전자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및 기업공개를 실시하였습니다. 반도체 Package의 핵심부품인 본딩와이어(Bonding Wire) 및 솔더볼(Solder Ball) 등 전자부품 등을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용인본사와 중국 쿤산을 거점으로 하여 반도체 IDM 업체와 후공정 업체들을 대상으로 생산,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글로벌 소재 기업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증가, 영업이익은 7.1% 증가, 당기순손실은 136.9% 증가했습니다. 중국법인의 실적 성장세로 매출은 증가했으며, 고정비 동반 성장에도 영업이익 또한 성장세를 유지중입니다. 동사는 중국 시장 내에서 화티엔 품질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OSAT기업 뿐만 아니라 IC, 카메라 모듈 업체 등에 대한 신뢰도 및 브랜드 가치 향상에 많은 도움 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엠케이전자는 반도체용 본딩와이어(세금선)와 솔더볼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기업인데,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본딩와이어 소재가 금이어서 금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엠케이전자는 금을 이용해 가는 반도체 리드프레임과 실로콘 칩을 연결하는 가는선인 본딩와이어를 생산합니다. 따라서 금값이 오르면 원재료 비용 부담이 커져서 수익성이 악화됩니다. 하지만 같은 금 테마에 있어서 그런지 금값이 상승할 때 주가가 같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엠케이전자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고려아연

- 기업개요 : 고려아연은 1974년 설립되었으며, 비철금속제련회사로서 아연과 연의 생산 및 판매를 주업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기타 금, 은, 동, 황산 등은 아연과 연의 제련과정에서 회수하는 유가금속과 부산물의 일종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금속 및 제품의 통합 생산 공정을 통해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최종 발생되는 잔여물 또한 clean slag로 방출하여 골재로 판매하는 등 환경영향을 최소화하여 친환경 제련소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5% 증가, 영업이익은 30.6% 증가, 당기순이익은 30.3% 증가했습니다. 동사는 비우호적인 대외환경과 비정기 시설보수 비용의 반영에도 상반기 적극적인 제품 판매와 공정 혁신을 통한 비용 절감 노력 등으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최근 환율과 LME 가격 반등 등 대외 환경이 우호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선제적인 시설보수에 따른 생산능력 극대화가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고려아연은 아연 제련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로 금을 생산해 고가에 판매하고 있어 금 수혜주로 분류되는 종목입니다. 고려아연의 매출액 중 금 매출이 약 10% 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고려아연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풍산

- 기업개요 : 풍산은 동사 및 연결회사는 신동사업 부문과 방산사업 부문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신동사업 부문에서는 동 및 동합금 판ㆍ대, 리드프레임 소재, 봉ㆍ선, 주화용 소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방산사업 부문에서는 소구경에서부터 대구경까지 이르는 각종 군용 탄약과 스포츠용 탄약, 추진화약 및 탄약 부분품, 정밀 단조품 등을 생산함. 신규 Alloy 및 탄약 기능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 증가, 영업이익은 69.9% 증가, 당기순이익은 63.6% 증가했습니다. 3분기 신동 및 방산 부문의 매출 비중은 각각 69%, 31%를 차지하였으며 전년 동기대비 각각 8.0% 증가, 28.6% 증가했습니다. 방산부문은 최근 155mm 사거리연장탄 개발이 완료 되었으며, 이외에도 23개 신규개발을 추진중입니다. 이러한 신규사업은 향후 지속적인 매출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풍산은 압연사업에서 동합금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어 금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동합금은 구리(Cu)를 기본으로 하고, 다양한 금속 원소를 첨가하여 만든 합금을 의미합니다. 구리는 전도성이 뛰어나지만 기계적 강도가 낮기 때문에, 다양한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원하는 성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풍산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아이티센

- 기업개요 : 아이티센은 2005년 설립되어 201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고, 주요사업으로는 Web 3.0 서비스 사업, IT 컨설팅, IT시스템 설계 및 개발수행 SI 등이 있습니다. IT 서비스 부문은 아이티센, 쌍용정보통신, 시큐센, 클로잇 등의 회사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비 IT 부문은 한국금거래소 등의 회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귀금속 도소매업, 도금업, 귀금속 및 장식용품 제조를 주업으로 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0.9% 증가, 영업이익은 509.6%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했습니다. 국제 금 시세 및 거래량 상승에 따른 금 관련 매출 증가 영향이 크게 작용했고, IT사업부문은 수익성 위주의 사업을 재편하며 실적 개선을 달성했습니다. IT사업은 특성상 하반기에 실적이 몰리기에 보다 큰 성장이 예상되고, 최근 BDX를 비롯한 신규사업들의 순항과 자회사들의 고른 성장으로 인해 올해 좋은 실적이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아이테센은 금 거래 플랫폼인 한국금거래소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금값 상승 테마주에 속해 있습니다. 아이티센은 2018년 한국금거래소 지분 67.3%를 76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한국금거래소가 국내 금 유통시장의 60%를 장악하고 있어 아이티센 실적 상승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 아이티센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한컴위드

- 기업개요 : 한컴위드는 1999년 설립되어 전자상거래의 보안 인프라를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금융기관, 대기업 등 국내 우량 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20년 이상 보안 전문기업으로 운영되었고 블록체인과 스마트시티 중심의 플랫폼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면서 지금의 사명으로 변경했습니다. 정부기관 및 기업들과 PKI, PC 및 DB보안, 유비쿼터스 보안 등 다양한 분야의 R&D를 수행해오며 '소프트포럼' 브랜드를 구축하였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 증가, 영업손실은 76.3% 감소, 당기순이익은 44.4% 감소했습니다. 딥페이크 범죄 분석 및 대응, 모바일 보안 솔루션 등 동사 서비스의 수요처가 다양해지며 매출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전자상거래 솔루션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암호인증 분야는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동사는 이러한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과 안정성으로 경쟁력을 확보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컴위드는 자회사인 한컴금거래소 지분 25%를 보유하고 있어 금값 상승 관련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컴금거래소는 금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며, 디지털 금 거래 등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금 가격이 상승하여 디지털 금 거래 플랫폼의 이용이 활성화되면 한컴위드가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한컴위드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비에이치

- 기업개요 : 비에이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9년 05월 0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사업분야는 첨단 IT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및 생산하는 FPCB 사업과 차량용 휴대폰 무선충전기의 개발 및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전장사업부로 분류됩니다. FPCB 제품의 주요 목표시장은 스마트폰, OLDE, LCD모듈, 카메라모듈, 가전용TV, 전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세트 메이커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8% 증가, 영업이익은 33% 증가, 당기순이익은 7.9% 감소했습니다. 북미 고객 FPCB 공급망 내 점유율 상승 덕분에, 동 매출은 17% 늘어난 3645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수요 우려에도 불구하고 새로 IT OLED(유기발광다이오드)용 FPCB 매출이 본격 반영됨에 따라 올 4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1% 줄어든 5131억원으로 양호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비에이치는 우즈베키스탄에 비철금속(금, 규소 등) 채굴권을 보유하고 있어 금값 상승 수혜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비에이치는 2008년에 우즈베키스탄에 설립한 현지법인 BH R&C Central Asia LLC를 통해 광물채굴권 보유사인 Au-turon의 지분 50%를 163만 달러에 인수하고 공동 경영하기로 계약했습니다. Au-turon은 우즈베키스탄 사마라칸트주의 카에라카치 금광 등 비철금속 채굴권을 소유하고 있는 광물채굴 개발 회사 입니다.
- 비에이치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황금에스티

- 기업개요 : 황금에스티는 1986년 8월 황금스테인레스로 설립되었고, 1997년 3월 상호를 황금에스티로 변경하였습니다. 스테인리스/철강 소재 전문 기업으로 스테인리스 열연 및 냉연 판, 특수강을 생산, 판매하는 스테인리스 사업 및 탄소강 판 등을 생산, 판매하는 탄소강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스테인레스는 산업설비의 기초소재이자 국가 기간산업의 근간소재로서 식품, 화학, 반도체, 자동차, 기계, 플랜트,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1% 감소, 영업이익은 45.8% 감소, 당기순이익은 28.8% 감소했습니다. 건설부문은 장기적으로 정부SOC 예산의 감소와, 지방자치단체 및 공기업 투자여건이 악화 등 건설업 전반에 걸처 경영 환경이 악화되었습니다. 최근 고품질 건축소재인 '티타맥스' 브랜드를 출시하여 표면처리 소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사업기반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황금에스티는 직접적으로 금을 다루지는 않지만, 금속 관련 사업군에 속하며 비철금속 테마주로 분류되어 금 관련주에 속해 있는 종목입니다. 비철금속은 철(Fe) 이외의 모든 금속을 지칭하며, 대표적인 비철금속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아연, 납, 니켈, 주석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비철금속 테마에서 유독 황금에스티만 금 섹터에 분류되는 이유는 회사명에 '황금'이 들어가는 것도 한 몫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 황금에스티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삼성물산

- 기업개요 : 삼성물산은 1938년 설립되었으며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을 합병하였습니다. 건설/상사/패션/리조트/급식·식자재유통/바이오 산업을아우르는 Global Business Partner 및 Lifestyle Innovator로 더욱 성장해나가고 있습니다. 미래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태양광, 소형원전(SMR), 수소 등 친환경 사업으로 지속적인 확장 추진 및 지분투자 등으로 사업경쟁력 강화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 증가, 영업이익은 4.7% 증가, 당기순이익은 4.2% 감소했습니다. 건설 부문에서 국내외 대형 프로젝트 공정 마무리 기저효과 이어지며 전분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하였습니다. 상사 부문에서는 화학, 소재 등 주요 원자재 수요 둔화에 따른 트레이딩 물량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 감소, 미 태양광 매각 이익 실현으로 수익성 개선되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삼성물산의 상사부문은 자원 개발·투자 사업을 지속적으로 해왔으며, 그 중 하나가 광산에 대한 지분 인수 또는 투자입니다. 삼성물산은 2020년 캐나다 밴쿠버 소재 광산업체 그레이트 팬더 마이닝(Great Panther Mining Limited)과 1125만 달러 (약 131억 원) 규모의 금 구입 계약을 체결하여 금 테마주로 편입되었습니다. 계약 내용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그레이트 팬더 마이닝이 소유한 브라질 투카노(Tucano) 금광으로부터 매월 3000 oz(85.04 kg) 상당의 금을 공급받고 투카노 금광에서 채굴된 금의 권리도 확보하였습니다.
- 삼성물산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중소형 철강주 총정리 TOP15 (4) | 2025.03.20 |
---|---|
[기업분석] 국내 알루미늄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5 (2) | 2025.03.12 |
[기업분석] 희귀금속 희토류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2 (1) | 2025.03.04 |
[기업분석] 이미지센서 온센서AI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0 (2) | 2025.02.23 |
[기업분석] 휴머노이드 로봇 국내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5 (1)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