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최근 미국에는 에그플레이션(Eggflation)이라는 신조어가 생겼을 만큼 계란 값이 폭등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에 매달 1억 알의 계란을 수출해 달라고 다급히 요청했을 정도죠. 오늘은 에그플레이션의 정의와 미국에서 에그플레이션이 생긴 이유, 그리고 국내 에그플레이션 관련주는 어떤 종목이 있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에그플레이션(Egg flation) 내용 정리
1) 에그플레이션 (Egg Flation) 이란?
원래 식량 가격의 상승이 이슈가 되면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란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는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식량 가격의 상승이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최근에 미국에서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해 계란값이 폭등하자, 계란(Egg)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신조어로 에그플래이션(Egg flation)이란 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13일, 미국 정부가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미국의 계란 가격은 지난 1월보다 10.4%, 지난 해보다 58.5% 더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달걀 12개의 가격이 8달러(한화 약 12,000원)까지 오르기도 했죠. 계란 한 알이 1천 원 꼴에 팔리는 셈입니다.
계란의 물량이 부족한 탓에 미국에서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매일 아침 마트의 문 앞에는 계란을 사려는 사람들이 수십 미터씩 줄 을 서는 오픈런이 펼쳐지고, 집 뒷뜰에서 닭을 키우는 집도 늘어났습니다. 실제로 2018년 집에서 닭을 키우는 미국 가정은 580만 가구였는 데, 지금은 1100만 가구까지 증가했다고 합니다. 멕시코 접경 지역에서는 계란을 불법으로 밀수하는 사례가 158% 늘었고, 도시 곳곳에서 운송 차량에 실린 계란이 도난당하는 사건도 다수 발생하고 있습니다.
2) 미국에 에그플레이션 발생한 이유?
미국에서 왜 갑자기 계란 파동이 일어난 것일까요? 결정적인 이유는 조류인플루엔자(HPAI) 때문입니다. 지난 2022~2023년에 이어진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서 암탉의 대규모 살처분이 이루어진 바 있는데요. 지난해 하반기에 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미국 전역에 확산되며 수천만 마리의 암탉이 폐사하거나 살처분된 겁니다. 지난 2022년부터 지금까지 미국에서 살처분 등으로 처리된 암탉은 약 1억 7 천만 마리에 달한다고 해요. 알을 낳을 수 있는 닭이 없으니 계란의 생산량은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계란값이 폭등할 수밖에 없었죠.
계란이라는 식품의 특성도 가격을 안정화시키기가 어려운 이유입니다. 계란은 생산 기간이 길고, 소비 기한은 짧습니다. 일반적으로 닭은 30일~35일간 사육해 1.5kg까지 키운 뒤 도축해 출하합니다. 사실 우리가 먹는 닭은 태어난 지 한 달밖에 안 된 어린 개체인 것이죠. 하지 만 암탉이 계란을 낳을 만큼 성장하려면 최소 6개월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데다, 생산할 수 있는 개수도 한계가 있습니다. 계란은 쉽게 상해 서 유통기한도 냉장보관 2~4주 이내로 짧은 편이지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계란의 공급은 부족한 와중에 소비는 늘어났습니다. 연말연시가 겹쳤기 때문이에요. 이 시기에 미국에서는 케이크와 빵 등의 소비가 급증합니다. 다가오는 4월에는 계란을 장식하고, 나누어 먹는 부활절이 있을 예정이죠. 게다가 계란은 대체제가 없습니다. 오믈렛, 계란후라이 등 미국인이 매일 즐겨 먹는 계란 요리는 오직 계란으로만 만들 수 있죠. 소비자들의 계란 수요는 끝없이 늘어나는데 생산되는 양은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계란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하는 겁니다.
3) 에그플레이션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계란 파동은 단지 미국만의 문제일까요? 아닙니다. 계란 하나 때문에 세계 경제가 휘청이게 될 지도 몰라요. 지금의 에그플레이션 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3-1) 국내 계란 가격이 상승
미국에 유통되는 계란이 부족해지면서 우리나라의 계란 가격도 오르고 있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특란 30구의 도매가격이 지 난 달보다 11.4% 상승했다고 하죠. 나아가 앞으로도 계란 가격이 계속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왜냐고요? 미국이 우리나라에 계란 수출을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미국 정부는 자국의 계란 가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튀르키예, 인도네시아, 브라질, 덴마크 등 해외 여러 나라에서 계란을 수입하 고 있어요. 관세 폭탄을 예고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계란으로 인해 한발 물러나는 상황이 온 셈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3월 7 일, 충남 아산의 계림농장에서 특란 20톤(약 33만 알)을 수출했습니다. 지난 20일에는 충주의 무지개농장이 20톤을 미국에 보냈죠. 국내에서 생산된 계란이 미국으로 수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 있는 일이에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최근 미국 정부가 올해 연말까지 매달 1억 알 분량의 계란을 수출해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국내 월평균 계란 생산량의 15분의 1에 달하는 엄청난 양이에요. 아직 정확한 수출 물량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국내에 유통되는 계란의 수가 줄어드는 만큼 계란 가격의 상승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3-2) 미국의 물가가 폭등
계란의 값이 오르는 것은 단순히 계란을 안 먹는다고 해결되는 일이 아닙니다. 계란은 물가 상승의 신호탄이 되는 식재료 중 하나이기 때문 이죠. 미국인은 오믈렛, 빵, 계란프라이, 팬케이크 등을 주식으로 먹습니다. 미국인에게 계란은 우리나라의 쌀처럼, 필수 식재료인 셈이죠. 따라서 계란의 가격이 오르면 다른 음식의 가격도 함께 오릅니다. 외식 물가도 상승하죠. 지금처럼 경기가 부진한 가운데 물가가 급등하면 미국 경제가 스테그플레이션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또 매일 소비하는 식재료의 가격이 폭등하면 사람들은 가계 경제에 위협을 느끼고 소비를 줄입니다. 이는 내수경기 침체로까지 이어질 수 있죠.
2. 국내 계란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1) 케이씨피드
- 기업소개 : 케이씨피드는 1970년 경북축산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95년 주식회사 경축, 2007년 주식회사 케이씨피드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배합사료 제조업을 주사업으로 하며, 2017년 케이씨프레쉬를 흡수합병하여 배합사료 생산·공급, 계란 구입, 액란 제조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품질혁신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시장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을 통해 고객 수익증대에 주력하며 초일류 기업으로의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2% 증가, 영업이익은 33.9% 증가, 당기순이익은 3.1% 증가했습니다. 사료사업은 품질혁신과 차별화 서비스로 경쟁력 강화하고, 식품사업은 액란 제품의 안전성 확보와 살균공정 차별화로 시장 지위가 확대됩니다. 계란 소비량 증가 추세와 저렴한 단백질 공급원 수요 확대로 제과/제빵, 식자재 B2B 및 안전 식재료 B2C 채널 수요 증가가 전망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케이씨피드는 배합사료 제조와 함께 계란 가공 및 멸균 액란(액체 계란) 제조·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거래 농가로부터 계란을 구입하여 전란액, 난황액, 난백액 형태로 액란을 가공해 판매하며, 제과·제빵업체 등에 대량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내 액상 계란 업계 최초로 주한미군 납품 자격을 취득하고 공급 중이기도 합니다. 이번 미국으로 계란 수출 소식에 가장 가파르게 상승하며 국내 계란 대장주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케이씨피드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미래생명자원
- 기업소개 : 미래생명자원은 1998년 2월 미래자원엠엘로 설립되어 2015년 하나머스트5호기업인수목적과의 합병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사료부문에서는 특수가공원료, 기능성 원료, 기능성 첨가제, 프리믹스 첨가제 등을 생산하며, 식품부문에서는 계란 유통과 기능성 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해외 공급사와의 협업 강화를 통한 신제품 론칭과 고객사 방문 세미나를 통해 신규 매출처 발굴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1% 증가, 영업이익은 820%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국제 원료가격의 하반기 소폭 감소에도 환율상승으로 효과가 제한적이었으나, 원가절감 및 사료 효율 첨가제 수요는 지속으로 증가했습니다. 일본, 베트남 등 수출 추진과 해외 사양시험 품질 인증을 진행 중이며, 인도네시아, 대만, 태국 등과 ODM 생산 협의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미래생명자원은 사료부문과 식품 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식품 부문에서 '오렌지 에그', '휴란' 등의 계란 제품을 유통하고 있어 국내 계란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 미래생명자원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팜스토리

- 기업소개 : 팜스토리는 1991년 서일산업으로 설립되어 1996년 코스닥 상장 후 2012년 (주)팜스토리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사료사업부(FB), 육가공사업부(LB), 가금사업부(PB)를 통해 축산용 배합사료 제조·판매, 축산물 유통을 주력으로 사료제조, 양돈사육, 도축가공, 닭고기 가공식품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축산업 전반의 수직계열화를 통해 사료, 농가의 생축을 기반으로 도축, 가공, 판매까지 경쟁력 있는 결과물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1% 감소, 영업이익은 55.4% 증가, 당기순이익은 61.2% 감소했습니다. 사료산업의 성장 둔화와 시장 환경 악화에도 적합설계 및 사료효율 개선을 통해 효율성과 경제성을 달성하며 영업이익의 증가를 이뤘습니다. 국민소득 증대와 식생활 수준 향상으로 육류소비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배합사료산업은 국가식량산업으로서 앞으로도 육류소비의 꾸준한 증가가 예상되어 완만한 성장이 전망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팜스토리는 양돈 및 양계 배합사료를 생산하고 있어 계란 수요가 급증할 경우 양계 사료에 대한 수요도 같이 상승할 것이란 전망으로 인해 국내 계란 관련주에 속합니다. 그리고 닭고기 브랜드 '마니커'로 알려진 마니커에프앤지를 자회사로 두고 있어 여러모로 닭과 관련이 많은 회사입니다.
- 팜스토리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한탑

- 기업소개 : 한탑은 1959년 설립되어 소맥분과 배합사료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며, 부산 본사와 제분공장, 양산 사료공장을 보유함. 제분사업과 사료사업이 주력이며, 제분산업은 원재료를 전량 북미, 호주 등에서 수입하나 기초생필품 특성상 국내 수급 가격 탄력성이 낮아 안정적입니다. 제과·제빵 제조 및 판매업, 식자재 도소매업, 농수산물 가공·판매업 등을 신규사업으로 추진 중입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 감소, 영업이익은 311% 증가, 당기순손실은 47.9% 감소했습니다. 제분업은 생활필수품 특성상 가격탄력성이 낮아 시장환경 영향이 크지 않으나, 사료사업 부문의 수익성 악화로 생산 중단하여 수익성과 재무구조가 개선되었습니다. 양곡 소비량은 감소하나 고급 식재료 선호와 식생활 서구화, 웰빙 수요가 제분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전망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탑은 사료사업부에서 산란계, 육계, 오리, 메추리 등의 양계 사료를 생산중이고 GP센터로 계란을 유통하고 있어 국내 계란 수혜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한탑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한일사료
- 기업개요 : 한일사료는 1968년 배합사료 생산, 공급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1994년 코스닥 상장되었습니다. 배합사료 제조와 수입육 유통 판매를 주력으로 하며, 국내 1개의 배합사료 공장 운영과 미국, 유럽 등에서 수입육을 들여와 판매하고 있습니다. 'FROM FEED TO FOOD' 전략으로 축적된 제조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여 신뢰받는 종합축산 전문회사로 발돋움 중입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8.6% 증가, 영업이익은 109% 증가, 당기순이익은 96.8% 감소했습니다. 정육유통부문은 수입검역물량 감소와 공급 불안정으로 가격이 회복세를 보이며, 사료부문은 서울우유협동조합과의 안정적 거래로 공급물량이 증가 추세입니다. 2025년까지 미국산 우육 수입검역물량 감소와 호주산 우육 원가 강보합세로 시장 가격 강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한일사료는 산란계, 육계, 종계 용 양계사료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어 에그플레이션 테마주에 속할 수 있습니다.
- 한일사료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고려산업
- 기업개요 : 고려산업은 1957년 고려건설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76년 신한제분 배합사료 공장 인수로 사료사업에 진출했으며, 1991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가축용 배합사료 제조·판매를 주력으로 하며, 대구와 창녕에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식육사업과 임대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첨단 컴퓨터식 전자동 공정제어 시스템으로 제품 표준화와 균일화를 달성하고, 실험설비를 통한 품질관리와 신제품 개발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6% 감소, 영업이익은 78.6% 증가, 당기순이익은 18.7% 증가했습니다. 양계부문과 낙농부문의 생산 증가에도 불구하고 비육부문 감소와 양돈부문 정체로 전체 배합사료 생산은 소폭 증가에 그쳤습니다.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식습관 변화로 육류 소비가 증가하며 배합사료 수요도 지속 성장이 예상되나, 경기 하강 시에는 가계소비 위축으로 매출 축소가 우려됩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고려산업은 산란계용 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산란계 사료 급여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어 에그플레이션 관련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고려산업 해피드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대주산업
- 기업개요 : 대주산업은 1962년 배합사료 제조·판매 목적으로 설립되어 1992년 코스닥 시장에 등록하였으며, 인천과 장항의 HACCP 인증 생산시설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인천공장은 양축사료를, 장항공장은 펫푸드를 제조하며, 종속회사 남전물산을 통해 동물용 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고품질 유지와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설비투자를 지속하며, 이커머스, 대형마트, 대리점, 특판점, 소매점, 동물병원 등 다각화된 유통망을 구축하였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 증가, 영업이익은 30.5% 증가, 당기순이익은 18.1% 감소했습니다. 배합사료 생산량은 2,156만 톤으로 전기비 0.3% 증가했으나, 수입산 축산물 유입과 원재료 수입 의존도로 수익성 변동이 심화되었습니다. 펫푸드 시장은 1인 가구 증가와 고령화로 인한 반려동물 양육 증가로 성장하여, 2023년 1.8조 원에서 2028년 2.5조 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대주산업은 산란계, 육계, 종계용 양계사료 산업을 영위하고 있어 에그플레이션 수혜주, 미국 계란 수출 관련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대주산업주식회사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애드바이오텍
- 기업개요 : 애드바이오텍은 2000년 설립된 백신과 항생제 대체 가능한 축산, 수산, 인체용 제품을 개발하는 친환경 바이오기업입니다. IgY 면역난황항체, VHH 나노바디항체, 미생물제(BA01), scFv 항체 등 다양한 면역항체 및 특이항체 기술 플랫폼 보유로 질병 예방·치료제를 개발 중입니다. 고역가 IgY 항체 생산기술과 VHH 기술로 양돈, 축우, 양계, 새우, 꿀벌, 반려동물 등 축수산 질병 치료용 항체개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3% 증가, 영업손실은 13.5% 감소, 당기순손실은 177.8% 증가했습니다. 국내 가축 전염병 유행과 유형 다각화로 백신·항생제 대체재 수요가 증가하여 축산제품 개선과 신제품 개발을 추진 중입니다. 글로벌 시장은 반려동물 시장과 면역항체 제품 수요가 상승하며, 중국·동남아 진출로 축우용·양돈용 면역항체 제품 판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애드바이오텍의 핵심기술은 계란 난황을 이용한 lgy(면역글로불린) 생산 기술로, 이를 바탕으로 백신과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있어 계란 테마주로 분류됩니다. 계란 수출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이번 미국의 계란부족 사태가 조류 인플루엔자에 의한 것인만큼 향후 애드바이오텍이 생산하는 면역항체 제품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간접적인 미국 계란 수출 수혜주라 볼 수 있습니다.
- 애드바이오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신송홀딩스
- 기업개요 : 신송홀딩스는 1970년 순영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10년 신송홀딩스로 상호 변경 후 2013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자회사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투자사업부문, 식품 제조·판매의 식품사업부문, 해외사업부문, 투자부동산부문, 소재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과 경영안정성을 높이고 각 사업부문의 전문화로 핵심사업 집중투자와 독립경영 및 객관적 성과평가가 가능한 책임경영체제가 확립되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9% 감소, 영업이익은 0.3% 증가, 당기순이익은 38.1% 감소했습니다. 해외사업부문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원자재가와 환율 변동 영향을 받고 있으나, 해외 주요 농업국과의 안정적 공급처 확보로 사업 유지 중입니다. 한류 열풍으로 미국, 동남아, 러시아, 유럽 중심 시장개척과 장류 기술 기반 신상품 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신송홀딩스는 100% 자회사인 신송산업을 통해 곡물을 구매해 전세계에 판매 및 유통을 하고 있는 회사로 곡물과 배합사료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넓게 보면 같은 계란 테마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흔히 비료->곡물->배합사료 순으로 가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국의 계란 수요 증가 -> 국내 양계 수요 증가 -> 배합사료 및 곡물 수요 증가라는 논리구조로 이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다른 블로그에는 신송홀딩스의 자회사가 비료 사업을 영위한다고 되어 있는데 비료가 아닌 곡물사업을 영위하는 것이 와전된 잘못된 정보인 것으로 보입니다.
- 신송홀딩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동우팜투테이블
- 기업개요 : 동우팜투테이블은 1993년 설립되어 2006년 코스닥 상장된 양계, 축산물 제조 가공 및 판매 기업입니다. 가축계열화 업체로서 양계, 종란, 부화, 사육, 가공, 판매의 전 과정을 총괄하며, Farm to Plate System과 One day System, Cold Chain System을 도입하였습니다. 계열주체인 동사는 사육농가와 위탁사육 계약을 체결해 병아리, 사료 등을 지원하고 위탁사육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안정적 원재료 조달 체계 구축하였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결산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2%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프랜차이즈와 패스트푸드 중심의 통닭육 유통에서 대형마트와 단체급식소 증가로 부분육, 절단육, 정육 형태의 제품 선호도가 증가하며 시장 구조가 변화하였습니다. 국민소득 증가와 식생활 서구화로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며,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서 웰빙 트렌드와 함께 성장할 전망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동우팜투테이블은 닭고기 생산에 필요한 사료, 종계, 부화, 사육, 도계, 가공, 유통 등 전 과정을 하나의 체계화된 시스템(육계계열화사업)으로 직접 관장하고 있어 닭고기 관련주, 계란 테마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 미국 계란 수출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가금류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이라 계란 테마가 상승할 때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동우팜투테이블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
'이슈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관련주] SKT 유심해킹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총정리 (유심 관련주, 보안 관련주 등) (2) | 2025.04.28 |
---|---|
[이슈 관련주] 폭삭속았수다 관련주, 테마주 총정리 (4) | 2025.04.27 |
[이슈 관련주] 행정수도 이전 세종시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TOP12 (4) | 2025.04.20 |
[이슈 관련주] 은마아파트 재건축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0 (1) | 2025.04.18 |
[이슈 관련주] 미국의 약값 인하 국내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0 (1)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