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PO

[IPO] 25년 5월 1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 (5.6~5.9)

by 머니투어 2025. 4. 25.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오늘은 25년 5월 1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공모주 청약 일정 요약

종목명 수요예측일 청약일 환불일 상장일 희망공모가 주관사
디엔솔루션즈 2025.4.22 ~ 4.28 2025.5.07 ~ 5.08 2025.5.12 2025.5.16 65,000 원
~ 89,700 원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유비에스증권
한국투자증권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
이뮨온시아 2025.4.22 ~ 4.28 2025.5.07 ~ 5.08 2025.5.12 2025.5.19 3,000 원
~ 3,600 원
한국투자증권
바이오비쥬 2025.4.23 ~ 4.29 2025.5.08 ~ 5.09 2025.5.13 2025.5.20 8,000 원
~ 9,100 원
대신증권

 

2. 상장기업 소개 및 청약 상세

1) 디엔솔루션즈 (구. 두산공작기계)

- 기본정보

법인명 디엔솔루션즈
설립 2016년 3월 11일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162번길 40 (남산동, 두산공작기계(주))
대표 김재섭
업종 특수 목적용 기계 제조업
매출액 (24년) 2,112,009 (백만원)
영업이익 (24년) 410,475 (백만원)
직원수 1,468 명 (25년 2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디엔솔루션즈는 초정밀 공작기계 산업, Mother Machine 기계를 만드는 기계 제조 분야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점유율 73.2%), 세계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음.
  • 66개국 145개의 딜러 네트워크를 통한 영업망이 구축되어 있으며, 경상남도 창원에 2개의 생산 공장과 중국 연태에 1개의 생산공장을 보유함. 금속 절삭 기계 및 공장 자동화 솔루션 장비를 통한 내수, 수출이 주요 사업 부문임.
  • 현재 450여 종의 공작기계 라인업과 30여 종의 자동화 장치 및 관련 소프트웨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가공 공정의 전반적인 자동화를 실현하고 고객 맞춤형 스마트 제조 환경을 제공하는 자동화 플랫폼 기업으로의 성장을 목표로 함.
  • 디엔솔루션즈의 2022년 매출은 2.17조, 2023년 매출 2.1조, 2024년 매출 2.11조로 전년대비 0.5% 신장으로 매출 성장성 부문은 다소 정체 중. 영업이익은 2022년 3,617억, 2023년 4,362억, 2024년 4,104억으로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5.9% 감소함.
  • 디엔솔루션즈가 영위하는 글로벌 공장기계 시장은 2024년 약 774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며 그 중 금속 절삭 기계가 약 434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56%를 차지하고 있음. 연평균 4.3% 성장하여 2028년에는 약 916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됨. 특히 금속 절삭기계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7.4%로 전체 공작기계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됨.
  • 이번 공모는 기존 투자자들의 엑시트를 위한 구주매출이 상당하며, 신주 모집보다 많음.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공모가 밴드 하단기준 총 공모 4,887억 원으로 전부 시설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임.

- 공모주식수 및 배정

 

2) 이뮨온시아

- 기본정보

법인명 이뮨온시아
설립 2016년 9월 1일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탑실로35번길 25 (공세동, 유한양행연구소)
대표 김흥태
업종 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
매출액 (24년) 654 (백만원)
영업이익 (24년) -12,598 (백만원)
직원수 25 명 (25년 3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이뮨온시아는 미국의 항체 신약 개발 전문 회사인 소렌토와 국내 제약회사인 유한양행이 합작 설립한 연구개발 전문 회사로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면역 항암제를 개발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바이오 신약 스타트업 회사임.
  • 국내에 잘 알려진 제약회사인 유한양행이 최대주주로 되어 있고, T세포 및 대식세포를 타겟하는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임상단계 파이프라인 2개, 비임상 단계 파이프라인 2개 및 다수의 후보물질을 보유하고 있음.
  • 주요 사업 모델은 면역항암제의 기술이전을 통한 수익 창출이며, IMC-002는 중국 3D메디슨에 약 5,400억 규모로 기술이전 계약을 지난 2021년에 체결했으며, IMC-001은 임상 진행을 통한 순차적인 기술이전 프로젝트 및 임상 시약 매출 등으로 2028년에는 998억의 매출과 당기순이익 211억을 예상함.
  • 이뮨온시아는 면역항암체 외에도 적응증 시장, 이중항체 시장을 타깃으로 제품 개발을 하면서 임상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있음.
  • 이뮨온시아는 23년 88억 원의 당기순이익, 2024년 -5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함. 추정손익계산서에 의하면 2026년에는 흑자, 2027년에는 적자, 2028년에 이르러 516억 원의 의미있는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추정매출은 기술이전이 완료된 IMC-002 마일스톤, 이후 기술 이전 추진에 따른 계약금 및 마일스톤 예상액.
  • 전체 항암제 시장은 2017년 기준으로 약 125조 원 규모이며, 연평균 12% 수준의 성장률로 2024년 약 28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이 가운데 이뮨온시아의 사업 부문인 면역항암제 시장은 2023년 약 48조 규모의 시장에서 2033년 약 382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 입성을 노리고 있음. 공모로 유입된 자금은 (공모가 밴드 하단 기준) 총 공모 261억원으로 임상개발운영(65억 원), 임상시약제조 (136억 원), 연구개발 (60억 원) 등으로 사용될 예정.

- 공모주식수 및 배정

 

3) 바이오비쥬

- 기본정보

법인명 바이오비쥬
설립 2018년 7월 12일
소재지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 947 에이동 1516호
대표 양준호
업종 의료기기 및 화장품 제조
매출액 (24년) 29,633 (백만원)
영업이익 (24년) 9,226 (백만원)
직원수 46 명 (24년 12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바이오비쥬는 스킨부스터, 히알루론산 필러 같은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모회사이자 최대주주인 청담글로벌이 설립함. 청담글로벌은 글로벌 화장품 유통사로 코스닥 상장사임.
  • 피부 보습과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스킨부스터 제품과 탈모개선에도 도움을 주는 제품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개발, 생산하고 있음. 그 외  흉터 세포 손상에 의한 조직 수복용 필러 제품과 마스크팩 등의 코스메틱 제품도 보유하고 있음.
  • 매출 구성을 보면 제품 군으로서 스킨부스터 29%, 필러 23% 순이고, 자사제품은 주로 스킨부스터임.
  • 스킨부스터와 필러의 원료인 히알루론산이 주요 제품이고 2024년 기준 수출 비중이 전체 매출에서 77.5%로 높음.  중국, 동남아, 유럽, 중동, 남미 등 21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음.
  • 바이오비쥬의 2022년 매출은 210억, 2023년 매출 171억, 2024년 매출 296억으로 성장을 하고 있음. 중국 경기 침체로 인한 수출 감소 영향이 있었으나 24년부터 회복하여 성장세를 이어감. 영업이익은 2022년 36.4억 2023년 51.5억, 2024년 92.2억으로 영업이익율이 30% 수준까지 높아짐. 매출과 영업이익이 우상향하며 재무 안정성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음.
  •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은 보톡스, 필러, 레이저 등 최소 침습/비침습 활용 시술의 수요가 증가하며 2023년 기준 154억 달러에서 2035년 591억 달러까지 연 평균 11.9% 성장을 전망함. 더말 필러 시장은 2023년 기준 약 64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8.5% 수준으로 성장하여 2032년에는 약 133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대부분을 히알루론산 필러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공모가 밴드 하단기준 총 238억 원으로, 시설자금(200억 원), 연구개발자금 (38억 원) 등으로 사용할 예정.

- 공모주식수 및 배정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