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상식

[주식상식] ETF ETN 설명 특징 차이점 비교 분석

by 머니투어 2024. 8.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주식 투자를 하시면서 ETF와 ETN 이라는 용어는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오늘은 ETF와 ETN 에 대한 설명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1. ETF (Exchage Traded Funds) 정리

1) ETF 정의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이며 흔히 '상장지수펀드'라고 불립니다. 이를 풀어 설명하자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지수 추종 펀드 상품입니다. ETF는 주식과 펀드의 장점이 합쳐진 하이브리드 상품이라고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먼저 증권거래소에 상장됐기에 주식처럼 편리하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펀드 상품이기에 자산운용사가 전략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두어 따로 고민하는 수고가 적습니다.

 원래 ETF는 인덱스펀드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여기서 인덱스펀드란 특정 지수를 추종하여 그와 동일한 투자 성과를 목표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뜻합니다. 대표적인 지수는 코스피, 코스닥, 나스닥, S&P500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특정 업종, 테마, 원자재 등 다양한 스타일을 추종하는 ETF들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되고 있습니다.

2) ETF 특징

2-1) ETF 장점

  •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분산투자
    • 특정 산업이 성장할 것이라 예상될 때, 그 산업의 선두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편리한 방법이지만, 단일 기업에 투자하면 기업 내부 이슈로 인해 예상치 못한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피하면서도 산업 성장의 수혜를 누리기 위해선 관련된 모든 기업의 주식을 사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ETF가 좋은 대안이 됩니다. ETF는 여러 기업 주식으로 구성되어 적은 금액으로도 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KODEX200 ETF는 약 30,000원으로 KOSPI 200 지수의 200개 종목에 투자하는 효과를 줍니다.
  • 장기적인 리밸런싱(Rebalancing) 반영
    • ‘리밸런싱’은 자산의 편입 비중을 재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산가치의 변동으로 인해 초기 설정한 비중이 흐트러지기 때문입니다. ETF는 이러한 리밸런싱이 정기적으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투자자가 직접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KODEX200은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며, 지수 내 기업들의 시가총액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리밸런싱되어, 투자자가 별도로 종목을 추가 구매하지 않아도 전략이 유지됩니다.

  • 저렴한 운용보수와 투명한 운용
    • ETF의 장점 중 하나는 저렴한 운용 보수와 투명한 운용입니다. ETF는 벤치마크 지수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추종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일반 주식형 펀드의 운용 보수(연 1~2%)보다 훨씬 낮은 0.2%~0.4% 수준의 보수를 제공합니다. 장기 투자 시 이러한 저렴한 수수료는 큰 이점이 됩니다. 또한, ETF는 보유 종목을 매일 공시하므로, 투자자들이 증권사 HTS나 운용사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투자 내역과 가격 변동 이유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종류의 ETF를 원할 때, 원하는 가격으로 거래
    • ETF는 주식 시장뿐만 아니라 삼성그룹, 원자재, 금, 은, 부동산, 롱/숏, 인버스 등 다양한 테마와 시장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쉽게 사고팔 수 있으며, 별도의 환매기간이나 수수료 없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수량만큼 거래할 수 있습니다. 매도 후 이틀 후에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일반 펀드는 매수 시 3일 뒤의 가격으로 거래되며, 환매 시 환매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2) ETF 단점

  • 큰 변동 없음
    • 투자에 재미를 찾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지만 ETF 지수는 개별 종목에 비해 큰 변동이 없기 때문에 투자한다는 느낌을 못받을 수도 있습니다. ETF는 전체 값의 평균(가중평균)이기 때문에 한 종목이 크게 상승한다고 해서 같이 크게 오르진 않습니다. 
  • Row Risk Row Return
    • 어디까지나 상대적이긴 하지만, 내가 고른 종목이 시장의 지배자가 되거나 우상향을 하면 수익률은 어마무시해 집니다. 하지만 ETF는 손실에 대한 위험도 개별 종목에 비해 안정적이지만, 수익률도 개별 종목에 비해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한국 ETF 한정 거래량이 적을 수 있음
    • 대표적인 ETF가 아니라면 거래량이 적을 수 있고, 괴리율(실제 주식은 오르는데, 나의 ETF는 안오르는 경우)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전에 비해서는 한국에서도 ETF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기는 하나 미국에 비하면 거래량이 낮은 편입니다.

3) ETF 투자 가이드

 아래 링크를 통해서 보시면 증권사 앱을 통해 어떻게 ETF에 투자할 수 있을지 자세히 정리되어 있으니 참조부탁드립니다.

>>>>>>>>>>>> ETF 투자 방법 가이드 (클릭)

 

ETF 투자방법 | ETF 투자기초가이드 | Kodex

ETF 투자의 기초부터 심화까지 알아보세요.

www.samsungfund.com

 

2. ETN (Exchage Traded Note) 정리

1) ETN 정의 

 ETF와 앞 글자까지는 동일하지만 ETF는 Fund(집합투자증권)라면, ETN은 Note(증권사가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입니다. ETF와 유사하게 기초자산을 추종하고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ETF와 달리 만기가 존재하며, 증권회사가 발행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2) ETN 특징

2-1) ETN 장점

  • 추적 오차 없음
    • ETN은 사전에 약정된 기초지수 수익률을 지급하는 증권으로 추적오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장중 괴리율은 발생 가능)
  • 환금성
    • ETN은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자유롭게 거래가 가능합니다.

  • 만기
    • ETN은 만기가 존재하는 상품입니다. 만기가 도래하는 경우 투자자는 기초지수 수익률에서 제비용을 차감한 상환금액 결정일의 지표가치를 기준으로 1증권당 만기지급액을 산정합니다.
  • 중도상환
    • 투자자는 만기 이전에 기준수량 이상의 ETN에 대하여 중도 상환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중도 상환 내용은 상품별로 다르니 각 상품별 투자설명서를 참고해야 합니다.
  • 유동성 공급자 제도
    • ETN은 유동성공급자(LP)로부터 유동성을 공급받는 상품입니다. 이에 따라 풍부한 유동성으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 다양한 기초자산
    • ETN은 적은 운용규제를 통해 국내 상품을 기초로 한 다양한 전략뿐만 아니라 채권, 환율, 인프라 등 다양한 기초자산으로 구성된 상품 설계가 가능합니다.
  • 적은 거래비용
    • ETN은 주식 매도 시 부과되는 증권거래세가 면제됩니다. 또한 각 상품별 운용비용 외에 소요되는 기타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2-2) ETN 단점 (위험성)

  • 발생사 신용위험
    • ETN은 발행사 신용으로 발행되는 무보증/무담보 사채와 동일한 발행자 신용위험을 가지므로 발행사의 채무불이행 위험이 있습니다.
  • 기초자산 가격변동 위험
    • ETN은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상품이므로 기초지수 하락에 따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상품입니다.

  • 파생형 투자상품 투자 위험
    •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은 투자기간만큼의 기초자산 가격 상승분 (2배, -1배, -2배 등)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일간수익률의 상승분 (2배, -1배, -2배 등)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ETN 매도시 투자한 기간 동안의 수익률에 대한 2배 수익률이 실현되지 아니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레버시, 인버스 상품은 장기투자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 유동성 부족 위험
    • 시장수요 증가에 따라 유동성공급자의 공급 물량이 부족한 경우, 유동성 부족으로 인하여 시장가격 왜곡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상장폐지위험
    • ETN도 일정 요건에 미달하면 상장폐지될 위험이 존재합니다. 다만 ETN은 발행회사의 부도발생이 아닌 경우, 상장폐지 되더라도 ETN 발행회사가 최종거래일 지표가치에 해당하는 금액을 투자자에게 지급합니다. ETN은 만기가 되어 상장폐지되는 경우 외에도, 발행회사의 자격 유지, 기초지수 요건, 유동성공급자 요건, 규모요건 등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발행회사가 중요한 공시의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상장 폐지될 수 있습니다.

3) ETN 투자 가이드

 아래 링크를 통해서 보시면 증권사 앱을 통해 어떻게 ETN에 투자할 수 있을지 자세히 정리되어 있으니 참조부탁드립니다.

>>>>>>>>>>>> ETN 투자 방법 가이드 (클릭)

 

TRUEETN

ETN 상품, ETN 이해, ETN 스쿨, 투자가이드, 고객센터

www.trueetn.com

3. ETF 와 ETN 비교 정리

1) ETF와 ETN 종목명 

1-1) 종목명 정하는 기준

1-2) ETF (자산운용사)와 ETN (증권회사) 브랜드 

자산운용사 (ETF) ETF 브랜드 명 자산운용사 (ETN) ETN 브랜드 명
삼성자산운용 KODEX NH투자증권 N2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한국투자증권 한투
KB자산운용 KBSTAR 미래에셋증권 미래에셋
한국투자신탁운용 ACE 삼성증권 삼성
키움투자자산운용 KOSEF 신한금융투자 신한
신한자산운용 SMART KB증권 KB
NH아문디자산운용 HANARO 대신증권 대신
한화자산운용 ARIRANG    

 ETF와 ETN의 종목명 맨 앞에는 운용하는 회사의 브랜드명이 붙습니다. ETF는 자산운용사의 브랜드명이 붙고, ETN은 증권회사 브랜드 명이 붙는데, ETN의 경우에는 NH투자증권을 제외하고는 직관적으로 어느 회사 브랜드인지 이해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1-3) 추종 방법

 종목명의 세번째에는 기초지수를 어떻게 따라가는지에 대한 방법이 표기됩니다.

  • 정방향 : 기초지수와 동일하게 움직이며 상품명에 표기되지 않습니다.
  • 레버리지 : 기초지수의 2배를 추종하며, 상품명에 2X로 표기됩니다.
  • 인버스 : 반대 방향으로 지수를 추종합니다.
  • 인버스 레버리지 : 인버스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며, 기초지수가 하락하면 2배 수익이 발생됩니다.

*** 인버스, 레버리지. 2X 등은 수익이 큰 만큼 손실 변동성으로 인한 손실 위험도 크기 때문에 투자를 하기 전에 이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1-4) 추종하는 기초 지수

 종목명의 두번째에는 해당 ETF, ETN이 추종하는 기초지수를 나타내며, 해외증시 상품의 경우에는 기초지수의 앞에 국가명이 표기됩니다.

 예를들어, ’TIGER 미국 S&P 500’은 미국 S&P 500을 추종하는 상품, ‘TIGER 2차전지테마’는 2차전지 테마의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5) 상품의 운용방식

 상품의 운용 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명칭이 붙을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참고부탁드립니다.

 

용어 정의
TR (Total Return) ETF의 분배금(배당)을 투자자한테 지급하지 않고, 재투자하는 ETF
인버스 ETF 투자대상 지수(일별수익률)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수익을 추구하는 ETF
EX) 1배 상품 예 : 인버스, Bear 1X, Inverse, Short
래버리지 선물과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해 지수보다 높은 수익 (일별수익률)을 추구하는 ETF
- 3배 상품 예 : Bull3X, 3Xlong, Ultrapro
액티브 기초지수를 따라가는 일반적인 ETF(패시브)와 달리 시장수익률 이상의 수익을 위해 펀드매니저가 적극적으로 투자종목과 비중을 조정하는 ETF
합성 자산운용사가 증권사와 계약을 맺어 운용. 자산운용사가 해외지수 및 원자재 등 직접 운용이 어려운 상품은 이 방식으로 운용
선물 (Futures) 정해진 미래의 날짜에 특정 상품이나 금융 자산을 정해진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금융 계약
H ETF나 ETN 명 끝에 (H)가 붙어 있으면, '환헤지(換hedge)형'을 뜻함. 환율을 고정시켜 놓고 투자자산의 가격 변동에만 수익율이 연동됨.
반대의 개념으로 '환노출형'이 있는데, 투자자산의 가격 변화와 함께 환율 변화도 펀드 수익률에 반영되고 'UH'로 표시됨

2) ETF와 ETN 비교

2-1) 자산운용사와 증권회사 비교

  증권사 자산운용사
정의 증권거래법에 근거하여 재정경제원장관의 허가를 받고 증권업을 하는 주식회사.
증권시장과 투자자의 중간에서 증권을 매매하는 업무를 함. 투자자들처럼 주식을 사고팔기도 하고 대신하여 주식을 팔거나 중개하기도 함
채권과 주식을 매매하고 펀드를 관리하는 펀드매니저가 있는 회사. 투자자의 주식이나 채권 같은 유가증권이나 부동산의 자산을 투자자의 이익을 위해 전문적으로 운용하는 사람 및 회사
업무 주식시장에 상장된 펀드를 고객에게 판매 및 위탁매매를 하는 회사 펀드를 만들고 펀드에 들어오는 돈을 관리 및 운용하는 회사
수익구조 총보수율 중에서 지정참가 회사에 대한 운용보수를 가져감. 그 외 각종 수수료를 통한 수익을 얻기도 함 총보수율 중에서 세부적인 항목 중 집합투자회사의 운용보수를 가져감

2-2) ETF와 ETF 차이 비교

구분 ETN ETF
발행주체 증권회사 자산운용사
정의 증권사가 인덱스 수익률 지급 
'채권'을 거래소에 상장
자산운용사가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
신용위험 높음 (발행회사의 신용) 낮음 (수탁은행이 신탁자산 보관)
종목구성 기초지수 종목 중 5종목 이상 기초지수 종목 중 10종목 이상
만기 있음 (1~20년) 없음
성격 공격적이고 유연함 보수적
단점 증권사 부도시 투자금 반환 불가,
조기상환 조항 발생시 상장폐지 가능
규모가 적을 시 유동성 문제,
호가와 매도가 차이로 손실발생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