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2023년 11월 공매도 금지 이후 17개월 만인 오는 3월 31일에 주식 공매도가 재개되었습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중앙점검시스템(NSDS)을 가동하여 무차입 공매도를 확실히 막겠다고 공언했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의구심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대차잔고 증가 종목과 실적하락 종목이 공매도의 타깃이 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해당종목들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은 공매도 재개에 대한 내용정리와 공매도에 의해 하락할 확률이 높은 종목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공매도 재개 내용 정리
1) 공매도란 무엇인가?
2) 공매도 재개 달라진 점?
2-1) 담보비율 통일
개인투자자의 담보비율이 기존 120%에서 105%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기관투자자와 동일한 수준으로 맞추어 투자자 간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2) 상환기간 표준화
모든 투자자의 대차거래 상환기간이 90일(최장 12개월)로 통일되었습니다. 이전에는 투자자 유형에 따라 상환기간이 달랐으나, 이제는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여 거래의 예측가능성을 높였습니다.
2-3) 전산시스템 도입
불법 공매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기관투자자, 위탁증권사, 거래소가 함께하는 3중 차단 체계가 구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거래를 모니터링하고 불법 거래를 즉각 차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4)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 NSDS(National Short Selling Detection System) 도입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NSDS)이 도입되어 모든 공매도 거래의 적법성을 실시간으로 면밀히 감시하고 거래내역을 철저하게 검토하여 불법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별하게 됩니다. 이 시스템은 거래 전 단계부터 거래 후 정산까지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의심스러운 거래가 발견될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매도 잔고가 0.01% 또는 10억 원 이상인 법인은 의무적으로 등록번호를 발급받아야 하며, 이를 통해 대규모 공매도 거래에 대한 추적과 관리가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2-5) 불법 공매도(무차입 공매도) 처벌 강화
- 무차입 공매도 정의
- 불법공매도란 주식을 빌리지 않고 매도하는 '무차입공매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결제불이행 위험이 높아 법적으로 엄격히 금지됩니다. 즉, 무차입공매도는 빌리지도 않았지만 빌린 것처럼 거짓으로 하여 매도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공매도는 미리 주식을 빌려서 주 식을 매도하여 주가가 하락하고 난 이후 현물 매수를 하여 주식으로 갚는 것을 뜻 합니다.
- 강화된 공매도 처벌 내용
처벌 항목 | 기존 규정 | 강화된 규정 (2025년부터) |
벌금형 | 부당이득액의 3~5배 | 부당이득액의 4~6배 |
징역형 가중처벌 | 별도의 가중처벌 없음 | 부당이득액 규모에 따른 징역 가중처벌 도입: - 5억 원 미만: 최소 징역 1년 이상 - 5~50억 원: 최소 징역 3년 이상 - 50억 원 이상: 최소 징역 5년 이상~무기징역 |
과징금 부과 기준 | 주문금액 기준 최대 100% 과징금 가능 | 주문금액 기준 최대 100% 과징금 유지 |
추가 제재 조치 | 없음 | 금융투자상품 거래 제한 및 상장사 임원 선임·재임 제한 (최대 5년) |
2. 공매도 재개 하락 가능성 높은 종목
1) 대차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
대차잔고(貸借殘高, short balance)는 주식이나 채권 등을 빌려서 투자한 후 아직 갚지 않은 금액이나 수량을 의미합니다. 주로 공매도(숏 포지션)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대차잔고가 반드시 공매도 예정 수량을 뜻하는 건 아니지만, 공매도를 위해서는 주시을 빌리는 주식 대차가 선행돼야 하는 만큼 대차잔고는 공매도의 선행진표로 여겨집니다.
아래는 최근 집계일 (25년 3월 27일 기준) 대차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을 순서대로 정리했으니 참고 바랍니다.
순위 | 종목명 | 대차잔고 금액 (단위 : 원) |
1 | 삼성전자 | 4조 6,026억 |
2 | LG에너지솔루션 | 3조 8,985억 |
3 | SK하이닉스 | 3조 1,407억 |
4 | 에코프로비엠 | 2조 1,425억 |
5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조 6,994억 |
6 | 포스코퓨처엠 | 1조 6,447억 |
7 | 셀트리온 | 1조 4,769억 |
8 | 에코프로 | 1조 1,227억 |
9 | 삼성SDI | 9,916억 |
10 | 기아 | 8,884억 |
11 | 현대차 | 8,859억 |
12 | 포스코홀딩스 | 7,646억 |
2) 밸류에이션이 높은 종목
앞서 공매도를 금지한 뒤 재개했던 2009년, 2011년을 보면 최근 주가가 많이 오른 종목에 공매도가 몰리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업종 대비 주가순자산비율(PBR) 등 밸류에이션이 높은 종목들이 공매도 세력들의 타깃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PBR은 주당 시가를 1주당 순자산 가치(BPS)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자산 가치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 평가 수준을 나타냅니다. 보통 PBR이 1 미만일 경우 저평가로 구분하고 1 이상일 경우 고평가로 구분합니다.
아래 종목들은 증권사에서 예측한 공매도 대상이 될 확률이 높은 종목들을 정리했으니 투자에 참고 바랍니다.
종목명 | 시장 | PBR (24년 12월 연간 기준) |
삼양식품 | 코스피 | 7.72 |
두산 | 코스피 | 3.77 |
LS ELECTRIC | 코스피 | 2.91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코스피 | 5.72 |
삼천당제약 | 코스닥 | 14.87 |
네이처셀 | 코스닥 | 27.88 |
SKC | 코스피 | 2.93 |
한화 | 코스피 | 0.36 |
더존비즈온 | 코스피 | 3.39 |
유한양행 | 코스피 | 4.00 |
고려아연 | 코스피 | 1.70 |
SK하이닉스 | 코스피 | 1.91 |
현대엘리베이 | 코스피 | 1.56 |
3) 업종별 공매도 타깃 전망
최근 많이 오른 업종과 그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고평가 된 종목들이 특히 주의해야 할 대상입니다.
- 방위산업 (방산)
- 전력기기 및 기계 관련 업종 (원전, 건설기계, 로봇 등)
- 바이오 및 건강관리 관련 업종
- 반도체 및 IT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업종
특히 방위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전력기기(LS일렉트릭), 바이오(삼천당제약, 네이처셀, 유한양행) 등은 대표적인 고평가 분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최근 한화 계열사 주식 종목들이 방산 관련주로 주가 급등세가 강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제약바이오주 또한 실적에 비 하여 주가 상승세가 강했던 주식 종목들이 대표적 공매도 타깃이 될 수 있습니다.
공매도가 재개되면 시장 변동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위에서 언급된 종목들은 단기적으로 주가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각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시장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며 신중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


'이슈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관련주] 보편관세 증시 급락 속 반등 가능성이 높은 종목 (25년 4월 Ver.) (0) | 2025.04.10 |
---|---|
[이슈 관련주]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 관련주, 테마주 총정리 (3) | 2025.04.03 |
[이슈 관련주] 명품 플랫폼 BALAAN 발란 관련주, 테마주 TOP10 (0) | 2025.03.30 |
[이슈 관련주] 2025 영남 산청 하동 산불 관련주 총정리 (2) | 2025.03.24 |
[이슈 관련주]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관련주 총정리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