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PO

[IPO] 25년 3월 2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 (3.10~3.14)

by 머니투어 2025. 3. 2.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오늘은 25년 3월 2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공모주 청약 일정 요약

종목명 수요예측일 청약일 환불일 상장일 희망공모가 주관사
티엑스알로보틱스 2025.2.25 ~ 3.05 2025.3.10 ~ 3.11 2025.3.13 2025.3.20 11,500 원
~ 13,500 원
NH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심플랫폼 2025.2.27 ~ 3.06 2025.3.11 ~ 3.12 2025.3.14 2025.3.21 13,000 원
~ 15,000 원
KB증권
한화플러스스팩5호 2025.3.05 ~ 3.06 2025.3.11 ~ 3.12 2025.3.14 - 2,000 원
~ 2,000 원
한화투자증권
더즌 2025.2.28 ~ 3.07 2025.3.12 ~ 3.13 2025.3.17 2025.3.24 10,500 원
~ 12,500 원
한국투자증권
로킷헬스케어 2025.03.04 ~ 3.10 2025.3.13 ~ 3.14 2025.3.18   11,000 원
~ 13,000 원
SK증권
KB증권

 

2. 상장기업 소개 및 청약 상세

1) 티엑스알로보틱스

- 기본정보

법인명 티엑스알로보틱스
설립 2017년 7월 11일
소재지 경기 부천시 원미구 옥산로 216(도당동)
대표 엄인섭
업종 컨베이어장치 제조업
영업수익 (23년) 33,193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3,554 (백만원)
직원수 47 명 (23년 12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티엑스알로보틱스는 국내 휠소터(Wheel Sorter)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로봇 물류 자동화 전문 기업임.
  • 티엑스알로보틱스의 주요 사업분야는 물류자동화(휠소터, 틸트 트레이 소터, 플랩소터 등 자동화 장비 제공), 로봇자동화(자율주행로봇 AMR, 자동창고, AGV, ACS 시스템 제공) 등이 있음.
  • 현재 국내 대형 이커머스 기업 쿠팡과 CJ 등 종합 물류기업 등과 협력하며 스마트 물류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국내뿐 아니라 유럽 및 미주 시장 진출을 추진 중. 최근에는 중국 로봇 제조 기업 궈싱즈넝(GuoXing Intelligent)과 소방로봇 국내 독점 공급에 관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함.
  • TXR로보틱스는 최근 부산 강서구에 연면적 3,472㎡에 달하는 스마트공장 및 로봇융합 연구소를 준공함. 이곳은 지상 3층의 스마트공장과 지상 4층의 사무동으로 이뤄져 있고, 물류 및 로봇 자동화 설비 연구와 생산을 위한 기지로 활용됨.
  • 티엑스알로보틱스의 최대주주는 유진로지스틱스로 지분의 57.86%를 보유하고 있음. 로지테크홀딩스와 박종현 로탈 대표도 각각 29%와 13.29%의 지분을 가지고 있음. 
  • TXR로보틱스의 실적은 21년부터 연평균 성장률 67.5% 수준을 유지해 2023년 매출액 332억원, 영업이익 36억원을 각각 달성했으며, 2024년 가결산 기준 매출액 561억원, 영업이익 50억원을 기록한 바 있음.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공모가 밴드 하단기준) 총 공모 349억원임. 이들 자금은 시설자금(150억), 연구개발(32억), 신규사업(20억), 해외진출(20억), 채무상환(107억), 타법인증권취득(20억) 등으로 사용할 계획.

- 공모주식수 및 배정

2) 심플랫폼

- 기본정보

법인명 심플랫폼
설립 2011년 12월 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26, 2003호
대표 임대근
업종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매출액 (23년) 4,389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1,540 (백만원)
직원수 20~40명 (24년 3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심플랫폼은 산업용 AIoT(인공지능 융합 기술) 전문기업으로 AI(인공지능)와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융합한 데이터 솔루션 개발에 주력해 왔으며 회사는 IoT 기술을 활용하여 설비 및 기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 분석, 예측하는 전 과정을 통합적으로 처리함.
  • 심플랫폼은 산업용 AIoT 플랫폼인 'NUBISON AIoT'를 운영하고 있으며, 예지 정비, 품질 검사, 생산 최적화, 공급망 최적화, 리소스 최적화, 제품 서비스화 등의 솔루션을 고객사에게 제공하고 있고 산업용 장비 연계를 통한 데이터 수집과 산업용 AI의 결합을 통해 산업용 AIoT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심플랫폼의 누비슨 AIoT 서비스는 대한민국 우수특허대상 2회 수상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현재 건설안전, 반도체, 제조, 공공 등 60여곳 이상의 산업별 고객을 보유, 300여개 이상 AIoT 기능을 제공하며 현재 연동된 기본 디바이스 종류는 300여 종에 이르고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 디바이스와 연동이 가능함.
  • 심플랫폼 주요 고객사로는 풍원정밀, DB하이텍, 반도체 파운더리 기업 네패스, 반도체 블랭크마스크 기업 에스앤에스텍 등과 SK에코플랜트 등이 있으며 공공의 안전, 재난분야로 영역을 확대하며 스마트빌리지, 스마트경로당 등 대민 서비스로 확대하고 있음.
  • 심플랫폼은 공공 서비스 시장을 대상으로 AIoT 플랫폼을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는 공공 분야 AI 혁신을 위해 총 7102억 원을 투자하기로 하여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됨.
  • 심플랫폼의 2018년 매출은 4억원에 불과했지만, 2022년 39억원, 2023년 48억원을 기록하며 매출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반면 영업이익은 지속적으로 적자인 상황이고, 빠르면 25년에 흑자전환할 것으로 기대됨.
  • 공모로 유입된 자금 115억원은 연구개발비 충당 및 신규 인력 채용에 49억원, 차입금 상환에 20억, 타 법인 증권 취득 자금에 45억이 사용될 예정임. 기술특례로 상장함.

- 공모주식수 및 배정

 

3) 한화플러스제5호스팩

- 기본정보

종목명 한화플러스스팩5호
본점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56 (여의도동)
대표 김광후
업종 금융 지원 서비스업
최대주주 컴퍼니케이파트너스 95.24 %
매출액 -
자본금 21 (백만원)

 

- 주요특징

  • 스팩 상장의 목적은 비상장사를 찾고 그 회사와 합병을 목적으로 함
  • 비상장사는 스팩과 합병하면 우회상장하는 효과를 가짐
  • 스팩은 36개월동안만 상장되고 그 기간안에 합병하지 못하면 상장폐지됨 (상장폐지가 되어도 공모가 만큼 자금 회수 가능)
  • 한화투자증권은 최근 5년간(23년 6월 기준) 총 4개의 스팩을 상장시켰으며, 그 중 1개의 스팩을 합병 성공시킴. 합병성공률은 33.3%로 전체 증권사 평균(60.6%)보다 낮은 편임.
  • 전체 공모주식수는 475만주, 모집 총액 95억원 규모로 소형 스팩주임.
  • 중점 산업군 : 신재생에너지, 바이오제약(자원)/의료기기, 글로벌헬스케어, IT융합시스템, 소프트웨어/서비스, 디스플레이/모바일, 게임산업/소재, 화장품 등

- 공모주식수 및 배정

4) 더즌

- 기본정보

법인명 더즌
설립 2017년 12월 12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465
대표 조철한
업종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매출액 (23년) 42,062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10,671 (백만원)
직원수 132 명 (23년 12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더즌은 펌뱅킹, 가상계좌, 외화정산대행, 공동주택관리 관련 데이터 사업, 대출한도 비교를 위한 각종 API를 제공하는 종합 B2B 서비스 기업을 지향하는 핀테크 회사임.
  • 더즌은 업계 최초로 '이중화 기술'을 개발해 두 개의 금융 VAN을 동시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함. 이로써 24시간 장애 없는 거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졌으며, 핀테크, 이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사를 확보함. 더즌은 높은 유저 편의성과 함께 6년간 무장애를 자랑할 정도로 금융서비스에서 중요한 안정적인 시스템을 갖춤.
  • 카카오페이가 2대 주주로 참여했고 지분 9.69%를 보유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음. 카카오페이와 제휴를 맺고 대출 조회와 청구서, 간편 송금 등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함.
  • 국내 23개 은행과 제휴하며 23년 25억 건의 실시간 금융 거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등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기대됨. 열악한 현지 금융망을 디지털화하는 것과 동시에 금융사가 기업과 개인 고객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 포츈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 핀테크 시장은 2024년 3,401달러(468조 원)에서 2032년 1조 1,520억달러(1,586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면서 더즌 역시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됨.
  • 더즌의 매출액은 2020년 60억 원에서 23년 421억 원으로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020년 19억 원에서 2023년 107억원으로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음.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공모가 밴드 하단기준으로 총 공모 261억 원이고, 사용계획은 설비투자자금 20억, 운영자금 86.1억, 타법인증권취득자금 155억원으로 사용할 계획임.

- 공모주식수 및 배정

 

5) 로킷헬스케어

 

- 기본정보

법인명 로킷헬스케어
설립 2012년 1월 20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10길 9, 12층
대표 유석환
업종 의료용품 및 기타 의약품관련제품 제조업
매출액 (23년) 12,417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7,377 (백만원)
직원수 71명 (24년 9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로킷헬스케어는 인공지능(AI) 기반 재생치료 플랫폼 기업으로 혁신적인 재생치료 의료시장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써 의료용 환부모델링 AI, 일회용 재생 키트, 초개인화 바이오잉크, 의료용 3D 바이오프린터를 융합한 AI 초정밀 환자 맞춤형 장기재생플랫폼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
  • 대표적인 제품은 3D프린터기 의료기기인 '닥터인 비보'임. 닥터인비보는 환자의 자가세포를 활용해 피부조직과 비슷한 환부 패치나 장기를 출력하며 환자의 자가세포를 바탕으로한 패치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세계 최초로 상처 부위 조직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4D 바이오 프린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당뇨발(당뇨병성 족부병증) 재생치료 플랫폼도 제공함.
  • 로킷헬스케어는 ‘닥터인비보 AI Regen Kit’라는 혁신적인 환자 맞춤형 재생 치료 키트 개발을 완료했고 회사의 피부 재생 기술은 인도 하이케어 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이집트 아시우트 의과대학,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등에서 임상을 거쳤으며 2021년 AI 장기 재생 플랫폼에 대해 미국 FDA 승인을 획득함.
  • 로킷헬스케어의 매출액은 21년 67억 원, 22년 92억 원, 23년 처음으로 124억 원으로 첫 100억 원대의 매출액을 달성함. 영업이익은 21년 173억 영업손실, 22년 -139억, 23년 -74억, 24년 3분기 -36억 원으로 지속적인 손실상태이지만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로킷헬스케어는 현재 완전 자본잠식 상태로 기업가치 고평가 논란 속에 기술특례 상장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을 도전하고 있음.
  • 로킷헬스케어는 최근 미국 의사협회(AMA)에 코드를 신청한 상태로, 조만간 처방 코드를 부여받을 것으로 기대됨. 미국은 AMA로부터 보험 적용을 위한 코드를 부여받고 보험사 입장에서 결정하는 시스템이며, 올해 매출 200억이 전망되고 있음.
  • 공모로 조달된 자금 약 225.6억 원은 운영자금 20.6억 원, 시설자금 70억 원, 타법인증권취득자금 135억 원으로 모두 사용될 예정.

- 공모주식수 및 배정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