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분석

[기업분석] 배터리 리사이클 개화와 국내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TOP15

by 머니투어 2025. 1.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전기차 배터리 리사이클 시기가 도래하면서 폐배터리 관련 회사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이런 폐배터리 사업을 영위하는 관련 종목들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폐배터리 재활용

1) 2025년 '배터리 리사이클' 시장 개화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일반적으로 10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6년 말 전기차 등록대수가 1만 대 수준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2025년부터 '배터리 재활용(리사이클링)'시장이 본격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글로벌 시장은 더욱 성장세가 가파릅니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글로벌 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는 2030년 53,369백만 불(약 60조 원), 2040년 174,120백만 불(약 200조 원) 규모라고 합니다.

2) 폐배터리 재활용, 관건은?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관건은 '폐배터리 확보'인데요.
 폐배터리 시장의 구조적 특성상, 이 시장은 신규 배터리가 얼마나 많이 팔리는가, 신규 배터리가 폐배터리로 시장에 나올 때까지 리드타임(Lead Time)이 얼마인지와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습니다.
 결국, 확보할 수 있는 폐배터리 규모는 신규 배터리의 판매 규모와 리드타임과 연계되기 때문에 한정적일 수 밖에 없죠.
 이에, 폐배터리를 우선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포스코HY클린메탈은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공장의 배터리 스크랩을 구매했고요.
 GS건설은 현대자동차가 리콜한 코나 전기차 배터리 물량을 구매했고, 이를 GS건설의 자회사인 에네르마가 맡을 폐배터리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이에스동서는 2019년 폐장도차처리 회사인 인선모터스를 인수하여 폐배터리를 확보했다고 합니다.

 

2. 국내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5

1) LG에너지솔루션

  • 기업소개 : LG에너지솔루션은 2020년 12월 1일 기존의 LG화학에서 분할되어 신설되었습니다. EV, ESS, IT기기, 전동공구, LEV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에너지솔루션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V용 배터리의 경우 경쟁사 대비 앞선 개발과 공급 및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Global 자동차 OEM 대부분을 고객으로 확보하였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3분기 매출은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수요 둔화,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강세 및 메탈가 약세로 인한 따른 판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적자전환하였습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소법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 4000억 이상 반영에도 불구하고 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중국 1위 코발트 생산업체인 화유코발트와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을 설립하며 폐배터리 대장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중국 내 최초의 한중 합작 배터리 리사이클 기업으로 신규 합작법인은 배터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인 스크랩(Scrap), 수거된 폐배터리 등에서 핵심 원재료인 니켈, 코발트, 리튬 등을 추출합니다. 향후에는 중국 장쑤성 난징시, 저장성 취저우시에 각각 스크랩을 처리하고 폐배터리를 가공하는 전(前) 처리 공장, 재활용 메탈을 처리하는 후(後) 처리 공장을 세운다는 계획입니다.
  • LG에너지솔루션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성일하이텍

  • 기업소개 : 성일하이텍은 2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 업체로 코발트, 리튬 등의 핵심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사업을 영위합니다. 동사는 셀업체 및 글로벌 완성차 OEM업체 중심으로 안정적 수급망 및 거점을 구축 하였으며, 기존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나오는 스크랩뿐 아니라 사용 후 전기차, ESG배터리도 원재료로 확보하였습니다. 전처리 공정을 담당하는 리사이클링 파크와 제련 및 제품화를 진행하는 하이드로 센터를 통해 2차전지 리사이클링 관련 일괄 공정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0%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니켈 판매가격·물량의 판매가 소폭 반등하면서 매출 성장에 기여했으나 코발트 가격 하락과 판매 하락으로 효과가 감소 및 자회사들의 매출도 시세 하락, 기타 판매 제품 판매가 감소 유럽연합 등 배터리 재활용 원료 사용 의무화 추진에 따라 폐배터리 시장 성장 및 수혜 예상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성일하이텍은 2차전지 리사이클링 전문 기업으로 코발트, 리튬 등의 핵심 물질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폐배터리 관련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성일하이텍은 최근 전북 새만금에 3공장을 건립했는데, 이곳에서 습식 제련을 통해 폐배터리로부터 니켈과 코발트, 리튬 등 원료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성일하이텍은 말레이시아, 중국, 헝가리, 인도 등에서 스크랩과 폐배터리를 수거하고 있고, 전기차 배터리 전문기업인 삼성SDI와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있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성일하이텍의 지분 8.79%를 보유하고 있기도 합니다.
  • 성일하이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영화테크

  • 기업소개 : 영화테크는 2000년 8월 8일에 설립되었고, 자동차용 정션박스, 전기차 전력전자부품/모듈 등을 자체 개발/제조하여 국내외 자동차 OEM사 및 글로벌 부품사에 공급하는 회사입니다. 한국에 본사 및 생산공장, 기술연구소, 중국에 현지 생산법인, 미국, 멕시코등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자동차 전기부품, 전기자동차 및 2차 전지 핵심 부품에 모듈식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5.6% 증가, 영업이익은 126.4% 증가, 당기순이익은 109.9% 증가입니다. 동사의 멕시코법인이 GM 북미지역 공급을 위해 공장 건설에 들어갔습니다. 전장품 및 전기차부품 전용시설을 구축해 연간 300만 개의 정션박스와 BDU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유럽시장 공급망 확충과 멕시코 공장건설을 통해 글로벌 부품 공급사로 나아가 올해부터 6억 달러 이상의 누적 수주 물량을 본격 양산할 계획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영화테크는 국책과제인 'EV·HEV 폐배터리를 이용한 10kW급 ESS 재사용 개발 사업'의 주관 사업자로 선정되었고, 최근 폐배터리를 태양광 발전을 통해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재활용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하며 폐배터리 관련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영화테크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코스모화학

  • 기업소개 : 동사는 1968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이산화티타늄(아나타제, 루타일), 폐수처리제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으로는 기능성필름, 2 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코스모신소재와 유기 및 무기 화학공업 제품제조, 시스템 인터그레이션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코스모촉매, 코스모에코켐이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업체이며, 수입제품 외 국내 경쟁 생산업체는 없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4% 감소, 영업이익은 59.6% 감소, 당기순손실은 20.9% 증가했습니다.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신소재부문에서 전년동기대비 매출 하락세를 기록하였으며, 고정비 동반 하락에도 영업이익은 큰 폭의 감소세를 보입니다. 동사는 2024년 당분기까지 생산능력 향상을 위한 신규 설비의 매입과 신규 공장 증설을 위하여 2,525억 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코스모화학은 자회사인 코스모에코켐을 통해 폐배터리 사업을 영위하고 있고, 폐배터리로 시작해 양극재까지 코스모그룹 내에서 수직계열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3년 말에는 울산공장에 약 3,800톤 규모의 폐배터리 리사이클 공장을 준공해 가동 중이고, 작년에는 로벌 전구체 시장 1위인 중국 CNGR과 폐배터리 리사이클 협업 합의서를 체결하여 폐배터리 테마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코스모화학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파워로직스

  • 기업개요 : 파워로직스는 1997년 9월 3일 설립되어 1999년 9월에 파워로직스로 상호변경하였으며, 2003년 7월 25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동사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SM(Smart Modul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CM(Camera Module) 등을 생산 및 판매함. 삼성SDI, 삼성전자, LG화학 등을 주요 거래처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했습니다. 동사의 3분기 누적 매출액 중 카메라모듈 부문이 74%, 이차전지 보호회로 및 배터리팩 부문이 23%를 차지하며, 수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의 7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안전성 제고 및 지능형 자동차 시장이 본격화되면서 동사는 전장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자동차용 카메라에 대한 연구개발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파워로직스는 배터리의 남은 전력량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기술과 배터리 시스템 통합 설루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파워로직스는 현대차그룹과 청주 파워로직스 본사에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에너지저장장치(ESS) 파일럿 생산라인을 구축하며 폐배터리 수혜주로 편입되었습니다. 규모는 연 10 MWh이고, 200대 분량 전기차 폐배터리를 1000대 배터리 트레이로 제작해 납품할 수 있습니다.
  • 파워로직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에이프로

  • 기업개요 : 에이프로는  2000년 06월 27일 설립되어 전력변환장치(SMPS) 및 인버터 기술을 바탕으로 리튬이온 2차 전지 생산공정 중 활성화 공정에 해당하는 장비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충방전기(Formation)와 고온가압충방전기(Jig Formation)를 중심으로 2차전지 활성화 공정에 필요한 제품 전체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인 충방전기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휴대폰 배터리 등 2차 전지를 대량으로 충전 및 방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6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4% 감소, 영업이익은 85.6% 감소, 당기순이익은 78% 감소했습니다. 동사의 주요 고객은 LG에너지솔루션 등 리튬이온 2차 전지 제조업체들이며, 동사의 설비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기차, 휴대폰 등의 배터리를 생산합니다. 최근에는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력 반도체 (GaN Power)를 기반으로 한 충방전 설비를 개발하며 신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에이프로는 차세대 사업으로 높은 열에도 안정적 성능을 발휘하는 질화물과 갈륨을 결합한 갠(GaN) 반도체와 배터리 진단기술을 활용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또한 에이프로는 폐배터리의 남은 용량과 수명을 측정하는 폐배터리 검사 장비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에이프로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인선이엔티

  • 기업개요 : 인선이엔티는 건설폐기물 및 사업장 폐기물의 중간처리, 재활용골재판매, 소각처리, 매립처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폐기물 처리 분야를 넘어 전기차 폐배터리 등 자동차 재활용 사업 전반에 걸친 영역으로 연구개발 분야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건설폐기물 분야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비계구조물 해체에서부터 건설폐기물의 수집/운반 및 중간처리, 순환골재 생산, 소각 및 스팀판매, 폐기물의 매립까지 폐기물 일괄처리 기술 및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 감소, 영업이익은 32.8% 감소, 당기순이익은 53.6% 감소했습니다. 건설경기의 장기 침체 여파에 따라 주요 사업부문인 폐기물처리의 매출이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매출과 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다. 경기 침체, 과열 경쟁등의 시장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외형 성장보다는 수익성 위주의 영업전략을 수립하여 시장변화에 대처하는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인선이엔티는 모회사 아이에스동서와 손잡고 종속회사 인선모터스를 통한 전기차 폐배터리 리싸이클링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폐배터리 재활용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인선모터스는 자동차 파쇄 및 재활용 전문업체로 2022년 전기차 폐배터리 중간재활용 관련 허가를 받았습니다. 인선이엔티(인선모터스)의 모회사인 아이에스동서는 최근 전기차 폐차부터 리싸이클 소재 제품화까지 폐배터리 토털 밸류체인 구축에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습니다.
  • 인선이엔티 주식회사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현대글로비스

  • 기업개요 : 현대글로비스는 2001년 현대자동차 그룹의 물류 통합에 따른 효율성 추구를 위하여 설립되었으며, 자동차 전문 물류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종합물류업, 유통판매업, 해운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유통판매업의 매출비중이 2024년 3분기 기준 47.63%로 가장 높습니다. 유통판매업은 완제품이 아닌 반제품으로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는 사업으로 종합 유통서비스를 제공해 현지 공장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2% 증가, 영업이익은 7.5% 증가, 당기순이익은 22.5% 증가했습니다. 유통부문은 해외공장 KD 물량 증가, 우호적 환율 효과로 매출이 확대되었으며, 물류부문은 해외 완성차 내륙운송 물동량 증가, 컨테이너 시황 강세로 성장세를 보입니다. 해운부문은 완성차 해상운송 운임 개선 효과 및 장기 계약 Wet Bulk 운항 개시 효과로 양호한 실적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현대글로비스는 폐배터리를 경제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전용 용기(전기차별로 형태가 다른 사용 후 배터리를 하나의 용기에 실어 운반하는 '플랫폼 용기') 특허를 취득하였습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러한 기술과 현재 국내 52개, 해외 96개의 주요 물류거점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 배터리 재활용 분야에서 우위를 점할 계획입니다. 최근 에코프로와 'EV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전후방 사업 및 제조물류 자동화 설루션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한데 이어, 세계 1위 코발트 생산 기업인 '화유코발트'의 자회사인 '화유리사이클'과 배터리 자원순환 사업을 위해 'EV 배터리사업 협업관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 현대글로비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에코프로

  • 기업개요 : 에코프로는 1998년 대기오염방지, 친환경소재 및 2차 전지소재의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2016년 2차전지 소재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에코프로비엠을 신설하였으며 2021년 대기오염방지 및 친환경소재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에코프로에이치엔을 신설한 뒤, 지주회사로 전환했습니다. 동사 및 동사의 종속회사들이 영위하고 있는 사업부문은 전지재료사업부문, 환경사업부문 등이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전기차 시장 수요 감소,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에코프로비엠의 매출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다른 계열사 역시 대부분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021년 국내 최초로 리사이클부터 최종 제품 생산까지의 밸류 체인을 통합한 산업 생태계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원가 경쟁력과 지속적인 투자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배터리 리싸이클링 전문기업인 에코프로씨엔지를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어 배터리 리싸이클링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에코프로 그룹은 배터리 재활용, 전구체, 양극재로 이어지는 모든 과정에서 전 계열사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원료를 생산하고 제련하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에코프로머티리얼즈, 전구체를 양산하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양극재를 생산하는 에코프로이노베이션·에코프로비엠, 폐배터리에서 금속을 빼내는 에코프로CNG 등이 있습니다.
  • 에코프로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새빗켐

  • 기업개요 : 현재 폐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ㆍ분리하여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이차전지의 부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크게 폐전지 재활용 사업과 폐산 재활용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022년 6월 국내 대형 배터리 소재회사 2개사가 리사이클 원료 공급을 위해 설립한 합작법인과 리사이클 원료 및 전구체복합액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8.3% 감소, 영업손실은 83.4% 증가, 당기순손실은 341.7% 증가했습니다. 연속식 급속 습식방전을 통해 방전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수시간 내 완전 방전 후 파쇄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 중입니다. 폐배터리로부터 탄산리튬을 추출하는 공정을 신규로 개발 중입니다. 개발이 완료되어 국내 생산이 현실화되면 100% 수입해 양극재를 생산하던 국내 2차 전지 산업의 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새빗켐은 재활용 전문기업으로 사업 초기에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산을 재활용하다가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2차전지 재활용 사업을 시작하며 폐배터리 리싸이클링 테마주로 편입되었습니다. 새빗켐은 현재 업계 최고 수준의 유가금속 회수율과 공정 간소화를 바탕으로 동종업계 대비 2배에 이르는 높은 영업이익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세빗켐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1) 케이피에스

  • 기업개요 : 케이피에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업체를 대상으로 정밀장비 제작 및 제어, 비전기술을 바탕으로 OLED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개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OLED 마스크 인장기와 재생연괴 (순연, 합금연)이 있음. OELD 마스크 인장기는 증착장비와 함께 핵심 장비로 분류됩니다. 납의 스크랩(주로 폐배터리)을 수거 또는 매입하여 재활용 방식 공정을 거쳐 국내외 배터리 제조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증가, 영업이익은 1936.8% 증가,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했습니다. 전 사업 부문 매출액이 증가하며 외형이 크게 성장했으나, 매출원가도 49.7% 증가하여 이익률은 소폭 압박을 받았습니다. 영업이익도 큰 폭으로 개선되었으나, 이자비용 증가로 인해 순이익은 소폭 상승에 그쳤습니다. 4월부터 가동을 시작한 신한울 2기에 이어, 올해와 내년에 순차적으로 세울 3, 4호기가 가동될 예정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23년에 배터리 재활용 회사인 세기리텍을 인수하며 배터리 재활용 수혜주로 분류됩니다. 세기리텍은 각종 폐배터리와 폐납을 재활용해 자동차 배터리 주원료(재생연괴)를 생산해 국내외 배터리 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세기리텍은 주력 사업인 재생연 분야 외에 전기차 리튬배터리(NCM·LFP) 재활용 부문을 신사업으로 추진 중입니다.
  • 케이피에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2) 하나기술

  • 기업개요 : 하나기술은 2003년 3월 설립되었으며, 2차전지 공정 장비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 2차전지 장비업체로는 유일하게 국내 이차전지 제조 3사인 삼성SDI, LG전자, SK이노베이션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해외 고객사로는 일본의 Murata, 태국의 GPSC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2차전지 전공정 장비 턴키 공급이 가능한 업체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7% 감소, 영업손실은 239.1%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동사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 감소 및 수익성 악화의 원인은 전기차 등 전방 시장의 위축과 신규 장비 개발을 위한 투자 비용 상승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동사는 신성장동력으로 전고체 배터리 장비와 소재 사업을 추진 및  고객사 검증 프로세스를 강화 등 실적 개선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하나기술은 폐배터리와 관련하여 배터리의 방전율을 측정하는 기술과 이를 재활용하기 위한 충방전, 폭발의 위험을 키우는 덴트라이트(수지상결정)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폐배터리 관련 종목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폐배터리 재가공용 장비인 성능 검사기, 팩 충방전 테스터(tester), 폐배터리 검사/방전/해체 반자동 라인 등의 장비 라인업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환경공단에서 진행하는 폐배터리 완전방전기술 개발 과제에 최종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 하나기술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3) 웰크론한텍

  • 기업개요 : 웰크론한텍은 1994년 설립되어 물, 환경, 에너지 관련 플랜트 및 종합건설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은 크게 플랜트/에너지 부문과 건설부문으로 분류됩니다. 플랜트/에너지 부문은 식품, 환경, 에너지 분야 등의 설비를 수주하고 건설부문은 일반건축, 개발사업, 산업시설, 공공토목 등의 분야에 건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종속회사는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홍콩법인, 중국법인과 건축설계, 감리, CM사업을 영위하는 동원건축사무소가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건설경기가 악화되면서 가장 큰 매출을 담당하는 종합건설 사업부문의 매출이 1/3 가량 하락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전반적인 모든 사업부의 매출이 하락하면서 영업적자로 전환되었음 주 공급설비가 대기업 위주로 매출대상이 한정되어 있어 폐수처리 분야의 다각화를 통한 매출대상의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웰크론한텍은 전처리 과정을 거친 폐배터리 부산물로부터 다시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원료를 분리해 회수해 내는 폐배터리 재활용 정제설비를 공급하고 있어 배터리 리싸이클링 수혜주로 분류됩니다. 또한 양극재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속에서 핵심원료를 회수하는 '양극제 폐수처리설비' 등 신규 설비를 앞세워 시장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23년에는 포스코HY클린메탈과 2차 전지 양극재 소재 결정화 설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는데, 웰크론한텍이 공급한 양극재 소재 결정화 설비는 리사이클링 단계 중 블랙파우더(2차 전지 스크랩을 파쇄, 선별 채취한 검은색의 분말)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액상으로 추출된 희유금속 용액에서 고순도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양극재 소재를 각각 회수하는 첨단 설비입니다.
  • WELCRON - 웰크론한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4) NPC

  • 기업개요 : NPC와 연결회사는 플라스틱 사출 제조 판매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배적 단일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금형부문도 플라스틱 사출공구에 포함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파렛트, 체어&데스크, 환경제품, 시트류 제품, 컨테이너 등이 있습니다. R/T사업부는 전용컵을 삽입하면 컵의 하부로부터 맥주가 자동으로 채워지는 트렌디 제품인 Reverse tap을 개발 중이며, IOT기술을 접목하여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6% 감소, 영업이익은 23.4% 감소, 당기순이익은 201.8%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 이후 매출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전년동기 수준을 하회하는 매출 기록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영업수익성은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이 사출 성형 플라스틱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경량화와 연료 효율성 향상을 위해 자동차 부품에 플라스틱 사용이 증가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NPC는 플라스틱 물류 기자재 업체로 2021년 현대글로비스와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특허를 공동출원하고 배터리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배터리 재활용 테마에 속해 있습니다. 해당 특허는 기존 배터리보다 3배 이상 운송 효율성이 증가해 업계에서는 NPC가 국내 최초 전기차 폐배터리 전용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엔피씨주식회사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5) DS단석

  • 기업개요 : DS단석은 1984년 8월 설립하여, 순환경제를 체계화하는 친환경 사업을 영위함. 사업 특성에 따라 바이오에너지, 배터리 리사이클, 플라스틱 리사이클로 운영됩니다. 바이오에너지 부문은 바이오연료(바이오 디젤/중유/선박유)를 정유사 및 발전소등에 생산/판매하고, 배터리 리사이클 부문은 전 세계 폐납축전지를 수집하고 재생연을 제조/판매합니다. 플라스틱 리사이클 부문은 납사를 기반으로 석유화학산업의 가공 제품에 들어가는 주요 첨가제를 제조/판매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3% 감소, 영업이익은 76.5% 감소, 당기순이익은 93.4% 감소했습니다. 친환경원료 시장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차량용 바이오디젤 수요 감소 및 바이오디젤 주원료인 팜오일 원가상승이 더해져 사업 위험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2023년 8월부터 1년 2개월간 약 370억 원을 투자해 평택 1 공장 부지내에 HVO PTU(수소화 식물성 오일 전처리 공정) 증축, 12월부터 본격 제품생산 돌입할 예정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DS단석은 현재 주력 분야인 바이오에너지를 중심으로 플라스틱과 배터리 리사이클 분야에도 꾸준히 외형 성장을 하고 있어 배터리 리사이클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DS단석은 군산 1공장 내 리튬이온 배터리 리사이클 공장을 착공했는데, 연간 8,000톤의 폐리튬이온 배터리 처리 능력과 연간 5,000톤의 블랙 매스 추출 능력을 갖췄습니다. 블랙 매스의 경우 블랙 매스 내 리튬을 회수해 고순도 리튬 화합물 제조로 새로운 매출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습식금속추출 공장과 삼원계(NCM) 전구체 리사이클링 공장 건설을 목표로 하며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의 확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티에스단석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총평

 위의 15 종목은 폐배터리 재활용, 배터리 리사이클링 관련 호재가 나왔을 때 가장 활발하게 상승하는 종목들을 정리했고, 그 밖에 같은 배터리 재활용 섹터에 있는 종목들은 아래 같이 정리했으니 투자에 참조부탁드립니다.

  •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성일하이텍, 원익피앤이, 이지트로닉스, 하나기술, 나인테크, 영화테크, 케이피에스, 새빗켐, 현대글로비스, NPC, 에코프로, 웰크론한텍, 인선이엔티, 파워로직스, DS단석, 아이에스동서, POSCO홀딩스, 코스모화학, 현대차, 두산에너빌리티, 신성델타테크, 디에이테크놀로지, 나라엠앤디, 에이프로, 아우딘퓨처스 등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