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PO

[IPO] 25년 2월 1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 (2.03~2.07)

by 머니투어 2025. 1.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기업을 분석하고 주식을 전망해 드리는 머니투어입니다!

 

오늘은 25년 2월 1주차 공모주 청약 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공모주 청약 일정 요약

종목명 수요예측일 청약일 환불일 상장일 희망공모가 주관사
아이에스티이 2025.1.21 ~ 1.24 2025.2.03 ~ 2.04 2025.2.06 2025.2.12 9,700 원
~ 11,400 원
KB증권
동방메디컬 2025.1.16 ~ 1.22 2025.2.03 ~ 2.04 2025.2.06 2025.2.13 9,000 원
~ 10,500 원
NH투자증권
오름테라퓨틱 2025.1.17 ~ 1.23 2025.2.04 ~ 2.05 2025.2.07 2025.2.14 24,000 원
~ 30,000 원
한국투자증권
동국생명과학 2025.1.20 ~ 1.24 2025.2.05 ~ 2.06 2025.2.10 2025.2.17 12,600 원
~ 14,300 원
NH투자증권
KB증권

 

2. 상장기업 소개 및 청약 상세

1) 아이에스티이

- 기본정보

법인명 아이에스티이
설립 2013년 8월 28일
소재지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토성로 306 (백토리 185)
대표 조창현
업종 반도체 제조용 기계 제조업
매출액 (23년) 27,196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710 (백만원)
직원수 83명 (23년 12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아이에스티이는 반도체 장비 전문 기업으로, 주로 반도체 핵심 공정 장비인 PECVD(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와 풉 클리너(FOUP Cleaner)등 다양한 장비를 개발하고 양산하는 회사임.
  • 주요 제품 중 PECVD 장비 개발에서 중요한 성과를 이뤄내며 21년에는 SiCN(실리콘 카본 나이트라이드) PECVD 장비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후 SK하이닉스로부터 기술 혁신 기업으로 선정됨. 현재는 양산 검증 단계에 있음.
  • 다른 주요 제품으로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풉 클리너에 대한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기존의 풉 클리너는 풉커버와 바디를 함께 세척하는 방식이었으나, 아이에스티이는 이를 분리하여 세척하고 건조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세정력과 건조 효율을 높이고 생산 효율도 증가시킴. 이 기술은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용 풉 클리너와 패널 레벨패키지(PLP)용 풉 클리너 개발에서 두각을 나타냄.
  • 아이에스티이는 최근 리투아니아의 빌두야사와 리투아니아 내에 온사이트형 수소충전소 건설을 포함해 수소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협약을 체결함.
  • 2023년 기준, 매출액은 반도체 장비 54.4%, 기타 산업장비 4.5%, 에너지 사업이 41.1%를 차지함. 24년 반기 기준, 주요 제품인 풉 클리너의 매출액은 104억원인데, 이 중 SK하이닉스, SK실트론 납품으로 발생한 매출은 92억원으로 88%를 차지함. 여기에 Automation 부문에서도 전량 SK하이닉스에서 매출이 발생하여 회사는 사실상 SK계열사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
  • 23년 기준, 매출액 272억, 영업손실 7억원, 당기순손실 1억원임. 올해 9월까지 매출액은 278억, 영업이익 6억, 당기순이익 4억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함.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PECVD 장비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운영자금과 신규 공장 부지 취득, 채무 상환 등에 사용될 예정.

- 공모주식수 및 배정

 

2) 동방메디컬

- 기본정보

법인명 동방메디컬
설립 2014년 12월 26일
소재지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산업단지길 30
대표 김근식
업종 의료용 기기 제조업
매출액 (23년) 90,875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16,477 (백만원)
직원수 274 명 (23년 12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1985년 한방침 제조사로부터 출발했고, 2014년 법인전환을 하여 주요 제품으로는 일회용 한방침, 일회용 부항컵, 필러, 니들류 등이 있음. 한방의료기기 부문에서는 특히 일회용 한방침과 부항컵이 국내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화된 생산 시스템을 통해 고품질 제품을 대량 생산하고 있음.
  • 미용의료기기 분야에서는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진출하여 히알루론산 필러와 흡수성 봉합사(리프팅실)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필러 부문에서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5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지만 점유율을 더 높이는 게 목표임. 특히 중국, 인도네시아, 브라질 시장을 중심으로 필러 사업을 확장 중.
  • 2023년 기준, 미용성형 의료기기 부문이 64.52%로 그중 봉합사와 필러, 니들 순으로 비율이 높음. 한방의료기기 부문은 48.52%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방침이 30.37%로 가장 매출이 높음. 필러 부문 수출이 21년 4억 8천만원에서 23년 57억원으로 크게 늘어남.
  • 21년 매출 514억에서 22년 814억, 23년 909억원으로 꾸준히 성장 중. 24년 상반기 매출은 506억원 영업이익은 75억원을 기록함. 다만 11억원의 순손실을 내며 적자전환을 했는데, 이는 상장 전 투자자들의 상환우선전환주 265만 6천주를 보통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87억원의 파생상품거래손실이 발행했기 때문. 이를 제외할 경우 상반기 순익은 75억원이며, 일회성 요인을 포함해도 연간 순익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글로벌 한방침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2억 3,80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7.5%의 성장률로 2032년에는 4억 8,7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국내 한의약 산업 매출은 약 4.5%의 성장률로 10조 9천억 규모로 보고 있으며, 이 가운데 한방침은 약 270억 규모로 보고 있음. 23년부터 동방메디컬의 수익성을 높여준 일등공신인 미용 의료 사업 부문 시장 역시 2030년까지 연평균 14%의 성장률로 약 120조 규모의 성장을 전망함.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시설자금, 운영자금, 해외 합작투자법인 설립등의 자금으로 사용할 예정. 채무상환으로도 82억을 사용할 예정인데 부정적인 요소임.

- 공모주식수 및 배정

 

 

3) 오름테라퓨틱

- 기본정보

법인명 오름테라퓨틱
설립 2016년 8월 17일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281-25, 2층 (문지동)
대표 이승주
업종 기초 의약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영업수익 (23년) 135,417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95,606 (백만원)
직원수 16 명 (23년 12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오름테라퓨틱은 ADC(항체약물접합체)에 신규 약물 에이로드를 이용해 항암제를 개발하는 신약 개발 바이오텍 회사임. ADC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인 항체, 페이로드, 링커 등을 모두 자체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춤. ADC는 정상 세포에는 해를 주지 않으면서 암 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표적항암제임.
  • 세계 최초로 '항체접합분해제(Degrader-Antibody Conjugates, DAC)'를 개발함. 이 기술은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기술에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를 접목한 것으로 이중 정밀 표적단백질분해 임. 이 기술은 암세포를 표적화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현재 GSPT1 분해 기전을 바탕으로 다양한 암종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 중. 
  • 주요 파이프라인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신약 후보물질 'ORM-6151'과 HER2 표적 유방암 치료제 후보물질 'OMR-5059'가 있음. 특히 ORM-6151은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큅(BMS)과의 기술이전 계약으로 1억 8,000만 달러(한화 약 2400억원)규모로 거래됨.
  • ADC 시장은 향후 몇 년 동안 글로벌 제약사들이 지속적으로 투자할 종양학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분야임.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이밸류에이트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ADC 시장은 오는 2028년까지 300억달러(약 41조 5410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 2022년 매출 7,600만원, 영업적자 436억원을 기록했으나, 23년에는 매출 1,354억원으로 증가하며 영업이익 956억원을 달성함. 24년 반기 매출은 3,200만원, 영업손실 132억원을 기록함.
  • 23년 10월 BMS와의 계약에서 ORM-6151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ㅇ로 계약금 1억달러 (1,353억원)을 지급받았으며, 임상 1상 마일스톤(기술료)으로 403억원을 예상함. 올해 7월 미국 제약사 버텍스 파마슈티컬스와 최대 3개의 타깃에 대해 총 마일스톤 최대 3억 1,000만달러(한화 약 4,300억원) 규모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며, 1,500만 달러(한화 약 200억원)의 계약금을 지급받음.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연구개발 활동과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계획. 이번 IPO는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통해 증시 입성에 도전함.

- 공모주식수 및 배정

 

4) 동국생명과학

- 기본정보

법인명 동국생명과학
설립 2017년 5월 1일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114길 16 (대치동, 동남빌딩), 4층
대표 정기호, 이영춘
업종 의약품 제조업
영업수익 (23년) 120,161 (백만원)
영업이익 (23년) 8,530 (백만원)
직원수 212 명 (24년 6월)
홈페이지 바로가기

 

- 주요특징

  • 동국생명과학은 2017년 5월 동국제약의 조영제사업부의 물적 분할을 통해 설립된 기업임. 동국제약은 '인사돌', '마데카솔'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인지도 있는 제약회사.
  • 동국생명과학은 현재 국내 조영제 시장 점유율 1위 회사. 조영제는 CT, MRI와 같은 영상진단에서 내장, 혈관, 조직을 비롯한 진단 부위를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투여하는 약물을 일컫는데, 국내 거의 모든 상급병원과 종합병원에 공급되는 제품이 동국생명과학에서 생산한 제품.
  • 제민스 초음파, 홀로직맘모그래피와 같은 글로벌 기업 의료장비를 유통하는 MEMD(Medical Equipment and Medical Device, 진단장비 및 의료기기) 사업도 영위하고 있음.
  • 국내 조영제 시장은 23년 기준 약 5,000억원 규모로 추정되며, 그중 X선/CT 조영제 시장은 약 4,400억원, MRI 시장은 약 660억원 수준으로 추정. 세부 장비별 시장규모를 추정했을 때 X선/CT 조영제 시장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연간 약 55.3%의 성장률을 보였고, MRI 시장은 약 92.3% 성장함.
  • 글로벌 조영제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13조 1,560억원 규모로 추산되며, 2031년까지 연평균 3.2%의 성장률로 17조 4,174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MRI 조영제는 2022년 약 2조 7,300억 규모에서 2030년 약 4조 6,500억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633조 2,300억원에 달함. 미국, 독일, 중국 등 상위 10개국의 시장규모가 전체시장의 78.5%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은 9위로 전년대비 15.2% 성장함.
  • 동국생명의 매출은 2021년 1,026.6억, 2022년 1,072.3억, 2023년 1,201.6억으로 꾸준한 성장 추세를 보임. 영업이익도 2021년 67.8억, 2022년 62.3억, 2023년 85.3억으로 흑자를 지속하고 있음.
  • 공모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은 안성공장 라인 증설과 신제품 개발 및 차입금 상환에 사용할 계획임.

- 공모주식수 및 배정

 

▼ ▼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 ▼