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미국의 트럼프 정부가 재집권함에 따라 중국에 대한 견제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이에 중국이 다시 희토류 수출금지를 내세워 미국에 대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동의 석유, 러시아의 천연가스, 중국의 희토류라는 말이 있을 만큼 강력한 자원무기화 카드 중 하나입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규제 카드를 사용하거나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분쟁이 격화될때마다 희토류 관련주들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희토류에 대한 내용 정리와 희토류 관련주, 테마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희토류 내용 정리
1) 희토류 란?
한자로는 稀土類元素(희토류원소), 영어로는 Rare-earth element 로 표기됩니다.
희토류(稀土類)는 현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원자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희토류라는 용어는 희귀한 흙을 의미하며, 이는 원소번호 57부터 71번까지 의 란타넘 계 원소 15개와 21번 스칸듐, 39번 이트륨을 포함하는 총 17개의 원소를 지칭합니다. 이러한 원소들은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높은 열전도성과 전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희토류의 특성 중 하나는 전기적, 자성적 및 발광적 성질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첨단 기술 및 산업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희토류의 활용
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 21세기 저탄소 녹색성장에 필수적인 영구자석 제작에 꼭 필요한 물질이며 LCD, LED, 스마트폰 등의 IT산업과 카메라,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 CRT, 형광램프 등의 형광체 및 광섬유 등에 필수적이고 방사성 차폐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원자로 제어제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3) 주요 희토류 특성 및 사용처
원소 | 원소 기호 | 주요 특성 | 사용처 |
란타넘 | La | 전기적 전도성 | 전자 기기 |
세륨 | Ce | 촉매 작용 | 자동차 촉매 |
네오디뮴 | Nd | 강력한 자성 | 영구자석 |
프라세오디뮴 | Pr | 밝은 발광성 | 조명 기기 |
유로퓸 | Eu | 발광 성질 | TV 화면 |
4) 전세계 희토류 매장량
전 세계의 희토류 매장량을 살펴보면, 현재 중국이 단연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중국은 약 4,400만 톤의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고, 이는 전체 세계의 약 37%를 차지합니다. 뒤를 이어 베트남, 브라질, 러시아, 인도 등이 희토류 매장량에서 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표는 각국의 희토류 매장량을 나타냅니다.
국가 | 매장량 (톤) | 비율 (%) |
중국 | 44,000,000 | 37% |
베트남 | 22,000,000 | 19% |
브라질 | 21,000,000 | 18% |
러시아 | 12,000,000 | 10% |
인도 | 6,900,000 | 6% |
미국 | 1,400,000 | 1% |
5) 전세계 희토류 생산량
희토류 생산량에서도 중국은 여전히 1위입니다. 2019년 기준, 세계적으로 약 12만 톤의 희토류가 생산되었으며, 그 중 7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중국입니다. 호주와 미국은 각각 2만 톤, 1만 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미얀마는 약 5천 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표는 국가별 희토류 생산량을 정리한 것입니다.
국가 | 생산량 (톤) | 비율 (%) |
중국 | 120,000 | 70% |
호주 | 20,000 | 12% |
미국 | 10,000 | 6% |
미얀마 | 5,000 | 3% |
기타 | 20,000 | 9% |
2. 희귀금속 희토류 관련주 테마주 대장주 수혜주 TOP12
1) 유니온머티리얼
- 기업소개 : 유니온머티리얼은 페라이트 마그네트 및 파인 세라믹스 제품의 제조ㆍ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0년 6월 30일에 설립되었습니다. 파인세라믹 중 자기적 기능을 이용한 페라이트 마그네트, 절삭공구, 내열성을 이용한 전자레인지용 Magnetron Stem, 수도밸브용 Disc 등 부품소재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페라이트 부문의 주요매출처는 Bosch, Brose, Valeo 등 세계유수의 전장업체들과 삼성, 엘지전자 등 가전업체로 구성됩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9% 감소, 영업손실은 224.3% 증가, 당기순손실은 146.3% 증가했습니다. 세라믹 사업 부문의 경우, 대부분의 원재료가 수입이며 환율의 변동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절삭공구의 경우 가격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고부가가치 시장이기 때문에 동사의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신흥시장 개척, 기존 초경공구시장의 침투 등 전방위 마케팅 전략을 통해 매출영역을 확대해 나가고자 판관비용이 증가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유니온머티리얼은 희토류의 대체 소재로 주목받는 '페라이트 마그네트'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페트라이트 마그네트'는 철강 공정에서 나오는 불순물인 산화철을 활용하여 마그네트(자석)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희토류를 사용한 자석과는 다르게 저렴한 가격에 대량 생산이 가능하지만 자석 자체의 성능에서는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성능 문제로 희토류 마그네트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희토류 마그네트 중에서도 자석 강도가 낮은 등급의 마그네트는 대체 가능하기 때문에 희토류 대장주로 분류됩니다. 유니온머티리얼이 상승할때 모회사인 유니온도 동반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유니온머티리얼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2) 동국알앤에스
- 기업소개 : 동국알앤에스는 2004년 동국산업로부터 인적분할하여 설립됨. 제강용 내화물과 철강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내화물 사업은 정형·부정형 등의 내화물 제품과 세라믹 제품을 생산하고, 철강 사업은 단관·각관 파이프 등의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외 철강업체 등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내화물 사업과 철강 사업과 더불어 기업과 공공 및 금융기관에 통합 IT 솔루션 구축, 운영/유지보수 등을 제공하는 IT사업 또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4% 증가, 영업이익은 60.3% 감소, 당기순이익은 10.9% 감소했습니다. 전반적인 사업부의 매출은 견고하거나 소폭 증가 및 감소를 이루었으나, 매출의 90%를 차지하는 내화물 사업부와 연관된 원가 비용이 증가 하였습니다. 이에 영업이익이 큰폭으로 감소함 국내외 철강 시장의 경쟁 심화 예측 속에서 신규 사업인 IT 부문의 매출이 발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외형은 확대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호주 ASM(Australian Strategis Materials Ltd)사가 21년 충청북도에 희토류 생산 시설을 세우고 국내 기업에 희토류와 희소금속을 공급하기로 했는데, 동국알앤에스는 ASM사와 '저탄소·고순도 금속정제공장' 공동개발협약을 체결하여 희토류 테마주에 속해있습니다. 해당 공장에서는 ASM의 희토류 및 기타 금속을 공급 원료로 사용해 첨단 기술을 위한 특수 금속과 산화물을 생산하게 됩니다.
- 동국R&S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티플랙스
- 기업소개 : 티플랙스는 1991년 설립된 스테인리스 소재 가공 및 제조 기업입니다. 스테인리스 봉강(환봉) 절삭가공업체로 경쟁력을 갖춘 회사는 동사와 명진금속, 동아특강 등 소수업체들로 동사는 스테인리스 봉강(환봉)부분에서 최고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약 1,900여개의 국내 매출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적극적인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수출비중을 확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재무상태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18.9%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이 흑자 전환했습니다. 스테인리스의 원재료 가격이 상승에 따라 원가비중이 높아 영업손실이 이어졌으나, 원재료 가격의 정상화에 따라 매출감소에도 불구하고 흑자전환 신소재분야의 수요 증가와 신성장 산업의 정부지원 등으로 희소금속 분야의 수요 증가가 예상되며 이를 위해 신소재 개발과 최신설비 도입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티플랙스는 티타늄, 니켈, 텅스텐, 몰리브덴 등 희귀금속 소재를 유통하고 있어 희토류 수혜주로 분류됩니다. 여기엔 희토류를 포함해 전자제품의 필수 재료인 콜탄, 전지 원료인 리튬 등의 금속들이 있습니다.
- 티플랙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4) 쎄노텍
- 기업개요 : 쎄노텍은 국내 최초로 세라믹 비드 양산화에 성공하여 특화된 비드를 전문 생산하고 있습니다. 제품군은 전기전자용 세라믹 비드, 광산 및 제지/잉크/페인트용 세라믹 비드,플럭스, 세라믹 분체, 촉매용 담체 및 기타 신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022년부터 촉매코팅용 세라믹 담체 사업부를 신설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해오던 화학 공정의 촉매 제조용 세라믹 담체를 양산화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6.4% 감소, 영업이익 흑자전환, 당기순손실은 38.4% 감소했습니다. 세라믹 비드(광산 등) 사업 부문이 22.5% 증가하면서 전체 외형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그 외에 모든 사업 부문에서 매출 감소가 나타나 전체 외형 성장에 악영향을 줬습니다. 매출액 감소에도 매출원가가 10.7% 감소하면서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되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쎄노텍은 이차전지 나노화에 꼭 필요한 국내 유일 희토류 분쇄기 세라믹비드 생산 기업입니다. 세라믹비드는 원료물질을 나노 단위로 분쇄하거나 분산시킬 때 사용하는 소재로 금, 백금, 은 등 광물뿐만 아니라 희토류 정제 과정에서도 필수적인 소재로 활용됩니다. 일본이 세계 시장에 독점 공급하고 있었으나 2019년에 쎄노텍이 국산화에 성공하며 희토류 관련주로 편입되었습니다.
- 쎄노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5) 노바텍
- 기업개요 : 노바텍은 현재 희토류 금속계 자석 중 네오디움 자석을 이용한 시장에 주력하고 있으며, 고품질의 사양이 요구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합한 설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네오디움 자석은 작은 크기의 자석으로 강한 부착력을 얻을 수 있고, 희토류 자석 중에서 가공성이 뛰어남을 활용하여 태블릿 또는 노트북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2024년 06월 라오스법인 NOVATECH LAOS Co., Ltd. 설립하였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3% 감소, 영업이익은 52.6% 감소, 당기순이익은 46% 감소했습니다. 동사의 판매경로는 국내법인과 해외법인에서 직접매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당기 판매비중은 해외(96%), 국내(4%)로 매출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되는 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판매전략은 기존 제품의 원가절감 및 개선점을 통해 고객사가 원하는 제품을 공급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노바텍은 희토류 네오디움(Nd-Fe-B) 자석을 활용한 응용자석 제품을 개발·판매하는 기업입니다. 중국 업체와 희토류 소결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최근 라오스, 베트남 기업과 협력을 통한 희토류 광산 개발 MOU를 체결하며 안정적인 희토류 공급망을 갖췄기 때문에 희토류 테마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가 본격화될 경우, 완제품인 노바텍의 네오디뮴 영구자석 생산 주문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수혜를 입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노바텍은 최근 중국 닝보에 지상 5층, 1654평 규모의 신공장을 완공했는데, 이 공장의 완성으로 노바텍의 생산능력은 기존 대비 4배 이상 확장되었습니다.
- 노바텍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6) 혜인
- 기업개요 : 혜인은 1960년 혜인상사로 설립되었으며, 취급품목은 건설기계, 육상용 발전기, 선박용 엔진/발전기, 물류장비 및 관련한 부품공급과 정비입니다. 주요 수요처는 건설회사, 건설기계임대사업자, 선박건조업체 등입니다. 캐터필라 등 건설·동력장비를 공급하며, 첨단 정비공장과 친환경 제품·렌탈·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8년 미래에너지개발을 청산했으며, 2019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기업을 영위하는 혜인산업을 흡수합병하였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별도기준 매출액은 22.6% 감소, 영업이익은 12.3% 감소, 당기순이익은 9.8% 감소했습니다. 높은 금리, 외환시장 불안정 등 불황이 예상되어 CAT 엔진 장비의 매출이 크게 감소하여 매출액에 영향을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스빈다. 동사는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이 커서 사업의 수익성의 영향을 많이 끼쳤습니다. 환율변동에 의한 리스크를 최소화함으로 위험을 줄였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혜인의 자회사이자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합작 회사인 혜인자원이 희토금속 중 하나인 몰리브덴(MoS₂) 채굴작업에 참여한 이력이 있어 희귀금속 테마주로 분류되는 종목입니다. 2011년 경북 울진에 위치한 몰리브덴 광산의 첫 발파작업에 성공했고, 연간 264톤의 몰리브덴 생산이 예상되었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유통 이력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 혜인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7) 대원화성
- 기업개요 : 대원화성은 1974년 05월 23일에 설립되었으며, 1997년 10월 23일에 상장되어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인조피혁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합성피혁으로 신발용, 볼 용 및 차량내장재용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에서는 벽지 및 제조 판매을 하고 있으며 지배회사와 일부 종속회사에서는 폴리우레탄 합성피혁을 가공한는 과정에서 나오는 DMF유기 화학 용제를 정제 가공 및 판매하는 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242.9% 증가했습니다. 합성피혁의 경우 한국 기준으로 매출액의 약 66% 이상을 수출하고 있고, 이에 판관비가 증가하며 영업이익 적자전환되었습니다. 국내 주력 ITEM인 자동차 내장재 매출 및 IT, LCD용 등 신규 부문 제품의 안정적 매출 시현과 해외투자법인의 주력사업 ITEM인 대원비나 신발용 제품 매출 성장 요인으로 매출 성장을 달성하였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대원화성은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BC)주의 몰리브덴 광개발권 지분을 확보한 이력으로 인해 희귀금속 관련주로 속해 있는 종목입니다. 대원화성은 2007년 6월 18억원을 투자해 캐나다 몰리브덴 광개발권 지분 21%를 확보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사업보고서에서는 2009년 4월 현지 합작법인 설립 후 현재 탐사 및 개발자금 조달을 위한 파이낸싱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밝힌 바 있습니다.
- 대원화성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8) 성안머티리얼스
- 기업개요 : 성안머티리얼스가 영위하는 주요 사업은 섬유제품의 제조 가공 및 판매업, 수출입업, 부동산 임대업 등입니다. 폴리에스터 F 직물제조 사업부문에서는 의류, 비의류(커텐,침대카바) 등의 제조에 쓰이는 가공단 제품을 대상으로 하며 주요 상표로는 STARTEX, SOFSIL이 있습니다. 폴리에스터F 직물제조 사업부가 전체 매출의 89.7%, 도매업은 6.5%, 부동산은 3.8%를(2024년 3분기 기준) 차지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60.8% 감소, 영업손실은 4.1% 감소, 당기순손실은 86.3% 증가했습니다. 동사의 '폴리에스터F제조직물' 제품 및 상품 매출이 감소하였지만 미국 MP머트리얼사와 안정적인 원재료 구매계약 체결을 통한 비용감소 노력으로 영업손실폭은 감소되었습니다. 희토류 메탈 제조, 판매, 유통, 수출입 신규사업과 관련하여 2024년에도 유상증자, 전환사채 발행등을 통해650억원 이상의 자금유치가 계획 중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성안머티리얼스는 국내 최초로 순도 98% 이상 희토류 메탈바(NdPr Metal) 개발에 성공하여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되는 종목입니다. 성안머티리얼스는 국내 안산 반월공단에 희토류 메탈바 생산 시설을 갖추고 희토류 메탈바를 양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23년 7월 미국 MP머티리얼즈와 연간 240t 규모의 희토류 산화물 구매계약을 계약을 체결한 바 있고, 이어 24년 5월에는 미국산 희토류 산화물을 활용해 순도 99.5% 이상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메탈바(NdPr Metal) 생산에 성공했습니다. 24년 11월에는 국내 유일 영구자석 제조업체 성림첨단산업의 NdPr 메탈바 품질 테스트를 통과했고 메탈바 30t을 25년 4월까지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성안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9) 삼화전자
- 기업개요 : 삼화전자는 FERRITE CORE 등 전자기기부품을 제조ㆍ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전기자동차용 전장부품(HEV/PHEV/EV/FCV), 생활가전, 전파암실용 전파흡수체, 다양한 산업용 사업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973년 12월 삼화전기, 1976년 4월 동사인 삼화전자공업를 설립하여 현재 3개의 상장회사와 한국JCC 등 14개의 비상장회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6% 감소, 영업손실은 39.2% 증가, 당기순손실은 29.3% 증가했습니다. 자동차 전장, 생활가전, EMC측정설비 등의 제품 매출액이 감소하고 각종 비용 절감 노력에도 동사의 영업손실폭은 전년동기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생활(주방)가전용 EMI/EMC 제품에서 동사는 전기렌지의 고성능화 및 FERRITE 시장 매출 확대에 노력중 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삼화전자는 희토류의 대체제로 꼽히는 페라이트 금속분말 코어(MPC)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어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테슬라가 전기차 생산에서 희토류의 대체품으로 페라이트를 사용하기로 하며 수혜를 받았던 종목입니다.
- 삼화전자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0) LS에코에너지
- 기업개요 : LS에코에너지는 2015년 5월 15일 엘에스전선아시아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습니다.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외국기업의 사업 활동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외국기업지배지주회사입니다. 1996년 설립된 LS-VINA Cable&System Joint Stock Co.는 전선류를 제조하고 있으며, 베트남 내 1위 전력케이블 생산업체입니다. 베트남 풍력발전 시장을 선점하여 향후 고부가 사업 확대로 인한 지속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7% 증가, 영업이익은 66% 증가, 당기순이익은 929.5% 증가했습니다. 베트남 내수 경기 회복에 따른 전선 수요 증가로 가공선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초고압 매출 감소에도 유럽향 수출 비중 증가로 영업이익률 역시 크게 상승하였습니다. 기존 전선, 전력/통신 케이블 부분 수요가 회복세가 가속화되고 있고, 희토류, 해저케이블 등 관련 신사업 프로젝트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LS에코에너지는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희토류 매장량을 보유한 베트남의 산업통상부와 희토류 인프라 협력 강화를 논의한 바 있어 희토류 관련주에 속한 종목입니다. 베트남은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약 18%(2,200만 톤)을 보유하고 있는데, 베트남 정부가 채굴권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어 소수의 기업만이 희토류 산화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LS에코에너지는 앞서 24년 11월 국내 기업 최초로 베트남의 흥틴 미네랄과 희토류 산화물 장기 구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흥틴미네랄이 정제한 네오디뮴, 디스프로슘 등을 국내외 영구자석 업체 등에 중개할 예정입니다. 영구자석은 2차전지의 핵심 부품인 구동모터코어 생산 등에 활용됩니다.
- LS에코에너지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1) 그린리소스
- 기업개요 : 그린리소스의 명칭은 "주식회사 그린리소스"이며, 영문명은 "Green Resource Co.,Ltd" 로 표기합니다. 주 목적사업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 장비용 부품에 적용되는 내식성과 내플라즈마성을 제고하는 보호코팅을 위한 코팅소재의 제조 및 코팅입니다. 동사가 2013년에 국내 최초로 반도체용 APS 코팅 소재를 국산화에 성공하였고, 와이엠씨, 제니스월드, 아이씨디엠 등 국내 디스플레이 건식식각장비 APS 코팅 업체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2% 증가, 영업이익은 33.5% 감소, 당기순이익은 1.4% 감소했습니다. 동사는 초전도선재 IBAD증착장비 공정 설계를 현재 12 mm인 선재의 너비를 120 mm로 늘리는 광폭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25/kAm를 달성하여 초전도선재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초전도선재 시장의 확장됨에 따라 이에 따른 장비 시장을 공략할 계획입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그린리소스는 희토류 산화물, 금속, 화합물들을 고객사가 원하는 형상, 입도, 순도에 맞춰 공급하고 있어 희토류 테마주로 편입되었습니다. 현재는 여러 희토류 재생기술을 확보하여 도시광산과 관련된 기술들과 정제기술들을 확보함에 따라 우수한 가격의 소재들을 경쟁력 있게 고객사들에게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13년에는 희토류를 활용해 스프레이 코팅분말 소재를 개발하여 국산화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 그린리소스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12) EG
- 기업개요 : EG는 전기차와 가전제품 모터의 자석부품 원료로 사용되는 고순도 산화철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에너지환경분야의 플랜트와 소재사업 등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고급산화철의 경우 세계시장에서의 점유율은 12~15위 수준이며 모터용제품의 경우 동사만 생산이 가능한 SKM-2T제품의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에너지환경사업 부문에서는 에너지발전, 소각, 환경플랜트 공급 실적과 함께 특허출원 및 신기술 개발을 통한 지식기반의 영업활동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 재무 및 최근 동향 : 2024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7.3% 감소, 영업손실은 56.3% 감소, 당기순손실은 30.7% 감소했습니다. 산화철 가격이 하락하며 매출이 하락세에 있고 신사업으로 추진했던 폐기물 처리 사업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감소하는 매출을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원가율 개선으로 방어하고 있으며 리튬화합물 신사업 개발에 착수하며 장기적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염두하고 있습니다.
- 관련주 편입 이유 : EG는 희토류 대체재로 꼽히는 페라이트 원재료인 산화철 1위 기업이기 때문에 희토류 수혜주로 분류됩니다. 최근 시장에서는 전기차의 구동모터에 쓰이는 희토류를 페라이트로 대체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여기에 EG의 고급산화철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EG의 고급산화철은 세계시장에서 점유율 12~1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EG 홈페이지 : [바로가기 클릭]
3. 총정리
중국의 자원무기화,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희토류 관련주가 상승할 때 가장 강하게 영향받는 12종목을 상단에 정리했고, 아래는 12종목을 포함해 희귀금속, 희토류 섹터에 속해 있는 종목을 정리했으니 투자에 참고바랍니다.
- 희토류 유통 : 동국알앤에스, 티플랙스, 혜인, 대원화성, LS에코에너지, 그린리소스, SH에너지화학, LX인터내셔널, POSCO홀딩스 등
- 희토류 관련 제품 : 쎄노텍, 노바텍, 성안머티리얼스, 현대비앤지스틸, 디엔에이링크 등
- 희토류 대체제 :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 삼화전자, EG, 상신전자, 태경산업, 케스피온, 한일화학 등
저는 해당 주식을 추천하는 것이 아니고 참조만 부탁드립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시면 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석] 국내 알루미늄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대장주 TOP15 (2) | 2025.03.12 |
---|---|
[기업분석] 금값 상승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0 (1) | 2025.03.05 |
[기업분석] 이미지센서 온센서AI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0 (2) | 2025.02.23 |
[기업분석] 휴머노이드 로봇 국내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5 (1) | 2025.02.11 |
[기업분석] 온디바이스AI 관련주 테마주 수혜주 TOP12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