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안타까운 항공기 사고로 인해 항공기 부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항공기 부품의 종류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항공기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는 어떤 종목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항공기 부품 종류와 구성
1) 항공기산업 Supply Chain
항공산업의 밸류체인은 항공기를 운용하는 정부와 항공사 → 항공기 완제기를 제작하는 기업 → 완제기 업체에 부품 을 납품하는 부품업체 → 완성된 항공기를 정비해주는 항공정비(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업 체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항공기 부품 산업은 항공사를 제외한 완제기 제작사~MRO사까지 포함됩니다.
완제기 제작사의 경우, 글로벌하게 과점적인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정부 지원 없이는 진입하는 거 자체가 매우 힘든 시장입니다. 당연히 그 이유는 항공기는 한 국가의 방위산업과도 연관되기 에 국가 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이자, 매우 높은 수준의 안전성이 보장되야하기 때문입니다.
2) 항공기 부품 종류 및 산업 구성
마찬가지로 항공기 부품 역시 안전성을 보장받기 위해 원청업체 인증, NADCAP인증, FAA인증 등 까다로운 인증 절차들을 거쳐야하며, 위에 보이는 것처럼 다양한 부품들이 존재, 수작업의 비중이 커서 고객사의 생산과정에 대한 인증도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한 기종에 납품이 시작되면 단종될 때까지 납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 대형 민항기가 10~30년의 생산기간을 가진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안정적인 Q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안정적인 생산체계 유지를 위해 원청사에서 CR을 요구하는 경우도 드물다고 합니다. 결국 기술적 장벽+고객사 장벽으로 겹겹히 둘러쌓인 산업이라 볼 수 있습니다.
특히나 이 시장은 듀얼밴더보다는 솔밴더를 선호하는 편인데, 그 이유는 듀얼밴더를 적용하면 생산에 소요되는 치공구 투자비가 과다하게 투여되며(민항항공기 개발비가 평균 5조인데, 이중 15~20%가 치공구 가격), 업체간 부품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완제기 제작사가 2016년부터 외주비중을 늘리고 있는 이유가 원가 절감과 생산효율화임을 감안하면, 솔밴더 체제가 깨질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입니다.
이러한 특성때문에 항공산업에 많이 적용되는 방식이 RSP입니다. RSP는 Risk & Revenue Sharing Program/Partner의 약자로, 국제공동개발사업을 뜻합니다. 이 사업은 항공기 개발 사업에 여러 업체가 대등한 입장으로 참여하여 사업의 리스크와 수입을 참여지분만큼 배분하는 계약방식으로, 대게 완제기 제조사가 외주를 맡길 때 계약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산업에 급격한 쇠퇴가 있지 않는 이상, 진입한 업체들의 위치는 매우 견고하다 고 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 부품 산업은 크게 완제기 제조업체에게 부품을 직접 공급하는 Tier 1에 해당하는 회사와, Tier1회사에 부품을 납품하는 Tier2,3 회사로 구분됩니다. Tier1의 경우 동체 구조물, 연료시스템, 엔진, 날개 등 항공기의 핵심 부품을 생산하고, Tier2,3은 날개 구조물, 도어나 좌석 같은 기체 구조 단품, 연료공급장비, 구동 장치 등 항공기계통 부품을 생산합니다. 당연히 피라미드 위로 갈수록 고부가가지 제품이 됩니다.
아쉽게도 한국은 글로벌 완제기 업체는 존재하지 않으며(애초에 보잉과 에어버스가 독점), 그나마 한국항공우주가 완제기 제작사에 속하기는 하지만 매출구성을 보면 100% 군용기라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 사실상 부품사만 존재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와중에도 완제기 회사랑 직접 거래하는 Tier1에 속하는 회사는 많지 않습니다. 애초에 글로벌하게 Tier1이 많지 않는 것은 감안해야하는 부분입니다.
2. 항공기 부품 정비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5
1) 대한항공
- 기업소개 : 대한항공은 24년 9월 말 기준, 총 136대의 여객기를 보유하고 국내 10개 도시와 해외 33개국 92개 도시에 취항하고 있으며, 화물기는 23대를 운항하고 있습니다. 항공운송사업에 더불어 항공기 설계 및 제작, 민항기 및 군용기 정비, 위성체 등의 연구개발을 수행하며 시너지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무인기 사업을 확대하여 스텔스 무인기 기술시범기 개발을 완료하고, 무인편대기 핵심기술 연구개발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1% 증가, 영업이익은 9.3% 증가, 당기순이익은 2.5% 증가했습니다. 2024년 3분기 중 여객분야에서는 성수기 공급을 적시에 확대하여 매출을 극대화 하였으며, 화물분야에서는 전통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전자상거래, SEA&AIR 물량 등을 최대한 유치하여 견조한 실적을 유지합니다. 동사가 보유한 운송,항공기 개발 및 정비 노하우로 미래 도심항공모빌리티 시장 진출을 준비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Boeing, Airbus 등과 협력해 항공기 구조물 설계, 개발 및 제작에 참여한 이력이 있으며, 보잉787 기종의 날개 및 동체 구조물, 에어버스의 A320 날개 구조물, A350XWB 기종의 화물용 도어 등을 납품하였습니다. 또한 A330NEO 기종의 날개 구조물을 개발하였기에 항공기 부품 관련주로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대한항공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휴니드
- 기업소개 : 휴니드는 전술통신사업 및 전술시스템사업으로 구성된 방산사업과 글로벌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해외 수출 및 절충교역 등 해외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휴니드의 방산사업(내수 매출)은 전술통신용 무전기, 특수장비, 지휘통제체계, 무기체계 등의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구성됩니다. 해외사업(수출 매출)으로는 항공 전기/전자장비, 와이어하네스, 절충교역(Offset) , 해외수출 등이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35.9% 증가, 영업이익은 147.8% 증가, 당기순이익은 123.2% 증가했습니다. 2024년 9월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무기체계 개조개발 지원사업 협약 체결했습니다. 수출용 대용량무선전송체계(HCTRS)시스템 개발에 집중할 전망입니다. 2024년 11월 14일 한화시스템과 400억원 규모의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성과기반군수(PBL)사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향후 항공부문 MRO사업 확대 추진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전기/항공 전자게통 장비를 생산 및 판매하고있으며 2006년 보잉사와 자본투자를 포함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이후, 항공부문을 중심으로 해외협력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있습니다. 또한 2012년 보잉사와 1.25억불 규모의 항공전자장비를 공급하는 협약을 체결한 이력이 있으며, 2014년 에어버스사와 협력을 확대하여 항공기 전기/전자 품목 생산 납품을 위한 유럽 항공회사의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제체를 완비하였기에 항공기 부품 테마주로 포함되었습니다.
- 휴니드 테크놀로지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현대위아
- 기업소개 : 현대위아의 사업은 자동차부품과 기계 사업으로 구분되며, 자동차부품은 엔진, 구동부품, 친환경 부품으로 구성됩니다. 기계사업 부문은 공작기계 사업과 특수 사업으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부품 사업은 엔진, 4WD(PTU, ATC, e-LSD 등), 등속조인트 등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 중입니다. 최근 친환경 차량용 부품인 열관리시스템과 수소차 부품 공기압축기 등의 개발에 나섰습니다. 기계 부문에서는 스마트팩토리, 협동로봇 등으로 점유율 확대 시도중입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1% 감소, 영업이익은 1.4% 감소, 당기순이익은 51.7% 증가했습니다. 차량 판매 부진으로 모듈과 등속조인트 판매가 줄고, 인건비가 추가로 반영되어 영업이익이 감소했습니다. 반면, 주요 부품인 엔진 생산이 국내와 중국에서 늘고, 방위산업 관련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전방산업 환경 개선시 주력인 자동차부품사업부문은 지속적으로 동사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국내 유일의 항공기 착륙장치(랜딩기어) 전문생산 및 항공부품 제작업체로,T-50/A50,KT/KO- 1,KF16,UH-60P,수리온 착륙장치을 생산하고있어 항공기 부품 수혜주로 분류됩니다. 최근에는 착륙장치(린딩기어)에 인휠 모터를 장착해 항공기 추력 없이 원하는 위치까지 eVTOL 기체를 주행할 수 있게 하는 'E-Taxiing'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랜딩기어 뿐만 아니라 비행기 몸체와 날개 부품, 엔진관련 부품까지 각 분야별 최적화된 고객맞춤형 공작기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현대위아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기업소개 : 동사 및 종속회사는 고도의 정밀기계분야의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항공기 및 가스터빈 엔진, 자주포, 장갑차 생산 및 판매를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CCTV, 칩마운터, 우주발사체, 위성시스템 등의 생산 및 판매와 IT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합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방산 매출 비중이 58.3%, 시큐리티는 16.2%, 항공 부문이 1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8% 증가, 영업이익은 162.4% 증가, 당기순이익은 31.1% 감소했습니다. 지상방산 부문에서 26.6%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였습니다. 폴란드향 물량의 인도가 본격화 되었고, 내수 방산의 마진율도 상향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트럼프 당선에 따른 방위비 지출 증가 Cycle 가속화되고 있고, 종전 이후의 재고비축 수요와 함께 중동향 수주도 기대되고 있어 수주 잔고 감소 우려는 제한적일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화그룹 계열의 항공엔진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로 국내 군수 엔진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5년 P&G사와 GTF 엔진의 RSP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16년 9월 엔진용 부품사업 생산 능력 확대 등을 위해 PWMS 지분 30%를 취득하였기에 항공기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한국카본
- 기업개요 : 1984년 9월 17일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를 주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음. 낚시대 재료인 Carbon Sheet를 생산하며 1984년 설립, 출범하였으며, 이후 LNG의 수요 증대와 더불어 LNG 운반선 화물창의 핵심 부품인 INSULATION PANEL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고유 문화인 온돌 문화에 영향을 끼치는 바닥장식재의 필수 재료인 Glass Paper를 생산, 납품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9.5% 증가, 영업이익은 72.8% 증가, 당기순이익은 434.3% 증가했습니다. 전방 산업이 조선업에 선박 수주 잔고가 증가하며 수요가 늘어났습니다. 특히 세계 LNG선 시장의 수요가 증가세. 5월에 CAPA를 증설했고, 점점 늘리고 있는 추세입니다. 공급 역량을 증가하면서 이익률 개선이 예상됩니다. 국내 조선사를 상대로 LNG선박용 단열판넬 영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국카본은 계열사인 한국복합소재(주)(KCI)와 c2i 를 통해 항공기 부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어 항공기 부품, 정비 테마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국복합소재(KCI)는 항공기 부품 제작 및 항공 MRO 기업으로 항공 분야의 특수 인증(AS9100, ISO 9000, Nadcap 등)과 세계 유수 업체(BOEING, AIRBUS, KAI, ASIANA, IAI 등)의 공정 승인을 획득하여 B787, A350, P-8A, G280 등의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c2i s.r.o.는 슬로바키아의 자동차 및 항공기 부품 제작 전문 업체이며, 특히 항공 인테리어 부품의 경우 1차 협력 업체로서 항공기 제조사에 납품할 만큼 뛰어난 품질 경쟁력을 갖췄습니다. 또한 한국카본은 2021년에 계열사 한국복합소재와 함께 이스라엘항공우주산업(IAI)와 걸프스트린 G280 항공기 꼬리날개 구조물 공급계약을 체결한 이력도 있습니다.
- 한국카본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두산에너빌리티
- 기업개요 : 두산에너빌리티는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두산중공업에서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주단조품, 건설(두산에너빌리티 부문), 연료전지 주기기(두산퓨얼셀)등의 사업을 영위 중입니다. 건설기계 및 장비(두산밥캣)은 합병소멸로 연결 제외 예정입니다. 원전의 핵심 설비와 핵연료 취급 설비, 핵연료 운반 용기 및 원자로 계통 보조기기의 대부분을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감소, 영업이익은 33.1% 감소, 당기순이익은 13.4% 증가했습니다. 진행 중인 해외 프로젝트 중 일부 수익성 악화로 비용이 반영됨에 따라 이익은 감소되었습니다. 2025년 신한울 3,4호기 및 터빈 사업 수주 프로젝트 매출 본격화, SMR 관련 수주와 더불어 체코 원전 수주 계약 체결 시 연간 수주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최초 국산 전투기 KF-21에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부품인 공기 순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자재를 공급한 이력이 부각되어 항공기 부품 관련 종목에 속해 있습니다. 또한 최근 주주총회에서 국방과학연구소와 협업한 항공기 터빈 부품 개발과 제조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발표하며 항공기 엔진 신사업 진출을 선언하였습니다.
- 두산에너빌리티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오르비텍
- 기업개요 : 오르비텍은 연구 및 개발을 통한 핵심보유기술을 바탕으로 비파괴기술검사 등을 목적으로 1991년 3월 설립되어 201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원자력 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선관리, 방사성폐기물 규제해제, 방사선 계측사업 및 관련제품 생산/판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ISI 사업본부는 원자력 발전설비 가동전/중 검사 및 비파괴기술검사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3%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27.9% 증가했습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다양한 경영 활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사업 영역 확장을 위한 R&D등을 수행하였고 이와 같은 활동들을 통해 3분기 완벽한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습니다. 최근 방사성폐기물 처리 관련 용역 신규 수주를 하는 등 주사업영역의 안정적인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추가 매출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2013년 항공사업 부문 신규 진출 하였으며 Spirit Aerosystem 과 B737MAX 등의 항공기 부품 공급계약 체결한 이력이 있으며, 항공기 부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에이에스티지를 계열사로 보유하고있어 항공기 부품 테마에 속해 있습니다. 항공기 부품 테마에선 대장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 오르비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한국항공우주
- 기업개요 : 한국항공우주는 항공기 부품, 완제품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99년 10월 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동사와 종속회사는 항공기, 우주선, 위성체, 발사체 및 동 부품에 대한 설계, 제조, 판매, 정비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항공산업은 군용기, 민항기, 헬기 등 항공기를 개발하고 개발된 항공기를 양산하는 항공기 제조산업과 운영되는 항공기의 정비 및 개조를 담당하는 MRO산업으로 구분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9% 증가, 영업이익은 113.1% 증가, 당기순이익은 69.5% 증가했습니다. 3분기 누적 신규수주는 3.1조원으로 연간 수주 가이던스 대비 52% 달성한 상황이며 연말까지 90% 수준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분기 LAH 1차 양산이 본격화되고 2025년 4분기에 2차 양산이 진행될 예정이고 완제기수출에서도 2025년부터 폴란드와 말레이시아향 FA-50 매출반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삼성항공,대우중공업,현대우주항공 항공 3사의 항공사업부문이 합병되어 설립되었으며, 항공 기 및 항공기 부품 제조업체입니다. 국내 유일의 완제기 제조업체이며, Boeing,Airbus 등에 기체구조물 제작 및 납품을 하고있어 항공기 부품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한국항공우주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아스트
- 기업개요 : 아스트는 항공기 부품 제작, 항공기 부분품 조립 및 관련 치공구류의 생산, 판매를 주요 사업 목적으로 2001년 4월에 설립되었습니다. 우수한 연구 및 기술인력을 바탕으로 항공기 기체부품을 기술 개발, 제조하여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종속회사 ㈜에이에스티지는 당사의 수주제품인 항공기용 조립부품 및 치공구를 생산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거래처 확대를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8% 감소, 영업손실은 70.1% 감소, 당기순손실은 70.7% 감소했습니다. 미화(USD) 등 환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환율의 불확실성은 미래의 영업 거래, 자산과 부채에 영향을 받아 매출 감소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및 보잉 운항정지로 인하여 매출액이 감소하였지만, 보잉의 운항 재개와 코로나19 백신의 보급으로 민항기 시장은 빠른 속도로 회복하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아스트는 항공기 골격 및 후방동체에 들어가는 스킨과 프레임 등을 주로 생산하여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어 항공기 부품 테마에 속해 있는 종목입니다. 최근에 아스트는 보잉 737 여객기에 탑재되는 벌크헤드(Bulkhead) 등 을 미국 스피릿에어로시스템즈에 납품하는 1조 2000억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아스트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LIG넥스원
- 기업개요 : LIG넥스원의 모태는 1976년 대한민국 자주국방의 기치 아래 설립된 금성정밀공업으로, 금성정밀공업은 1995년과 2000년에 걸쳐 LG정밀과 LG이노텍으로 상호를 변경했습니다.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등과의 공조를 기반으로 정밀유도무기,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항공전자, 전자전에 이르는 다양한 첨단 무기체계를 연구, 개발 및 양산함. 해외수출을 통해 대한민국 방위산업의 위상을 알리며 평화를 지키는 글로벌 방산업체로 도약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5% 증가, 영업이익은 12.4% 증가, 당기순이익은 19.2% 증가했습니다. 종속회사인 엘아이지정밀기술 주식회사의 주요매출처인 LG넥스원 등의 전시기 등의 주요제품에 대한 매출증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술전략 측면에서 연결회사의 우위 기술/제품 영역에 대해서는 차별성을 강화하고, 주요 부족기술에 대해서는 과감한 투자를 통해 수주 경쟁력을 강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LIG그룹 계열의 종합방산업체로 항공기용 레이더, 한국형헬기 생존장비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공기에 장착되는 각종 전자구성품 및 신호를 수신/교란시키는 전자전 장비를 개발하고 있어 항공기 부품 관련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LIG Nex1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1) 이엠코리아
- 기업개요 : 이엠코리아주식회사는 2003년 3월 20일 공작기계제조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7년 10월 29일 코스닥증권시장에 상장되어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공작기계 완제품 및 부품을 제작하는 공작기계 부문, 방산/항공 부품을 제작하는 방산/항공 부문, 화력/원자력/핵융합 발전설비 등을 제작하는 발전설비 부문이 있습니다. 건설용 터널보링머신(TBM)을 제작하는 TBM 부문이 있으며, 수소에너지/스테이션 제조 및 시공을 영위하는 에너지 부문이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2.4%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전세계의 경제규모의 확대에 따라 동사의 공작기계 매출은 장기적으로 점진적인 확대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방산제품은 개발업체로 선정된 후 매년 국방계획에 의한 소요량을 생산납품하고 있으며, 매년 선정품목수의 증가에 따라 누적적으로 축척되어 방산제품의 매출은 매년 지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이엠코리아는 CNC공작기계 및 방산제품,발전설비 제품,TBM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업체로, T-50 랜딩기어 부품, 민항기 랜딩기어 부품 등을 생산하고있으며 T-50용 Door Actuator 및 랜딩기어, KUH용 랜딩기어, Pilot Seat 등을 국산화하여 개발 및 생산하고있어 항공기 정비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 이엠코리아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2) 하이즈항공
- 기업개요 : 하이즈항공은 항공기 및 항공기 관련 부품의 조립 및 판매를 사업목적으로 2001년 11월 16일에 서울에서 설립되었으며, 2007년 6월 4일에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였습니다. 동사는 각 프로그램 별 1차 공급자(Tier 1), 2차 공급자(Tier 2), 3차 공급자(Tier 3)의 형태로 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대표 고객사로는 보잉, ACM, 중국상용항공기공사 COMAC과 BTC 등이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 증가,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부품 및 조립 사업부의 매출이 모두 전년동기 대비 증가하였으나 부재료, 미착품 등 원가가 상승하며 영업이익이 적자전환되었습니다. 동사의 국내 주요 매출처는 한국항공우주(KAI)로 국내 제품 매출 중 약 76%를 차지하며, 대한항공(KAL)은 약 2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하이즈항공은 항공기 및 항공기 관련 부품 조립 및 판매 업체로 항공기 제조산업 내 부품제작과 MRO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있으며, 주요 제품로 B787 SEC 11, A350 Cargo Door, B767 SEC 48, B737 수평 미익 Spar Chord 등을 납품하고있어 항공기 정비 관련주로 포함되었습니다.
- 하이즈항공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3)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 기업개요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는 2013년 4월 8일에 항공기부품 제조, 판매 및 항공기 설계, 제조업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특수 원소재 공급, 항공기의 생산 및 항공기 부품의 제조, 군용기 개조 창정비 및 여객기-화물기 개조사업을 포함한 항공 MRO, 우주발사체 관련 파트의 생산, UAM의 개발 제조 사업 부문 영역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선정하는 글로벌강소기업 1000+ 지정되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했습니다. MRO 사업부 내 여객기를 화물기로 바꾸는 PTF Conversion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항공시장 위축기에도 외형확장에 성공하였지만 비용 증가로 인한 소폭 매출 감소를 보입니다. 제주도와 UAM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맺어, 국내 최초 항로 실증, 제주도-추자도간 드론 우편 실증을 진행하는 등 빠르게 상업화를 추진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항공기부품 제조, 판매 및 항공기 설계, 제조 업체로 항공기 부품 산업에 특화된 공작기계를 통해 가공하는 부품 가공사업, 가공된 항공기 부품을 Assembly 형태로 조립하는 부품조립 사업 과 항공 MRO사업, 항공 원소재 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공기 부품 관련 가공 및 조립 부문이 매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있으며, 미국 내 매출액 비중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있어 항공기 정비 수혜주로 포함되었습니다.
-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4) 케일럼
- 기업개요 : 케일럼은 지열발전설비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로 2009년 5월 19일 주식회사 엘리스앤왓츠코리아를 설립하였고, 2022년 3월 24일 주식회사 케일럼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지열발전과 관련된 열수기화기, 응축기, 배관 등의 지열발전설비와 화공/LNG플랜트와 관련된 열교환기, 타워 등의 화공/LNG설비를 제조하였습니다. 지열발전의 3가지 방법 중에서 바이너리사이클발전소와 관련된 지열발전설비를 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 증가,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 흑자전환했습니다. 전통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지열발전 부문이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치하였으나 팬데믹 이후 국내 플랜트 영업을 강화하면서 화공/LNG플랜트 부문의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술, 품질 경쟁력 우위를 유지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지열수와 연결되는 Data를 분석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국내 유일 항공기 엔진부품 정밀가공 전문기업인 하나아이티엠을 인수하였기 때문에 항공기 부품 테마주로 편입되었습니다. 하나아이티엠은 프랑스 사프란(SAFRAN),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등 글로벌 항공엔진제조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주력제품은 항공기 엔진 필수 부품인 터빈 베인(Turbine Vanes), 씰(Seals) 등이 있습니다.
- 케일럼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5) 비유테크놀러지
- 기업개요 : 비유테크놀러지는 2008년 11월 20일에 (주)솔트웍스로 설립되었고, 2023년 10월 5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주)에이트원에서 (주)비유테크놀러지로 변경하였습니다.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등의 XR 콘텐츠 및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과 종합군수지원(ILS), 가상훈련시스템, 시뮬레이터 등의 밀리터리(국방) 솔루션 개발, 핀테크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XR기술과 음성인식 AI 기술을 적용한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8.7% 감소, 영업손실은 55.5% 감소, 당기순손실은 75.1% 감소했습니다. 동사의 XR콘텐츠, 솔루션 및 가상 시뮬레이터 사업부문은 1회성 System 구축 사업으로 고객의 요구사항에 따라 개발되고 있습니다. XR콘텐츠는 기술력과 전문인력을 기반으로 고객사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컨소시엄에 참가하여 지속적인 레퍼런스를 확보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비유테크놀러지는 증강현실(AR) 기반 항공 정비 기술 특허를 취득하여 항공기 정비 수리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해당 특허는 비유테크놀러지가 주관한 '증강현실(AR) 방식 5G(5세대 통신) 기반 항공 정비 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출원된 것으로 항공기 정비와 운영에 활용됩니다. 항공사가 이 기술을 채택하면 시간과 공간 제약이 없는 '증강현실(AR) 정비사 훈련 시스템' 도입이 가능해지고, 다수의 정비사가 동시에 협동 유지보수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비유테크놀러지는 감사보고서의 감사거절을 이유로 24년 3월부터 거래중지 중입니다.
- 비유테크놀러지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배터리 리사이클 개화와 국내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TOP15 (1) | 2025.01.15 |
---|---|
[기업분석] 독감 관련주 수혜주 테마주 TOP15 (1) | 2025.01.08 |
[기업분석] 애경그룹 지배구조 정리 및 애경 관련주 정리 (7) | 2025.01.02 |
[기업분석] 겨울 패딩 관련주 수혜주 테마주 TOP10 (5) | 2024.12.27 |
[기업분석] 양자컴퓨터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5 (3)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